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5-19
org.kosen.entty.User@47e4983b
홍진철(yh5027)
- 2
요즘 은이온수에관해 말들이많은데 이에 대해 잘아시는분답변좀 부탁드립니다. 금속 물질을 이온수로 복용하면 무조건해가없는건지,수은,금.구리등등말입니다. 그리고 이온수제조기는 은만 이온수로 만들수있는건지 아니면 다른금속도가능한건지 아니면 금속에따라 전류나전압의 크기가다른건지요?
- Ag+coloi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훈희님의 답변
2005-05-20- 0
모든 금속 물질을 이온수로 복용한다고 해서 무조건 해가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은의 경우도 복용하는 양, 은 입자의 크기 등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해 제한되고 있습니다. www.dasomsit.com 은이온수 업체 인것 같습니다. >요즘 은이온수에관해 말들이많은데 이에 대해 잘아시는분답변좀 부탁드립니다. 금속 물질을 이온수로 복용하면 무조건해가없는건지,수은,금.구리등등말입니다. 그리고 이온수제조기는 은만 이온수로 만들수있는건지 아니면 다른금속도가능한건지 아니면 금속에따라 전류나전압의 크기가다른건지요? -
답변
김강형님의 답변
2015-03-03- 0
금속염을 물에 녹이면 바로 이온화가 됩니다.
금속이온수는 만들기 쉽죠.
그리고 이미 천연수에는 지하 광물에서 유래하여 약간의 금속이온들, 철분, 마그네슘, 아연 등이 녹아 있습니다.
그러나 구리, 수은 등은 중금속입니다.
비중이 높은 금속들은 체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개가 뼈, 간, 신장 등에서 쌓여 독성을 발생하면서 그 주변의 세포를 손상시키게 됩니다.
육가 크롬같은 경우는 뼈 조직에 섞여 들어가면 주변 조직에 염증을 일으키고 썩어내리도록 독성을 발생합니다.
중금속이 아니더라도 알루미늄은 조리식기 등에서 용해되어 체내로 흡수되는데 뇌로 가서 축적되어 뇌세포가 죽게 만들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구리는 연체동물의 혈액에 섞여 있고 살균효과가 있고 우리 몸에서는 효소나 단백질 구성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우리 몸에도 간과 뇌, 심장, 신장에 많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양은 약 100~150mg으로 일부러 먹어야 할 정도는 아닙니다.
오히려 많이 먹으면 세포손상을 유발한다고 합니다.
수은은 육가 크롬처럼 독성 때문에 절대 섭취하면 안되는 금속입니다. 농약 등을 통해 하수로 흘러들어가 바다로 가고 작은 생물들이 먹고나면 큰 물고기나 물개, 고래 등 먹이사슬 구조의 상층부에 속하는 동물들에 농축되기 때문에 결국 우리가 그것을 다시 먹게 된다고 하죠.
아연, 철분 등은 체내 대사와 호르몬 분비 등에 필수적이지만 아까 말씀드린 것 처럼 그 양은 아주 소량입니다. 따라서 미네랄 생수나 야채와 고기 등에서 대부분 섭취되는데 편식하거나 식사량이 지나치게 적을 경우에만 일부러 영양제 형태로 섭취하게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