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4-18
org.kosen.entty.User@75200f21
성진욱(cermetal)
- 3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자성 박막 중에 투명한 박막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폴리머를 matrix로 해서 거기에 나노 자성 재료를 분산시켜
자성 특성이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composite도 있나요??
그럼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transparent
- manet
- thin fil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박은성님의 답변
2005-04-19- 0
>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자성 박막 중에 투명한 박막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그리고 폴리머를 matrix로 해서 거기에 나노 자성 재료를 분산시켜 > >자성 특성이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composite도 있나요?? > >그럼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Yttrium Iron Garnet (Y5Fe3O12)이 atom-optics의응용에 쓰이는 물질인데 투명 자성박막입니다. APS (advanced photo system)이라는 필름에도 투명 자성박막이 쓰입니다. 또한 ZnO를 베이스로 한 코팅도 쓰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폴리머 메이트릭스와 나노 자성 재료를 혼합한 복합재료도 많이 개발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자성재료 하나 하나가 magnetic domain이며 혼합 배율 및 방향성에 따라 전체 자성을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한 예를 들자면 iron-based 자성재료와 polyurethane의 복합재료가 있겠습니다. -
답변
김태엽님의 답변
2005-04-19- 0
여러분들이 Garnet에 대하여 많이 소개해주셨네요! Garnet를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기쁨니다. 역시 박막자성제료로 투명한것을 연상하면 garnet이 일반적입니다. 투명자성박막에 중점을 두어 답변을 드리면, 1. Al를 치환한 garnet은 투과도가 높아지는 특성이 좋습니다. 2. Bi를 치환하면 Faraday rotation을 증폭시켜주어서 광자기적 특성 향상에 아주 좋습니다. 광자기적 특성을 중시하면 Bi-YIG가 가장 좋을 듯합니다. matrix materials로 epoxy와 PMMA에 YIG를 비롯해 Bi-YIG, Bi-DyIG 등의 나노 미립자를 분산한것들이 있습니다. 또한, Co-TiO2 박막이 자성을 띤다고 2001년 사이언스지에 나와있습니다. Co-TiO2서 Co가 자성에 기여합니다만, 박막중 정확히 치환을하고 있는지에 대하여서는 불투명합니다만, 결과적으로 자성을 뛰는 투명자석이라하여 한때 주목을 받았습니다. 간략히 정리하였습니다만, 도움이되길 바랍니다. -
답변
이성재님의 답변
2005-04-19- 0
몇가지 종류의 투명한 자성박막이 있읍니다. 레이저를 투명한 자성박막에 입사시키면 레이저빔이 통과되는 것을 볼 수 있읍니다. 예를들어 Gadolinium Gallium Ganet (GGG) 기판위에 생장된 yttrium iron garnet Y3Fe5O12 (YIG) 또는 bismuth-doped iron garnet (Bi,Tm)3(Fe,Ga)5O12 등이 있읍니다. 가넷물질뿐만 아니라 몇몇 이온고체, 반도체도 투명한 자성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읍니다. 이 투명자성 박막의 응용분야는 다음과 같읍니다. 투명한 자성 박막에 존재하는 자기 도메인은 수직이방성이 있음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미세한 자기장에도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편광된 빛을 투명 자성 박막에 입사시키면 외부 자기장이 걸린 경우 자기 도메인이 특정한 방향으로 정렬하고 편광빛은 패러데이 효과에 의해서 회전하며 이현상은 CCD 카메라로 포착할 수 있읍니다. 즉 외부자기장의 이미지를 직접 관측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초전도물질에서 나오는 자기플럭스 이미지를 직접 관측하며, 자성을 띈 부품이 금이 갔는지를 누출 자기장 이미지를 관측하여 확인하는 데도 쓰일 수 있읍니다. 물질의 자화 (M) 은 자기모멘트 (m), 부피 (V) 와 M=m/V 의 관계식이 있으므로 나노자성을 분산시켰을때 분산된 나노자성입자의 밀도가 자성 특성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읍니다. 즉 나노입자 분산이 띄엄 띄엄하게 분포될 경우, 벌크에서 보이는 똑같은 자성 특성을 얻기에는 일반적으로 힘들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 >다름이 아니라 자성 박막 중에 투명한 박막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그리고 폴리머를 matrix로 해서 거기에 나노 자성 재료를 분산시켜 > >자성 특성이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는 composite도 있나요?? > >그럼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