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endrite를 이용한 냉각속도 측정법에 관해서...

재료의 미세조직을 관찰하여 냉각속도를 측정(예상)하고자 합니다. dendrite arm spaing을 측정하는 방법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측정하며, 어떤 data가 있어야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제가 시험한 재료는 pure cu 이며, 앞으로 다른 재료에 대해서도 실험을 할 예정입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dendrite
  • arm spac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송준희님의 답변

    spacing이겠지요.. 먼저 덴드라이트는 한자로 樹枝狀結晶로 나무가지 모양의 결정을 말합니다. 소나무 형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는 금속이나 합금 등의 용융액이 응고할 때 생기는 결정형상의 하나로서 수지(樹枝) 모양으로 발달합니다. 용융액의 응고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은 액의 온도가 녹는점보다도 어느 정도 낮아졌을 때인데, 수지상결정은 넓은 범위에 걸쳐 과냉도가 큰 경우에 생김니다. 직접 실험해 본 것은 아니지만 방법은 수지상 가지의 간격을 측정하면 재료의 냉각속도와 반비례합니다. 즉, 냉각속도가 증가할 경우 조성적 과냉의 영향으로 가지 간격이 감소하고 반대로 냉각속도가 감소할 경우 가지 간격이 증가합니다. 냉각속도와 가지 간격의 관계식도 있는데 재료마다 다르겠지요. 많은 연구는 주로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서인데 원하시는 재료에 대해 실험식을 얻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인자들은 가지의 간격, 냉각속도, 응고시간 , 계수(1차 가지 간격 :1/3∼1/2, 2차 가지 간격 :1/4∼1/3) 등입니다. 알루미늄은 있는데 그외의 선행연구된 자료가 있는지는?? 실험식이나 데이터가 있다면 바로 현미경으로 간격을 측정하여 냉각속도를 찾을 수 있습니다.
    spacing이겠지요.. 먼저 덴드라이트는 한자로 樹枝狀結晶로 나무가지 모양의 결정을 말합니다. 소나무 형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는 금속이나 합금 등의 용융액이 응고할 때 생기는 결정형상의 하나로서 수지(樹枝) 모양으로 발달합니다. 용융액의 응고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은 액의 온도가 녹는점보다도 어느 정도 낮아졌을 때인데, 수지상결정은 넓은 범위에 걸쳐 과냉도가 큰 경우에 생김니다. 직접 실험해 본 것은 아니지만 방법은 수지상 가지의 간격을 측정하면 재료의 냉각속도와 반비례합니다. 즉, 냉각속도가 증가할 경우 조성적 과냉의 영향으로 가지 간격이 감소하고 반대로 냉각속도가 감소할 경우 가지 간격이 증가합니다. 냉각속도와 가지 간격의 관계식도 있는데 재료마다 다르겠지요. 많은 연구는 주로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서인데 원하시는 재료에 대해 실험식을 얻을 수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인자들은 가지의 간격, 냉각속도, 응고시간 , 계수(1차 가지 간격 :1/3∼1/2, 2차 가지 간격 :1/4∼1/3) 등입니다. 알루미늄은 있는데 그외의 선행연구된 자료가 있는지는?? 실험식이나 데이터가 있다면 바로 현미경으로 간격을 측정하여 냉각속도를 찾을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