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당뇨유발에 대해..

아래에 답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질문 드립니다. 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rat에서 당뇨를 유발을 시켜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 kit와 glucose analysis enzyme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비공복시의 혈당이 500 가까이 되는 반면 공복시의 혈당이 100이하의 값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당뇨라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다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당뇨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강효찬님의 답변

    공복시 혈당치가 내려가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래서 fasting을 시키느냐 random glucose를 측정하느냐에 따라서 그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달리해야 합니다. 님께서 공복시 혈당이 100 이하의 값을 나타냈다고 하셨는데, n 수를 몇마리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STZ을 처리하면 아시겠지만, 일반적으로 췌장의 beta cell을 파괴시켜버려 인슐린 공급을 차단시켜 버립니다. 그래서 혈중 glucose level이 상승하게 되는데, STZ을 처리해서 공복시 검사를 했는데 혈당이 100 이하의 값이 나왔다고 하는것은 저도 조금 이해가 안됩니다. 비공복시 혈당을 측정하면 STZ을 처리하지 않더라도 그 값이 많이 상승하게 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자료에 의하면 SD rat의 경우 주령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거의 100~130±10㎎/㎗ 정도 보이고 ICR mouse의 경우 5주령일때 86±8.0㎎/㎗, 10주령 일때 166±26㎎/㎗, 20주령일때 178±21.8㎎/㎗ 값을 보인다고 합니다. 참고로 하시고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해서 검사하는것은 어느정도 screening은 할 수 있으나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혈청 level을 체크해 보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데이터 값이 흔들리면 많이 힘드실텐데... 힘내시고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아래에 답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질문 드립니다. > > >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rat에서 당뇨를 유발을 시켜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 kit와 glucose analysis enzyme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비공복시의 혈당이 500 가까이 되는 반면 공복시의 혈당이 100이하의 값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당뇨라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 >다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공복시 혈당치가 내려가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래서 fasting을 시키느냐 random glucose를 측정하느냐에 따라서 그 결과를 해석하는 방법을 달리해야 합니다. 님께서 공복시 혈당이 100 이하의 값을 나타냈다고 하셨는데, n 수를 몇마리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STZ을 처리하면 아시겠지만, 일반적으로 췌장의 beta cell을 파괴시켜버려 인슐린 공급을 차단시켜 버립니다. 그래서 혈중 glucose level이 상승하게 되는데, STZ을 처리해서 공복시 검사를 했는데 혈당이 100 이하의 값이 나왔다고 하는것은 저도 조금 이해가 안됩니다. 비공복시 혈당을 측정하면 STZ을 처리하지 않더라도 그 값이 많이 상승하게 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자료에 의하면 SD rat의 경우 주령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거의 100~130±10㎎/㎗ 정도 보이고 ICR mouse의 경우 5주령일때 86±8.0㎎/㎗, 10주령 일때 166±26㎎/㎗, 20주령일때 178±21.8㎎/㎗ 값을 보인다고 합니다. 참고로 하시고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해서 검사하는것은 어느정도 screening은 할 수 있으나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혈청 level을 체크해 보시는게 좋다고 봅니다. 데이터 값이 흔들리면 많이 힘드실텐데... 힘내시고 좋은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아래에 답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질문 드립니다. > > >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rat에서 당뇨를 유발을 시켜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 kit와 glucose analysis enzyme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비공복시의 혈당이 500 가까이 되는 반면 공복시의 혈당이 100이하의 값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당뇨라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 >다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채수영님의 답변

