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7-02
org.kosen.entty.User@5b8dc0e
고상운(swgo)
- 4
최근 디지탈 가전이 확대 적용되면서 열방출에 많은 관심이 있는데,
특히 graphite의 재질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graphite는 면방향과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이 다른 이방성 재질인데,
두께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그리고, graphite 보다 열전도율이 더 좋은 재질은 없나요?
- graphite
- thermal conductivi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훈희님의 답변
2005-07-03- 0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변은 아니어서 죄송하지만 그냥 혼자서 생각한번 해봤습니다^^ 열전도율이 면방향과 두께방향중 어느쪽이 더 높은지 모르겠지만, 만약 두께 방향의 열전도율이 낮아서 향상시키시길 원하신다면...두께를 얇게 가공하는 것은 어떨까요?(열전도율은 두께와 상관이 없나요?^^) 혹은 가공을 하실때 열 방출 방향과 열전도율이 좋은 graphite의 방향을 일치하도록 하는 것은 어떨까요? >최근 디지탈 가전이 확대 적용되면서 열방출에 많은 관심이 있는데, >특히 graphite의 재질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graphite는 면방향과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이 다른 이방성 재질인데, >두께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그리고, graphite 보다 열전도율이 더 좋은 재질은 없나요? -
답변
이민익님의 답변
2005-07-04- 0
쉽게 Approach 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열 방출 면적을 극대화 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Griphite 로 옮겨간 열을 방출하기 쉬운 조건 즉 Air Flux 가 가장 큰 방향으로 극대화된 heat sink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도움이되시길... MI >최근 디지탈 가전이 확대 적용되면서 열방출에 많은 관심이 있는데, >특히 graphite의 재질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graphite는 면방향과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이 다른 이방성 재질인데, >두께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그리고, graphite 보다 열전도율이 더 좋은 재질은 없나요? -
답변
이경직님의 답변
2005-07-04- 0
>최근 디지탈 가전이 확대 적용되면서 열방출에 많은 관심이 있는데, >특히 graphite의 재질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graphite는 면방향과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이 다른 이방성 재질인데, >두께방향으로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나요? >그리고, graphite 보다 열전도율이 더 좋은 재질은 없나요? 흑연의 경우 열전도율이 좋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방성 성질때문에 적용이 매우 어렵습니다. 그러나 돈이면 다 된다??? 반도체 공정에 사용하고 있는 등방성 흑연의 경우 가격은 비싸지만 아주 좋은 열전도도 특성을 지닌 것이라 보면 됩니다 최근의 동향은 복합재료를 만들어서 열전도율을 높이는 쪽으로 많은 연구가 되고 있고 상용화도 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열전도도가 좋은 물질 Cu, Al, SiC, C 등을 복합화해서 열전도율과 열팽창성을 동시에 개선하려는 노력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물론 다이아몬드가 제일 좋겠지만 이것도 가격때문에... 역시 탄소를 기본으로 한 카본나노튜브, 흑연폼 등이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
답변
송준희님의 답변
2005-07-04- 0
열전도율이 좋은 순서는 Ag>Cu>Au>Al 등입니다. 재료가 구조물에 사용시 한가지 성질만으로 결정할 수 없습니다. 흑연이 갖고 있는 가공성, 경제성, 제작성 등을 비롯한 여러가지 성질이 타 재료 대비하여 만족되어야 대체할 수 있을텐데요.... 두께방향의 열전도율을 향상시키려면 단면형상을 변화시킨다든지 복합재료의 개념이 추가되어야할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