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alse color image???

false color image??? GFP로 tagging 된 단백질을 false color image로 본다는말이... 적외선을 쬐어서 현미경로 관찰한다는건가요?? 그리고 GFP로 tagging 했는데 적외선을 쬐면 주황색으로 보이나요?? 책에 그림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가르쳐주세요
  • false color imag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내용 파악을 제대로 못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지만 false color image는 실제로 색을 띠지는 않지만 인위적으로 색의 변화를 주어 한눈에 파악하고 이해하기 좋게 하기 위한 이미징의 기법으로 보여집니다. 예를 들면 GFP-fusion protein이 세포내 어디에 많이 위치하느냐에 따라 형광의 세기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눈으로는 하나의 색깔을 관찰하기 때문에 형광의 세기를 정확히 판단하기 힘든 면이 있습니다. 이럴 때 형광의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표현한다면 아마 한눈에 파악하기에 편리하겠죠... 또한 bioluminescence를 이용한 이미징의 경우도 발광 강도에 따라 색을 다르게 사용하여 나타내면 쉽게 구분이 가능하겠죠... 아마 그런 의미로 사용한 것 같습니다. 실제로 형광을 이용한 세포생물학적 기법 특히 FRET, BRET 같은 기법에서 False color image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false color image??? >GFP로 tagging 된 단백질을 false color image로 본다는말이... >적외선을 쬐어서 현미경로 관찰한다는건가요?? >그리고 GFP로 tagging 했는데 적외선을 쬐면 주황색으로 보이나요?? >책에 그림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가르쳐주세요
    내용 파악을 제대로 못해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가 어렵지만 false color image는 실제로 색을 띠지는 않지만 인위적으로 색의 변화를 주어 한눈에 파악하고 이해하기 좋게 하기 위한 이미징의 기법으로 보여집니다. 예를 들면 GFP-fusion protein이 세포내 어디에 많이 위치하느냐에 따라 형광의 세기가 다르게 나타납니다. 그러나 눈으로는 하나의 색깔을 관찰하기 때문에 형광의 세기를 정확히 판단하기 힘든 면이 있습니다. 이럴 때 형광의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표현한다면 아마 한눈에 파악하기에 편리하겠죠... 또한 bioluminescence를 이용한 이미징의 경우도 발광 강도에 따라 색을 다르게 사용하여 나타내면 쉽게 구분이 가능하겠죠... 아마 그런 의미로 사용한 것 같습니다. 실제로 형광을 이용한 세포생물학적 기법 특히 FRET, BRET 같은 기법에서 False color image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false color image??? >GFP로 tagging 된 단백질을 false color image로 본다는말이... >적외선을 쬐어서 현미경로 관찰한다는건가요?? >그리고 GFP로 tagging 했는데 적외선을 쬐면 주황색으로 보이나요?? >책에 그림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가르쳐주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