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형광을 이용한 잔류농약 검출

잔류농약 간이속성법으로 사용되는 효소분석법(Enzyme assay), 효소면역적 분석법(ELISA), 고체상미세추출법(SPME) 외에 다른 방법이 있나요? 1. 혹시 형광으로 잔류농약의 검출이 가능할까요? 2. 정성분석은 가능해보이는데 정량분석은 형광특성상 불가능하지 않나요?
  • residual pesticide
  • fluorescent
  • analysi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찬승님의 답변

    카바메이트 계통의 경우, 알칼아민기와 반응하는 NBD-Cl, 다른 기타 농약의 경우 dansyl chloride 나 o-phthalaldehyde (OPA)등과 반응시켜 형광을 잽니다. 형광의 강도는 excitation빛의 강도에 비례하며, 묽은 농도에서는 형광물질의 농도에 비례하므로, 당연히 정량분석이 가능합니다. 바탕 matrix의 선택과 보정, 그리고 시료의 분석을 묽은상태영역에서 행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레이저등 강한 excitation 광을 사용하면 ppb 레벨 이하에서도 미량분석이 가능합니다. > >잔류농약 간이속성법으로 사용되는 >효소분석법(Enzyme assay), 효소면역적 분석법(ELISA), 고체상미세추출법(SPME) 외에 다른 방법이 있나요? > >1. 혹시 형광으로 잔류농약의 검출이 가능할까요? >2. 정성분석은 가능해보이는데 정량분석은 형광특성상 불가능하지 않나요? > > >
    카바메이트 계통의 경우, 알칼아민기와 반응하는 NBD-Cl, 다른 기타 농약의 경우 dansyl chloride 나 o-phthalaldehyde (OPA)등과 반응시켜 형광을 잽니다. 형광의 강도는 excitation빛의 강도에 비례하며, 묽은 농도에서는 형광물질의 농도에 비례하므로, 당연히 정량분석이 가능합니다. 바탕 matrix의 선택과 보정, 그리고 시료의 분석을 묽은상태영역에서 행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레이저등 강한 excitation 광을 사용하면 ppb 레벨 이하에서도 미량분석이 가능합니다. > >잔류농약 간이속성법으로 사용되는 >효소분석법(Enzyme assay), 효소면역적 분석법(ELISA), 고체상미세추출법(SPME) 외에 다른 방법이 있나요? > >1. 혹시 형광으로 잔류농약의 검출이 가능할까요? >2. 정성분석은 가능해보이는데 정량분석은 형광특성상 불가능하지 않나요?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