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t(NH3)4]cl2 시약의 색깔

무전해 도금법으로 연료전지의 MEA 제조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촉매전구체로는 [pt(NH3)4]cl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pt(NH3)4]cl2 분체의 외관(옅은노란색 과 흰색)에따라 Plating이 되기도 안되기도합니다. [pt(NH3)4]cl2 시약은 동일한 회사에서 구입하였습니다. 구입회사에 문의한 결과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했다고 합니다. [pt(NH3)4]cl2의 색과 화합물 구조에 관련이 있나요?
  • [pt(NH3)4]cl2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현웅님의 답변

    >무전해 도금법으로 연료전지의 MEA 제조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촉매전구체로는 [pt(NH3)4]cl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pt(NH3)4]cl2 분체의 외관(옅은노란색 과 흰색)에따라 >Plating이 되기도 안되기도합니다. > >[pt(NH3)4]cl2 시약은 동일한 회사에서 구입하였습니다. 구입회사에 문의한 결과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했다고 합니다. > >[pt(NH3)4]cl2의 색과 화합물 구조에 관련이 있나요? > > 백금 촉매로 상기 제품을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상기 백금촉매는 구입하신 것이 어떤 형태인지 모르겠습니다. 보통 제가 사용한 것은 용매에 녹여있는 용액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만일 그것이 고체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노란색을 띠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 Merck Index에 의하면 고체상일 때 deep yellow 색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흰색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혹, 조성이 바뀔 수도 있고 Pt의 산화상태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Cis-trans 형태의 전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무전해 도금법으로 연료전지의 MEA 제조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촉매전구체로는 [pt(NH3)4]cl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pt(NH3)4]cl2 분체의 외관(옅은노란색 과 흰색)에따라 >Plating이 되기도 안되기도합니다. > >[pt(NH3)4]cl2 시약은 동일한 회사에서 구입하였습니다. 구입회사에 문의한 결과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했다고 합니다. > >[pt(NH3)4]cl2의 색과 화합물 구조에 관련이 있나요? > > 백금 촉매로 상기 제품을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상기 백금촉매는 구입하신 것이 어떤 형태인지 모르겠습니다. 보통 제가 사용한 것은 용매에 녹여있는 용액 상태였습니다. 그러나 만일 그것이 고체상태로 존재하게 되면 노란색을 띠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제 Merck Index에 의하면 고체상일 때 deep yellow 색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흰색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혹, 조성이 바뀔 수도 있고 Pt의 산화상태가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Cis-trans 형태의 전환도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무전해 도금법으로 연료전지의 MEA 제조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촉매전구체로는 [pt(NH3)4]cl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pt(NH3)4]cl2 분체의 외관(옅은노란색 과 흰색)에따라 >Plating이 되기도 안되기도합니다. > >[pt(NH3)4]cl2 시약은 동일한 회사에서 구입하였습니다. 구입회사에 문의한 결과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했다고 합니다. > >[pt(NH3)4]cl2의 색과 화합물 구조에 관련이 있나요? > > 제가 알기로 [pt(NH3)4]cl2은 흰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한 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색깔이 다르다고 다른 물질은 아니라는 거지요. 제 생각엔 두 시약이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그런 결과가 나온 것이 아니라 다른 원인이 있는것 같습니다. 어떤 색이든 상기 범위에 있으면 같은 물질로 볼수 있을 겁니다. 고체 [pt(NH3)4]cl2은 흡습성이 강한 물질입니다. 그리고 수화물 형태로 존재하는 물질이죠. 따라서 엄밀하게 따지면 [pt(NH3)4]cl2 xH2O로 표시하는 것이 정확하겠죠. 하지만 물이 [pt(NH3)4]cl2 분자의 구조를 변화시키지는 않습니다. 단지 결정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요... 결정구조가 다르다고 해도 용액상태로 녹여 놓으면 다 똑같 습니다. 색이 다르다고 해서 Pt의 산화상태가 다르다거나 cis-trans 이성질화가 일어났다고 판단할 순 없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pt(NH3)4]cl2는 cis-trans 이성질화가 일어날 수 없는 화합물입니다. Cl이 리간드로 참여한 화학종이 아니기 때문이죠. NH3가 리간드 입니다. 리간드가 모두 같이니까 cis-trans 이성질화는 일어날 수 없죠.
    >무전해 도금법으로 연료전지의 MEA 제조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 >촉매전구체로는 [pt(NH3)4]cl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pt(NH3)4]cl2 분체의 외관(옅은노란색 과 흰색)에따라 >Plating이 되기도 안되기도합니다. > >[pt(NH3)4]cl2 시약은 동일한 회사에서 구입하였습니다. 구입회사에 문의한 결과 >동일한 공정에서 제조했다고 합니다. > >[pt(NH3)4]cl2의 색과 화합물 구조에 관련이 있나요? > > 제가 알기로 [pt(NH3)4]cl2은 흰색에서 짙은 갈색까지 다양한 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색깔이 다르다고 다른 물질은 아니라는 거지요. 제 생각엔 두 시약이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그런 결과가 나온 것이 아니라 다른 원인이 있는것 같습니다. 어떤 색이든 상기 범위에 있으면 같은 물질로 볼수 있을 겁니다. 고체 [pt(NH3)4]cl2은 흡습성이 강한 물질입니다. 그리고 수화물 형태로 존재하는 물질이죠. 따라서 엄밀하게 따지면 [pt(NH3)4]cl2 xH2O로 표시하는 것이 정확하겠죠. 하지만 물이 [pt(NH3)4]cl2 분자의 구조를 변화시키지는 않습니다. 단지 결정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이지요... 결정구조가 다르다고 해도 용액상태로 녹여 놓으면 다 똑같 습니다. 색이 다르다고 해서 Pt의 산화상태가 다르다거나 cis-trans 이성질화가 일어났다고 판단할 순 없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pt(NH3)4]cl2는 cis-trans 이성질화가 일어날 수 없는 화합물입니다. Cl이 리간드로 참여한 화학종이 아니기 때문이죠. NH3가 리간드 입니다. 리간드가 모두 같이니까 cis-trans 이성질화는 일어날 수 없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