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생화학교실에서 주로 이용하는 저널이나 DB혹은 그외 정보 수집과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의학도서관의 서비스 모형 구축이라는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의학도서관에서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원 구축 샘플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일단, 생화학교실 연구원이 주로 이용하는 연구정보원, 저널이나 DB 학회정보나 그외 즐겨찾기에 포함되어있는, 그러한 정보를 수집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 이용자를 직접 면담하고 있으나, 수적인 한계로 인해서 다양한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신다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정보검색에 관련된 모든 자료, 혹은 자주 들어가는 모든 사이트, 즐겨찾기 되어 있는 모든 자료, 연구원분들이 자주 보시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참고정보원은 이미 익숙하게 모든 정보를 이용하시는 연구원분들께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원에게는, 어떤 정보원에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는 이용자에게는 하나의 접근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의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이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reference site
  • biochemistr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노성환님의 답변

    >의학도서관의 서비스 모형 구축이라는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의학도서관에서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원 구축 샘플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일단, 생화학교실 연구원이 주로 이용하는 연구정보원, 저널이나 DB 학회정보나 그외 즐겨찾기에 포함되어있는, 그러한 정보를 수집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 이용자를 직접 면담하고 있으나, 수적인 한계로 인해서 다양한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신다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정보검색에 관련된 모든 자료, 혹은 자주 들어가는 모든 사이트, 즐겨찾기 되어 있는 모든 자료, 연구원분들이 자주 보시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참고정보원은 이미 익숙하게 모든 정보를 이용하시는 연구원분들께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원에게는, 어떤 정보원에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는 이용자에게는 하나의 접근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의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이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당연히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의 NCBI 및 PUBMED를 이용하지요. 다른 대안/표준이 있을까요?
    >의학도서관의 서비스 모형 구축이라는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의학도서관에서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원 구축 샘플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일단, 생화학교실 연구원이 주로 이용하는 연구정보원, 저널이나 DB 학회정보나 그외 즐겨찾기에 포함되어있는, 그러한 정보를 수집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 이용자를 직접 면담하고 있으나, 수적인 한계로 인해서 다양한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신다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정보검색에 관련된 모든 자료, 혹은 자주 들어가는 모든 사이트, 즐겨찾기 되어 있는 모든 자료, 연구원분들이 자주 보시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참고정보원은 이미 익숙하게 모든 정보를 이용하시는 연구원분들께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원에게는, 어떤 정보원에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는 이용자에게는 하나의 접근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의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이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당연히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의 NCBI 및 PUBMED를 이용하지요. 다른 대안/표준이 있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의대 도서관을 통해서 아래의 해외 DB에 자주 접속합니다. OVID, ProQuest, MD Consult,Wiley InterScience, Harrison's Onlin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First Search, Medical Dictionary, ScienceDirect... medlib.snu.ac.kr로 들어가서 클릭하시면 UR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CBI 이외에 KISTI(www.kisti.re.kr), Expasy(www.expasy.org) 등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의학도서관의 서비스 모형 구축이라는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의학도서관에서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원 구축 샘플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일단, 생화학교실 연구원이 주로 이용하는 연구정보원, 저널이나 DB 학회정보나 그외 즐겨찾기에 포함되어있는, 그러한 정보를 수집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 이용자를 직접 면담하고 있으나, 수적인 한계로 인해서 다양한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신다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정보검색에 관련된 모든 자료, 혹은 자주 들어가는 모든 사이트, 즐겨찾기 되어 있는 모든 자료, 연구원분들이 자주 보시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참고정보원은 이미 익숙하게 모든 정보를 이용하시는 연구원분들께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원에게는, 어떤 정보원에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는 이용자에게는 하나의 접근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의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이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의대 도서관을 통해서 아래의 해외 DB에 자주 접속합니다. OVID, ProQuest, MD Consult,Wiley InterScience, Harrison's Online,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 First Search, Medical Dictionary, ScienceDirect... medlib.snu.ac.kr로 들어가서 클릭하시면 URL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CBI 이외에 KISTI(www.kisti.re.kr), Expasy(www.expasy.org) 등을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의학도서관의 서비스 모형 구축이라는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의학도서관에서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원 구축 샘플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일단, 생화학교실 연구원이 주로 이용하는 연구정보원, 저널이나 DB 학회정보나 그외 즐겨찾기에 포함되어있는, 그러한 정보를 수집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 이용자를 직접 면담하고 있으나, 수적인 한계로 인해서 다양한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신다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정보검색에 관련된 모든 자료, 혹은 자주 들어가는 모든 사이트, 즐겨찾기 되어 있는 모든 자료, 연구원분들이 자주 보시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참고정보원은 이미 익숙하게 모든 정보를 이용하시는 연구원분들께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원에게는, 어떤 정보원에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는 이용자에게는 하나의 접근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의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이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한훈님의 답변

    저는 생명과학 전공자입니다. 저널이나 DNA, PROTEIN sequence를 확인하기 위하여 www.blackwellpublishing.com www.hematology. org www.sciencedirect.com www.ncbi.gov www.ibc.org www.nature.com등을 이용합니다. 그리고 kosen21도 이용하지요 ^^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의학도서관의 서비스 모형 구축이라는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의학도서관에서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원 구축 샘플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일단, 생화학교실 연구원이 주로 이용하는 연구정보원, 저널이나 DB 학회정보나 그외 즐겨찾기에 포함되어있는, 그러한 정보를 수집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 이용자를 직접 면담하고 있으나, 수적인 한계로 인해서 다양한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신다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정보검색에 관련된 모든 자료, 혹은 자주 들어가는 모든 사이트, 즐겨찾기 되어 있는 모든 자료, 연구원분들이 자주 보시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참고정보원은 이미 익숙하게 모든 정보를 이용하시는 연구원분들께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원에게는, 어떤 정보원에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는 이용자에게는 하나의 접근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의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이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생명과학 전공자입니다. 저널이나 DNA, PROTEIN sequence를 확인하기 위하여 www.blackwellpublishing.com www.hematology. org www.sciencedirect.com www.ncbi.gov www.ibc.org www.nature.com등을 이용합니다. 그리고 kosen21도 이용하지요 ^^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의학도서관의 서비스 모형 구축이라는 논문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의학도서관에서 이용자를 위한 참고정보원 구축 샘플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일단, 생화학교실 연구원이 주로 이용하는 연구정보원, 저널이나 DB 학회정보나 그외 즐겨찾기에 포함되어있는, 그러한 정보를 수집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관련 이용자를 직접 면담하고 있으나, 수적인 한계로 인해서 다양한 정보원을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이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해주신다면,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정보검색에 관련된 모든 자료, 혹은 자주 들어가는 모든 사이트, 즐겨찾기 되어 있는 모든 자료, 연구원분들이 자주 보시는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 >(이러한 참고정보원은 이미 익숙하게 모든 정보를 이용하시는 연구원분들께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할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연구를 시작하는 연구원에게는, 어떤 정보원에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는 이용자에게는 하나의 접근점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의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되어 더 자세한 설명을 원하신다면 이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