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7-06
org.kosen.entty.User@54c401a3
김상우(doctor1)
- 2
Blood RNA isolation에 대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가 하나 궁금한 점은 blood plasma에서 일차적으로 프로티오믹스(2DGE)를 하여 단백질의 변화 패턴을 살펴 보았습니다. 따라서 제가 보고자 하는 RNA는 당연히 BLOOD PLASMA에서 isolation을 하여야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plasma에 존재하는 RNA의 경우 circulating RNA 또는 viral particle에서 유래된 RNA로 이루어져 있고 isolation할수 있는 volume 또한 적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서.........
저는 blood에 존재하는 모든 RNA를 isolation하고 싶은데요.
방법이 없을까해서 다시 여쭈어 봅니다.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신뢰지만....미리 감사드리겠습니다.
- RN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7-06- 0
plasma proteome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종류면에서 살펴보면 90% (연구자 마다 주장하는 수치는 다릅니다)가까운 종류는 간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느 조직에서 유래된 단백질인지를 먼저 확인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Blood RNA isolation에 대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 >제가 하나 궁금한 점은 blood plasma에서 일차적으로 프로티오믹스(2DGE)를 하여 단백질의 변화 패턴을 살펴 보았습니다. 따라서 제가 보고자 하는 RNA는 당연히 BLOOD PLASMA에서 isolation을 하여야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plasma에 존재하는 RNA의 경우 circulating RNA 또는 viral particle에서 유래된 RNA로 이루어져 있고 isolation할수 있는 volume 또한 적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해서......... >저는 blood에 존재하는 모든 RNA를 isolation하고 싶은데요. >방법이 없을까해서 다시 여쭈어 봅니다. >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라 꼭 답변 부탁드립니다. >신뢰지만....미리 감사드리겠습니다. > -
답변
김정민님의 답변
2005-07-06- 0
메시지 내용으로 보아 상당히 중요한 시점인듯 하군요. 만약 저라면, total RNA isolation kit를 이용하여 추출하겠습니다. 즉 blood sample에서 RNA를 추출할 수 있는 kit면 무엇이나 상관 없을듯 합니다. 여러 kit가 있겠으며, RNA 실험엔 ambion이 주로 유명하며, 국산 제품도 좋았습니다. 혹, 도움이 안되었다면 저에게 메일 주세요. minnk@kribb.re.kr 참고, 프로테옴 분석, 2-DE,에서의 결과와 mRNA수준의 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더 많았습니다. 저의 경우 입니다. 참고하세요. 그러나, 문제는 RNA 추출에 관한 사항보다는, plasma 내 단백질의 양적 혹은 구조적 변형에 따른 다른 각도의 분석을 위해서라면, 어떤 단백질인가에 따라 다양할듯 하나, 그 단백질의 조절에 관여하는 조직을 심도있게 재 고찰할 필요가 있는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