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5-26
org.kosen.entty.User@6c6859c9
배종대(johndy)
- 2
1. 항균직물시험에 사용되는 SM9222D의 시험방법을
알고자 합니다.
2. 위의 시험방법과 KS K0693방법의 차이를 알고자
합니다.
3. 위의 방법이외에 더 간단한 간이 Lab test 방법은
없는지요?
- antimicrobial fabric
- E. coli
- SM9222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5-05-26- 0
일단 KS K0693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SM 9222D는 조금 더 알아본 후에... 그리고 KS K0693의 방법을 읽어보니 아주 간단한 방법이네요. 다른 방법으로는 petridish를 사용해서 실험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E. coli를 키울 수 있는 배지+agar를 petridish에 깔아서 고체 배지를 만든후 이 곳에 E. coli를 배양하여 얇게 도포를 합니다. 대략 0.5-1 mL정도 도포를 하면 됩니다. 그리고 그 위에 항균성을 실험하고자 하는 직물은 paperdisk(크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직경 5mm 정도)의 모양을 자른 후 고체 배지위에 올려 놓습니다. 이를 incubator에서 키운 후 꺼내어 보면 항균력을 가진 직물 주위에는 E.coli가 자라지 못해서 clear zone이 형성됩니다. 이 clear zone의 직경을 재서 간접적으로 항균력의 세기를 간단히 알 수 있습니다. > > 1. 항균직물시험에 사용되는 SM9222D의 시험방법을 > 알고자 합니다. > 2. 위의 시험방법과 KS K0693방법의 차이를 알고자 > 합니다. > > 3. 위의 방법이외에 더 간단한 간이 Lab test 방법은 > 없는지요? > > -
답변
이성일님의 답변
2005-05-29- 0
> > 1. 항균직물시험에 사용되는 SM9222D의 시험방법을 > 알고자 합니다. > 2. 위의 시험방법과 KS K0693방법의 차이를 알고자 > 합니다. > > 3. 위의 방법이외에 더 간단한 간이 Lab test 방법은 > 없는지요? > > 또한 MIC나 MBC를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현재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각 Lab마다 하는 방법은 조 금씩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3가지 방법정도가 있겠네 요.. 1.O.D로 시험하고자 하는 물질을 넣고 액체 배지에서 키운뒤 배양 전후의 밀도차를 구하는 방법 2.DISK ASSAY 방법으로 상용화된 DISK를 구입하신뒤 적정 농도를 DISK위에 접종뒤 항균성을 알아 보는 방법입니다. 3번?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최소 저해 농도와 최소 살균 농도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최근 추세는 현미경 사진으로 저해되는 장면을 찍는 것입니다. 그냥 참고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