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음주측정기의 원래에대해 빠른 답변 부탁드립니다.

음주단속을 하는 경찰들이 들고다니면서 검사하는 음주측정 기기의 원래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측정기의 오차는 어느정도 되는지... 알려주십시요.
  • Alcho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알콜은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일반 음식물과 달리 소화(digestion)없이 바로 체내로 흡수(absorption)됩니다. 가장 많은 양이 흡수되는 곳은 소장의 상피조직이지만 입, 식도, 위 등의 점막조직에서도 흡수과정이 일어납니다. 그러므로 소장에서 흡수된 알콜이 혈류로 가장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또한 위를 통해서 얼마나 빨리 소장으로 내려가느냐에 의해 알콜 흡수 속도가 결정되겠죠... 일반적으로 위에 음식물이 있으면 알콜 흡수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납니다 (안주를 먹어야 덜 취하겠죠...). 흡수된 알콜의 거의 대부분은 간에서 대사기전을 통해 제거되는데 일반적으로 여성은 대사관련 효소의 활성이 남성보다 낮다는 보고도 있고 체내 수분의 양이 남성보다 작기 때문에 혈중 알콜농도가 높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어 여성의 경우 알콜에 대한 신체 손상이 더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혈류의 알콜이 폐에 도달하면 페의 모세혈관과 aveoli에서 알콜의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호흡을 할 때 CO2가 몸 밖으로 나오는 과정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혈액검사와 호흡검사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혈액과 호흡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대략 2,100:1 (1700:1 to 2400:1) 정도입니다. 이는 쉽게 표현하면 혈액 1 미리리터의 알콜양과 폐공기 2,100 미리리터에 포함된 알콜양이 같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호흡검사를 통해서 측정한 알콜의 농도를 혈중농도로 환산해야 하는데 사람마다 호흡알콜 농도와 혈중알콜 농도가 큰차이를 보인다면 호흡검사를 할 수 없겠죠...물론 사람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납니다. >음주단속을 하는 경찰들이 들고다니면서 검사하는 음주측정 기기의 원래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측정기의 오차는 어느정도 되는지... 알려주십시요.
    알콜은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일반 음식물과 달리 소화(digestion)없이 바로 체내로 흡수(absorption)됩니다. 가장 많은 양이 흡수되는 곳은 소장의 상피조직이지만 입, 식도, 위 등의 점막조직에서도 흡수과정이 일어납니다. 그러므로 소장에서 흡수된 알콜이 혈류로 가장 많이 들어가게 됩니다. 또한 위를 통해서 얼마나 빨리 소장으로 내려가느냐에 의해 알콜 흡수 속도가 결정되겠죠... 일반적으로 위에 음식물이 있으면 알콜 흡수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일어납니다 (안주를 먹어야 덜 취하겠죠...). 흡수된 알콜의 거의 대부분은 간에서 대사기전을 통해 제거되는데 일반적으로 여성은 대사관련 효소의 활성이 남성보다 낮다는 보고도 있고 체내 수분의 양이 남성보다 작기 때문에 혈중 알콜농도가 높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어 여성의 경우 알콜에 대한 신체 손상이 더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혈류의 알콜이 폐에 도달하면 페의 모세혈관과 aveoli에서 알콜의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이는 호흡을 할 때 CO2가 몸 밖으로 나오는 과정과 동일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혈액검사와 호흡검사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혈액과 호흡의 비율은 통계적으로 대략 2,100:1 (1700:1 to 2400:1) 정도입니다. 이는 쉽게 표현하면 혈액 1 미리리터의 알콜양과 폐공기 2,100 미리리터에 포함된 알콜양이 같다는 의미입니다. 이를 이용해서 호흡검사를 통해서 측정한 알콜의 농도를 혈중농도로 환산해야 하는데 사람마다 호흡알콜 농도와 혈중알콜 농도가 큰차이를 보인다면 호흡검사를 할 수 없겠죠...물론 사람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납니다. >음주단속을 하는 경찰들이 들고다니면서 검사하는 음주측정 기기의 원래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측정기의 오차는 어느정도 되는지... 알려주십시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용찬님의 답변

    음주 측정기는 사람이 내쉬는 공기 속에 들어 있는 알코올의 양을 측정해 혈중 알코올 농도를 알아 내는 기기입니다. 1939년 미국 인디애나주(州) 경찰이 처음 사용하으며, 이후 다양한 형태의 음주측정기가 등장하였는데, 초창기에는 풍선과 비슷한 플라스틱 주머니와 결정이 들어 있는 고무 튜브 측정기가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측정기는 측정 대상자의 날숨을 주머니 속에 불어넣으면, 결정 색상이 튜브에 표시된 색상으로 변하도록 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알아내는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사람이 술을 마시면 체내로 들어간 알코올 성분은 위와 장에서 흡수됩니다. 그중 10% 정도는 소화되지 않은 채 호흡·땀·소변 등에 섞여 밖으로 배출됩니다. 나머지 90%는 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해 간에서 산화되면서 아세트산으로 바뀌어 체내에 에너지를 공급한 뒤, 다시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어 호흡으로 배출됩니다. 사람이 내쉬는 숨 속에 들어 있는 알코올은 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으로 들어갔던 알코올의 일부분입니다. 즉 피 속에 들어 있던 알코올의 일부가 공기와 섞여 몸 밖으로 나온 것입니다. 따라서 숨 속에 들어 있는 알코올의 양을 측정하면 혈중 알코올 농도도 알 수 있습니다. 음주측정기는 내쉬는 숨 속에 들어 있는 알코올 양을 측정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알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입니다.
    음주 측정기는 사람이 내쉬는 공기 속에 들어 있는 알코올의 양을 측정해 혈중 알코올 농도를 알아 내는 기기입니다. 1939년 미국 인디애나주(州) 경찰이 처음 사용하으며, 이후 다양한 형태의 음주측정기가 등장하였는데, 초창기에는 풍선과 비슷한 플라스틱 주머니와 결정이 들어 있는 고무 튜브 측정기가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이 측정기는 측정 대상자의 날숨을 주머니 속에 불어넣으면, 결정 색상이 튜브에 표시된 색상으로 변하도록 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알아내는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사람이 술을 마시면 체내로 들어간 알코올 성분은 위와 장에서 흡수됩니다. 그중 10% 정도는 소화되지 않은 채 호흡·땀·소변 등에 섞여 밖으로 배출됩니다. 나머지 90%는 알코올 분해효소에 의해 간에서 산화되면서 아세트산으로 바뀌어 체내에 에너지를 공급한 뒤, 다시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어 호흡으로 배출됩니다. 사람이 내쉬는 숨 속에 들어 있는 알코올은 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으로 들어갔던 알코올의 일부분입니다. 즉 피 속에 들어 있던 알코올의 일부가 공기와 섞여 몸 밖으로 나온 것입니다. 따라서 숨 속에 들어 있는 알코올의 양을 측정하면 혈중 알코올 농도도 알 수 있습니다. 음주측정기는 내쉬는 숨 속에 들어 있는 알코올 양을 측정함으로써 혈중 알코올 농도를 알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