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RF 무선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배선(신호 전달선) 건

고주파로서 RF 무선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배선용으로 AlN 기판의 상부에 박막(thin film)을 코팅해서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이것은 고주파가 배선을 통해 빠른 속도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표면이 요철(roughness)이 없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요즈음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RF 무선의 전송용으로 이러한 사양이 많이 요구된다고 들었습니다. 사실인지요. 사실이라면 박막의 재료는 어떠한 것이 좋은 것인지요. 자료 혹은 경향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wireless
  • high frequency
  • thin film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 고주파로서 RF 무선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배선용으로 AlN 기판의 상부에 >박막(thin film)을 코팅해서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이것은 고주파가 배선을 통해 빠른 속도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표면이 요철(roughness)이 없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요즈음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RF 무선의 전송용으로 이러한 사양이 많이 요구된다고 들었습니다. 사실인지요. >사실이라면 박막의 재료는 어떠한 것이 좋은 것인지요. >자료 혹은 경향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Base 기판이 AlN라고 하셨는데요 보통 고주파에 쓰이는 Base는고분자물질중에 Q값이 우수한 테프론이 쓰이며, 이는 일반 PCB(FR4)를 대신합니다. 많이 쓰이지는않구요 그리고 이것보다 우수한게 세라믹 기판인데 보통 Q값이 좋은 고순도 알루미나 기판이 쓰입니다. 현재 고특성을 요구하는 중계기나 기지국, 시스템장비 쪽에는 많이 씁니다. AlN기판은 압전특성을 갖는 소재인데, Acoustic Wave 전송 속도가 기존의 압전기판(LNO, LTO)보다 우수해 이를 대체하려는 소재로 쓰입니다. 일반 고주파 기판용으로 쓰인다는 말은 아직 못 들어봤는데요. 특히 핸드폰에는?????? AlN는 제조하기가 보통 어려운게 아닙니다. 예전에 AlN 박막을 제조해 BAW Filter를 만들어 본적이 있는데 상용화는 하지 못했습니다. 배선용 전극을 만드는 방법은 박막을 이용하거나, 도금을 하기도하고, 스크린인쇄를 하기도 합니다. 고주파용 배선(전극)재 로는 흔히 구리나 금을 사용하며, 은전극을 쓸때도 있고, 때때로 알루미늄 전극을 쓰기도 합니다. 어떠한 전극이든 박막으로 제조할때는 기판의 roughness, 금속의 Roughness가 중요한데, 말씀하신데로 Roughness가 크면 전송손실이 안 좋아집니다.
    > 고주파로서 RF 무선 전송 및 수신을 위한 배선용으로 AlN 기판의 상부에 >박막(thin film)을 코팅해서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이것은 고주파가 배선을 통해 빠른 속도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표면이 요철(roughness)이 없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요즈음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RF 무선의 전송용으로 이러한 사양이 많이 요구된다고 들었습니다. 사실인지요. >사실이라면 박막의 재료는 어떠한 것이 좋은 것인지요. >자료 혹은 경향에 대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Base 기판이 AlN라고 하셨는데요 보통 고주파에 쓰이는 Base는고분자물질중에 Q값이 우수한 테프론이 쓰이며, 이는 일반 PCB(FR4)를 대신합니다. 많이 쓰이지는않구요 그리고 이것보다 우수한게 세라믹 기판인데 보통 Q값이 좋은 고순도 알루미나 기판이 쓰입니다. 현재 고특성을 요구하는 중계기나 기지국, 시스템장비 쪽에는 많이 씁니다. AlN기판은 압전특성을 갖는 소재인데, Acoustic Wave 전송 속도가 기존의 압전기판(LNO, LTO)보다 우수해 이를 대체하려는 소재로 쓰입니다. 일반 고주파 기판용으로 쓰인다는 말은 아직 못 들어봤는데요. 특히 핸드폰에는?????? AlN는 제조하기가 보통 어려운게 아닙니다. 예전에 AlN 박막을 제조해 BAW Filter를 만들어 본적이 있는데 상용화는 하지 못했습니다. 배선용 전극을 만드는 방법은 박막을 이용하거나, 도금을 하기도하고, 스크린인쇄를 하기도 합니다. 고주파용 배선(전극)재 로는 흔히 구리나 금을 사용하며, 은전극을 쓸때도 있고, 때때로 알루미늄 전극을 쓰기도 합니다. 어떠한 전극이든 박막으로 제조할때는 기판의 roughness, 금속의 Roughness가 중요한데, 말씀하신데로 Roughness가 크면 전송손실이 안 좋아집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