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6-09
org.kosen.entty.User@4043398e
김상우(doctor1)
- 2
생화학적인 지식이 부족해서 여쭙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albumin을 비롯한 serum proteins에 대해서 정상쥐나 사람에 있어서 time pattern에 따른 변화에 대한 지식을 얻고자 합니다.
즉, 시간에 지남에 따라 albumin을 비롯한 여러 serum proteins의 expression level이 변화하는데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관한 자료가 있으시거나 지식을 가지고 계신분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특히 serum albumin에 대해서)
많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album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6-09- 0
albumin은 어느 시점에서 합성이 되어 어느 시점에 중단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합성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시간경과에 따른 단백질의 농도 변화라는 의미를 적용하기에 힘든 면이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참고로 사람의 혈장 단백질의 농도는 66-87 mg/ml 정도인데 albumin의 농도는 34-48 mg/ml (혈장 단백질의 50-60%)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serum albumin은 거의 대부분 간에서 합성되고 half-life는 15-20 일 정도로 장기간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slow turnover rate 때문에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약물과 관련된 간세포 독성등 acute 또는 mild hepatic dysfunction의 좋은 indicator가 될 수 없습니다. 다만 cirrhosis (간경화)와 같은 만성 간질환일 경우 대략 30 mg/ml 미만인 Hypoalbuminemia (저알부민혈증)을 보일 수 있습니다 (물론 저알부민혈증이 나타나는 건 만성 간질환 이외에 단백질 식이불균형 및 기타 질환의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albumin을 저단백질혈증 치료에도 사용합니다). >생화학적인 지식이 부족해서 여쭙습니다. > >다름이 아니라. > >albumin을 비롯한 serum proteins에 대해서 정상쥐나 사람에 있어서 time pattern에 따른 변화에 대한 지식을 얻고자 합니다. >즉, 시간에 지남에 따라 albumin을 비롯한 여러 serum proteins의 expression level이 변화하는데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관한 자료가 있으시거나 지식을 가지고 계신분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특히 serum albumin에 대해서) > >많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답변
염춘택님의 답변
2005-06-13- 0
>생화학적인 지식이 부족해서 여쭙습니다. > >다름이 아니라. > >albumin을 비롯한 serum proteins에 대해서 정상쥐나 사람에 있어서 time pattern에 따른 변화에 대한 지식을 얻고자 합니다. >즉, 시간에 지남에 따라 albumin을 비롯한 여러 serum proteins의 expression level이 변화하는데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관한 자료가 있으시거나 지식을 가지고 계신분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특히 serum albumin에 대해서) > >많은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새로운 특허/실용 등록된 자료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Novel expressing vector, recombinant Hansenulapolymorpha and a production process for human serumalbumin using recombinant Hansenula polymorpha) 알부민 발현벡터가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GAP 유전자 부위로 특정하게 삽입되도록 제조된 재조합벡터로서, 도 2(c)에 기재된 개열지도를 갖는 발현벡터 pYHSA173 (KCTC 10006BP). 알부민 발현벡터가 한세눌라 폴리모르파 유래의 글리세르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유전자 부위로 특정하게 삽입되도록 제조된 재조합벡터로서, 도 2(C)에 기재된 개열지도를 갖는 발현벡터 PYHSA173 (KCTC 10006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