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4-21
org.kosen.entty.User@5c2997af
김영석(m11141)
- 1
1)mechanism
2)피폭의 물리,화학,생화학과정
3)exporse dose, absorbed dose의 실제적 예를 들면서
4)이 분야에서 공부를 더하고 싶은데 무엇을, 어떤 책을 봐야 할지?
저는 이번에 의공학 석사 과정에 들어갔는데 5월이 되도록 thema를
정하지 못 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의물리쪽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꼭 이 분야 아니더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고언을 부탁드립니다.
- diagnostin x-ray mechanis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효정님의 답변
2005-04-28- 0
특별히 병원용 엑스선 발생원리가 다를것 같지 않은데요.. 엑스선 발생원리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1. 원자 내에서 전자의 여기에 의한 발생 -> 일반적인 엑스선 기기의 발생 원리 2. 전자를 가속시켜 발생 -> 방사광 가속기 엑스선 발생원리 1번의 경우가 병원용에도 적용될듯 합니다. 원리는 filament에서 열전자를 발생시켜, 가속을 시킨 후 target metal에 보내면.. 가속된 열전자의 에너지가 target metal에 전달되면서, target metal 원자의 전자가 여기됩니다. 그리고, 이렇게 여기된 전자가 다시 낮은 에너지 준위로 떨어지면서 두 에너지 준위 차이에 해당하는 엑스선이 발생합니다. 사용하는 엑스선 기기의 파장은 이 에너지차이에 의해 결정 되는 것으로, Cu target의 경우 K_alpha 파장이 1.54A가 됩니다.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엑스선 기기는 target metal로 Cu를 많이 사용하고, 병원은 Mo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Mo는 Cu에 비해 파장이 짧아서 투과가 더 잘 되기 때문에 병원에서 엑스선 사진을 찍을때 사용한다던데, 의료용은 제 분야가 아니어서 잘 모르겠네요. 발생원리에 대해 어느정도의 정보가 필요하신지 모르겠는데... 가장 쉽게 구할수 있는 것은 Elements of x-ray diffraction (B.D. Cullity)가 있습니다. 이 책의 1장이 발생원리에 대한 것입니다. >1)mechanism >2)피폭의 물리,화학,생화학과정 >3)exporse dose, absorbed dose의 실제적 예를 들면서 >4)이 분야에서 공부를 더하고 싶은데 무엇을, 어떤 책을 봐야 할지? > 저는 이번에 의공학 석사 과정에 들어갔는데 5월이 되도록 thema를 > 정하지 못 했습니다. > 저는 개인적으로 의물리쪽으로 공부하고 싶습니다. > 꼭 이 분야 아니더라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고언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