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한국전력에 대한 질문입니다

한국전력사용상황에 대해서 알고 싶은데요,특히 전력의 가동력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으세요? 답변부탁드립니다.
  • 전력
  • 수소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www.kepco.co.kr의 홈페이지를 찾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첨부한 자료의 참고자료에 보시면 한국전력소비현황에 대한 자료가 나와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한국전력사용상황에 대해서 알고 싶은데요,특히 전력의 가동력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으세요? > >답변부탁드립니다.
    www.kepco.co.kr의 홈페이지를 찾아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첨부한 자료의 참고자료에 보시면 한국전력소비현황에 대한 자료가 나와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한국전력사용상황에 대해서 알고 싶은데요,특히 전력의 가동력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 있으세요? > >답변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정극님의 답변

    질문하신 내용 중 전력의 가동력이란 단어는 좀 생소하기도 하고 애매모호 하기도 해서 실제로 알고 싶으신 것이 어떤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아는 한 답변을 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 사용 상황은 앞 분의 답변처럼 한국전력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공급능력은 현재 보유중인 발전소 전체 가동시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며 현재부하는 현재 생산하는 전력량 그리고 공급능력 대비 현재부하의 비율입니다. 이 경우 중요한 것은 전력의 가동력보다는 발전소 가동율이 중요합니다. 한국전력은 분사된 발전사에서 전력을 구매하여 판매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얼마되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전력을 구매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복잡한 계약을 발전사와 하게 됩니다. 일단 발전단가가 가장 낮은 원자력 발전소는 100% 출력으로 가동이 됩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전력이 필요한 경우 발전단가 순서대로 발전소를 가동하게 됩니다. 어렴풋이 기억하기로는 원자력, 가스화력, 유연탄, 무연탄 화력의 순서입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원자력 발전소는 100% 출력으로 항상 가동하기 때문에 야간이나 전력부하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잉여 전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는 질문하신 전력의 가동력(가동율)이라는 용어가 맞을 수도 있겠네요. 그래서 남는 전기를 이용하는 많은 방법이나 정책들이 나와 있죠. 심야 전기가 가장 대표적인 것입니다. 그러나 심야전기는 비싸게 생산한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냥 물쓰듯 써버리는 단순한 정책이며 최근에는 남는 전기로 수소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필요시 연료전지에 공급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질문하신 내용 중 전력의 가동력이란 단어는 좀 생소하기도 하고 애매모호 하기도 해서 실제로 알고 싶으신 것이 어떤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제가 아는 한 답변을 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 사용 상황은 앞 분의 답변처럼 한국전력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습니다. 공급능력은 현재 보유중인 발전소 전체 가동시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며 현재부하는 현재 생산하는 전력량 그리고 공급능력 대비 현재부하의 비율입니다. 이 경우 중요한 것은 전력의 가동력보다는 발전소 가동율이 중요합니다. 한국전력은 분사된 발전사에서 전력을 구매하여 판매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필요한 전력이 얼마되지 않은 상태에서 많은 전력을 구매할 수는 없기 때문에 복잡한 계약을 발전사와 하게 됩니다. 일단 발전단가가 가장 낮은 원자력 발전소는 100% 출력으로 가동이 됩니다. 그리고 그 외에도 전력이 필요한 경우 발전단가 순서대로 발전소를 가동하게 됩니다. 어렴풋이 기억하기로는 원자력, 가스화력, 유연탄, 무연탄 화력의 순서입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원자력 발전소는 100% 출력으로 항상 가동하기 때문에 야간이나 전력부하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잉여 전력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 때는 질문하신 전력의 가동력(가동율)이라는 용어가 맞을 수도 있겠네요. 그래서 남는 전기를 이용하는 많은 방법이나 정책들이 나와 있죠. 심야 전기가 가장 대표적인 것입니다. 그러나 심야전기는 비싸게 생산한 전기를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냥 물쓰듯 써버리는 단순한 정책이며 최근에는 남는 전기로 수소를 생산하여 저장하고 필요시 연료전지에 공급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