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5-06
org.kosen.entty.User@43bae3d7
백승민(lyan1980)
- 2
신경신호의 상호교환에 관한 연구 사례를 구합니다..
시각신경에서 흥분 발생시 그 신호는 시각을 처리하는 뇌의 영역까지 연결된 신경통로만을 따라서 이동을 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다른 신경과도 신호교환을 하면서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뇌영역에서 신호를 받아들여서 시각신호임을 판별하는지에 관한 연구 자료를 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각신경에 다른 감각기관의 신호(바나나 냄새에 해당하는 후각신호나, 차가운 얼음을 만졌을 때의 촉각신호 등을 입력하면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연구 자료 또한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nerve signal
- exchang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운영자님의 답변
2005-05-09- 0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 이덕주 교수님께서 아래와 같이 답변해주셨습니다. 많은 도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질의하신 문헌은 다음 서적에서 찾아보실 수 있읍니다. Francis Crick The astonishing Hypothesis The Scientific Search for the Soul Charles Scribner's Sons, 1994 -
답변
운영자님의 답변
2005-05-11- 0
국제백신연구소 김병균팀장님께서 답변해주셨습니다. 선천적으로 한 가지 감각이 결손되면 남아 있는 다른 감각 기능이 증진된다. 대뇌피질을 포함한 뇌 기능이 재편된 결과이다. 가령, 선천성 맹인은 청각이나 언어처리가 정상인보다 빠르다. 대뇌의 시각피질이 언어처리 기능을 담당하게 되어, 선천성 맹인의 시각피질을 자기자극으로 마비시키면 언어 기능이 장애를 일으킨다. 출생 시 실험 동물의 안구를 적출하게 되면 시각피질로 발달하게 되었을 부분이 퇴화하며, 청각 입력이 전달되고 세포들은 청각 자극에 대해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대뇌의 기능은 어느 정도, 입력되는 신호의 양태에 따라 결정된다. 참고: http://www.ncbi.nlm.nih.gov/entrez/query.fcgi?cmd=Retrieve&db=pubmed&dopt=Abstract&list_uids=12163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