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5-13
org.kosen.entty.User@75ad10d2
박진우(jinu1115)
- 2
펩타이드의 형태가 변함에 따라
Fluorescence Anisotropy가 증가하는 것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gramicidin
- Fluorescence Anisotrop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성기님의 답변
2005-05-14- 0
Fluorescence 는 형광이라는 뜻인데 이것은 전자기 빛을 받아서 여기된 상태에서 아주 짧은 시간에 원상태로 돌아오면서 빛을 내는 것이라는 건 아실거고 Anisotropy 라는 것은 비등방성이라고 해서 방향에 따라서 달라진다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펩타이드의 형태에 따라서 구조가 바뀌므로 원자의 배열상태가 바뀌고 따라서 전자의 상태도 바뀌게 되는데 이 때문에 빛을 받어 여기된 전자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빛을 내어놓는 패턴이 달라져서 그런것 아닌가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이호진님의 답변
2005-05-15- 0
펩타이드의 형광을 관찰하셨다니, Trp 아미노산이 펩타이드에 있는 듯합니다. 아니면 fluorescence labelded peptide 일 수도 있구요. 형광 실험은 anisotropy나 Polarizability를 측정하기도 합니다. 특히 단백질이나 펩타이드의 결합시 형광의 변화를 측정하지요. anisotropy에 대한 정의는 메뉴월을 보시면 수직과 평행인 빛의 차이를 이용합니다(식은 이것보다 조금 복잡합니다). 즉 분자 모양이 직각 방향에서 얻은 것과 평행인 방향에서 얻은 형광이 다르면 비등방성이 커지고 값이 커집니다. 하지만 형광의 비등방성은 매우 작은 값이 변하기 때문에 여러 번의 반복 실험이 요구됩니다. 비등방성이 바뀌었다는 이야기는 펩타이드가 구조가 변한 것일 수도 있지만 움직임이 경직되기 때문에 변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물질, 예를 들어 TFE나 리피드를 넣어주시면서 실험했는지(이 경우 CD를 추천합니다) 아니면 펩타이드가 결합하는 단백질을 넣어주시면서 실험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제가 보는 견해는 그렇습니다.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에서 관련 총설을 본 적이 있습니다. 다시 찾으려니 찾을 수가 없네요.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