    >아래에 답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질문 드립니다. > > >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rat에서 당뇨를 유발을 시켜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 kit와 glucose analysis enzyme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비공복시의 혈당이 500 가까이 되는 반면 공복시의 혈당이 100이하의 값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당뇨라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 >다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저도 학위과정 동안에 당뇨 유발 동물 (rat, mouse)을 이용하여 실헝을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STZ를 이용한 당뇨 유발의 경우 STZ injection 후 2~3일 정도에서 고혈당 (non-fasting, 대략 400 mg/dL 이상)을 나타내고 그 값은 점차 증가하여 STZ injection 1주 후에는 5~600 mg/dL이상의 값을 나타냅니다. 이는 아마도 STZ에 의한 pancreatic beta cell의 파괴가 점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일부 실험동물의 경우 약간의 살아있는 pancreatic beta cell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직학적 검사와 immunostaining의 관찰 결과).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STZ injection 후 약 1 ~ 2주 후, 그리고 non-fasting 혈당이 500 mg/dL 이상인 경우 당료로 판단하여 실험을 수행합니다. 보다 정확한 당뇨 판단을 위해서는 glucose tolerance test를 수행하여 glucose 투여 후 120분 이후에 혈당이 정상으로 환원되지 않는 경우 당료로 진단하곤 합니다. 또한 공복시 혈당의 경우 금식 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장시간 동안 금식을 시키면 100 이하로 나타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는 체내의 세포에 의한 지속적인 glucose 소비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 경험에 의하면 당뇨유발 mouse의 경우 non-fasting glucose가 500 mg/dL정도인 동물이 약 6 ~ 8 시간 정도의 금식 후 혈당이 180 ~ 300 mg/dL 정도로 낮아지곤 하였습니다. 또한 이는 당뇨 유발 후 기간이 길어질수록 금식 후 혈당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아래에 답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질문 드립니다. > > >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rat에서 당뇨를 유발을 시켜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 kit와 glucose analysis enzyme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비공복시의 혈당이 500 가까이 되는 반면 공복시의 혈당이 100이하의 값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당뇨라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 >다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저도 학위과정 동안에 당뇨 유발 동물 (rat, mouse)을 이용하여 실헝을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STZ를 이용한 당뇨 유발의 경우 STZ injection 후 2~3일 정도에서 고혈당 (non-fasting, 대략 400 mg/dL 이상)을 나타내고 그 값은 점차 증가하여 STZ injection 1주 후에는 5~600 mg/dL이상의 값을 나타냅니다. 이는 아마도 STZ에 의한 pancreatic beta cell의 파괴가 점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또한 일부 실험동물의 경우 약간의 살아있는 pancreatic beta cell이 관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조직학적 검사와 immunostaining의 관찰 결과).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STZ injection 후 약 1 ~ 2주 후, 그리고 non-fasting 혈당이 500 mg/dL 이상인 경우 당료로 판단하여 실험을 수행합니다. 보다 정확한 당뇨 판단을 위해서는 glucose tolerance test를 수행하여 glucose 투여 후 120분 이후에 혈당이 정상으로 환원되지 않는 경우 당료로 진단하곤 합니다. 또한 공복시 혈당의 경우 금식 시간에 따라 달라지며, 장시간 동안 금식을 시키면 100 이하로 나타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는 체내의 세포에 의한 지속적인 glucose 소비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 경험에 의하면 당뇨유발 mouse의 경우 non-fasting glucose가 500 mg/dL정도인 동물이 약 6 ~ 8 시간 정도의 금식 후 혈당이 180 ~ 300 mg/dL 정도로 낮아지곤 하였습니다. 또한 이는 당뇨 유발 후 기간이 길어질수록 금식 후 혈당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도훈님의 답변

    streptozotocin(STZ)으로 당뇨를 유발시켜도 잘 되지 않을 때가 꽤 있 습니다.왜냐하면 당뇨를 만드실때 꼬리 정맥으로 streptozotocin를 투여했을때 제대로 혈관을 타고 들어가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비공복시가 500정도면 상당히 당뇨유발 기간이 상장히 지났는데 공복시가 100이하라면 혈액의 채취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에 약간의 체액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혈액을 채취할때에 가장 끝에서부터 채튀하시고 바늘로 깊이 하시고 나중에 당뇨가 심해지면 아마 혈액을 채취하기가 점점 힘들어 질 것입니다. 그때는 모세관 유리를 사용해서 눈에서 하세요 한번 체크해보세요 또한 공복을 어느정도로 했는지도 또한 공복당시에 물을 주었는지도 체크해보세요 제사 보기에는 정상적으로 당뇨가 된것 같은데요 >아래에 답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질문 드립니다. > > >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rat에서 당뇨를 유발을 시켜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 kit와 glucose analysis enzyme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비공복시의 혈당이 500 가까이 되는 반면 공복시의 혈당이 100이하의 값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당뇨라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 >다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streptozotocin(STZ)으로 당뇨를 유발시켜도 잘 되지 않을 때가 꽤 있 습니다.왜냐하면 당뇨를 만드실때 꼬리 정맥으로 streptozotocin를 투여했을때 제대로 혈관을 타고 들어가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비공복시가 500정도면 상당히 당뇨유발 기간이 상장히 지났는데 공복시가 100이하라면 혈액의 채취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에 약간의 체액이 섞여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혈액을 채취할때에 가장 끝에서부터 채튀하시고 바늘로 깊이 하시고 나중에 당뇨가 심해지면 아마 혈액을 채취하기가 점점 힘들어 질 것입니다. 그때는 모세관 유리를 사용해서 눈에서 하세요 한번 체크해보세요 또한 공복을 어느정도로 했는지도 또한 공복당시에 물을 주었는지도 체크해보세요 제사 보기에는 정상적으로 당뇨가 된것 같은데요 >아래에 답변에 대해서 다시 한번 질문 드립니다. > > >streptozotocin을 이용하여 rat에서 당뇨를 유발을 시켜 꼬리에서 혈액을 채취한 후 혈당 kit와 glucose analysis enzyme kit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비공복시의 혈당이 500 가까이 되는 반면 공복시의 혈당이 100이하의 값을 나타내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당뇨라 볼 수 있는지.............? >그리고 왜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 > >다시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