지식나눔

protein purification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 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 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 desalting
  • protein purific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5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Desalting이나 buffer를 변경할 때 Dialysis나 Sephadex (Pharmacia) column 방법은 둘 다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Dialysis는 특별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고 샘플이 부피에 큰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시간과 buffer가 많이 들죠... Desalting column은 단시간에 염제거를 할 수 있는 반면 사용하려면 단백질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일반적으로 30 mg/ml) elution peak이 broad해 지기 때문에 fraction에 따라 salt 제거가 잘 안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sample volume이 column volume의 1/5 이하가 되어야 염제거가 효율적으로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개인 선호도에 의해 결정이 많이 되고, 딱히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실험하시는 분들 마다 회수율에 대한 의견은 다양한 것 같은데요, 그것 또한 단백질 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니 한마디로 단정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샘플의 양이 많으면 투석을 선호하고 양이 적으로 desalting column을 사용하는 편입니다. 특히 항체의 경우 (항체가 맞나요 혹시?)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한 후에 dialysis로 별 무리없이 염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 >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 >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Desalting이나 buffer를 변경할 때 Dialysis나 Sephadex (Pharmacia) column 방법은 둘 다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Dialysis는 특별한 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고 샘플이 부피에 큰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시간과 buffer가 많이 들죠... Desalting column은 단시간에 염제거를 할 수 있는 반면 사용하려면 단백질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일반적으로 30 mg/ml) elution peak이 broad해 지기 때문에 fraction에 따라 salt 제거가 잘 안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sample volume이 column volume의 1/5 이하가 되어야 염제거가 효율적으로 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개인 선호도에 의해 결정이 많이 되고, 딱히 정답은 없는 것 같습니다. 실험하시는 분들 마다 회수율에 대한 의견은 다양한 것 같은데요, 그것 또한 단백질 마다 조금씩 차이가 나니 한마디로 단정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샘플의 양이 많으면 투석을 선호하고 양이 적으로 desalting column을 사용하는 편입니다. 특히 항체의 경우 (항체가 맞나요 혹시?)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한 후에 dialysis로 별 무리없이 염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 >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 >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인영님의 답변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 >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 >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처음부터 dialysis를 하게 된다면 여러 번 buffer change가 필요할 뿐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리고 protein stability도 문제가 될 것 같군요. 그래서 먼저 gel filtration을 하여 salt를 많이 제거한 후에 dialysis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gel filtration 후에 바로 affinity chromatography로 들어가셔도 되고요.. Sample 양이 적다면 centrifuge를 이용한 gel filtration도 가능하겠지요. Size에 따른 Centricon을 이용하셔도 괜찮을 것 같네요.. 만약 미량의 salt가 문제가 될 수 있는 crystallization이 필요한 경우는 ammonium sulfate를 이용한 precipitation을 하시지 않는 게 좋습니다. Ethanol같은 organic solvent를 이용하셔도 되고요.. 도움이 되셨기를..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 >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 >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처음부터 dialysis를 하게 된다면 여러 번 buffer change가 필요할 뿐 아니라 시간도 많이 걸리고 protein stability도 문제가 될 것 같군요. 그래서 먼저 gel filtration을 하여 salt를 많이 제거한 후에 dialysis를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gel filtration 후에 바로 affinity chromatography로 들어가셔도 되고요.. Sample 양이 적다면 centrifuge를 이용한 gel filtration도 가능하겠지요. Size에 따른 Centricon을 이용하셔도 괜찮을 것 같네요.. 만약 미량의 salt가 문제가 될 수 있는 crystallization이 필요한 경우는 ammonium sulfate를 이용한 precipitation을 하시지 않는 게 좋습니다. Ethanol같은 organic solvent를 이용하셔도 되고요.. 도움이 되셨기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고순도로 정제하기 위해서는 Sephadex 컬럼을 이용하는데 FPLC상에서 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Dialysis는 튜브에 시료를 넣구 양쪽 끝을 밀봉하여 증류스에서 하게 되는데 밀봉이 조금이라도 잘못될 경우에는 sample loss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Sephadex보다는 고순도 정제가 안됩니다.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고순도로 정제하기 위해서는 Sephadex 컬럼을 이용하는데 FPLC상에서 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Dialysis는 튜브에 시료를 넣구 양쪽 끝을 밀봉하여 증류스에서 하게 되는데 밀봉이 조금이라도 잘못될 경우에는 sample loss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Sephadex보다는 고순도 정제가 안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DELETED님의 답변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RE:실험의 편의성을 따진다면 컬럼이 좋을것 같네요..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RE:실험의 편의성을 따진다면 컬럼이 좋을것 같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첨부자료
    >단백질 정제시 ammonium sulfate처리 하잖아여>desalting 과정으로 dialysis가 좋을까여?>아님 sephadex컬럼을 이용하는게 좋을까여?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