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5-27
org.kosen.entty.User@2f4848fa
한형진(dime2st)
- 1
Cancer의 progression에 있어서 stem cell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cancer cell이 있다는 이론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데요.. 이 이론이 기존의 것과 다른 점이 무엇인가요? 그리고 어느정도의 타당성을 가지는가요? 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cancer
- stem cell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5-27- 0
최신 지견이라기 보다 제가 아는 선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암조직 내에 줄기세포가 존재하여 지속적인 성장과 분열을 하고 있다는 가설은 leukemia 연구에서 처음 제시되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이 cancer stem cell의 origin과 기본적인 지식은 잘 밝혀져 있지 않고 논쟁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종양 실험 모델을 통해 이러한 가설이 제기되었습니다. 암세포는 세포배양실험에서 정상세포와 다른 특징을 보이기 때문에 transformation 되었다는 말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서 in vitro 실험에서 soft-agar assay, colony formation assay 등을 이용하여 유전자의 변이가 암화에 미치는 영향 등을 많이 연구하죠...그런데 환자의 암세포를 이용해서 실험을 해보면 모든 암세포가 colony를 형성하지 않고 극히 낮은 빈도로 colony가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암세포 중 일부인 암줄기 세포가 지속적인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하게 되었습니다. 후속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어 유방암, 백혈병의 특정유형, 다발성 골수종에서는 암줄기세포의 존재가 제시된 바 있습니다. 정상적인 줄기세포와 다른 점이라면 생체 제어 시스템의 통제를 받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는 점입니다. 그렇다면 암세포를 무작위적으로 죽이는 치료요법보다 암줄기세포와 일반 암세포를 죽일 수 있는 치료요법이 병행된다면 암치료의 효율을 굉장히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암세포를 아무리 잘 죽여도 소수의 암줄기세포가 살아남으면 재발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죠...물론 쉬운 얘기는 아닙니다. 암줄기세포의 특징을 잘 연구해야 하며, 분자수준에서 정상줄기세포와의 차이를 밝히는 기초연구가 지속되어야만 암줄기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죽일 수 있는 신약개발 전략 또한 진보할 수 있겟죠... 보신 내용인지는 모르겠으나 첨부파일로 하나 올려 볼께요... >Cancer의 progression에 있어서 stem cell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cancer cell이 있다는 이론이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데요.. 이 이론이 기존의 것과 다른 점이 무엇인가요? 그리고 어느정도의 타당성을 가지는가요? 좀 구체적으로 알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