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물분자의 mean free path를 알고싶습니다.

water molecule의 상온에서의 또는 온도에따른 mean free path를 알고 싶습니다. 관련 레퍼런스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water
  • molecule
  • mean free path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종원님의 답변

    Mean free paths는 일반적으로 온도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압력에 의하여 변화가 나타납니다. 먼저 아래 사이트를 이용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leakdetection-technology.com/page_1/page_1.htm 이 페이지 안에서 10)과 11)을 보시면 압력에 따는 물의 MFP를 보실 수 있습니다. >water molecule의 상온에서의 또는 온도에따른 mean free path를 알고 싶습니다. 관련 레퍼런스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Mean free paths는 일반적으로 온도에 의한 것이라기 보다는 압력에 의하여 변화가 나타납니다. 먼저 아래 사이트를 이용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http://www.leakdetection-technology.com/page_1/page_1.htm 이 페이지 안에서 10)과 11)을 보시면 압력에 따는 물의 MFP를 보실 수 있습니다. >water molecule의 상온에서의 또는 온도에따른 mean free path를 알고 싶습니다. 관련 레퍼런스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성환님의 답변

    >water molecule의 상온에서의 또는 온도에따른 mean free path를 알고 싶습니다. 관련 레퍼런스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ater Vapor가 아니라 액체상태에서 물분자의 MFP를 알고싶습니다. 지금까지 찾아본바로는 0.31 nm 정도이고 이것의 근거는 high temperature solid model에서 계산한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본결과(Virginia tech, Physics dept.의 강의자료) 물분자사이의 거리를 계산한것이 0.4 nm 라고 되어 있군요.
    >water molecule의 상온에서의 또는 온도에따른 mean free path를 알고 싶습니다. 관련 레퍼런스와 함께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ater Vapor가 아니라 액체상태에서 물분자의 MFP를 알고싶습니다. 지금까지 찾아본바로는 0.31 nm 정도이고 이것의 근거는 high temperature solid model에서 계산한 것입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본결과(Virginia tech, Physics dept.의 강의자료) 물분자사이의 거리를 계산한것이 0.4 nm 라고 되어 있군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