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IC50

IC50에 대한 것을 알고 싶습니다. 정의뿐만 아니라 그 값을 구하는 방법 및 수행해야 하는 실험과정 등등..^^ 이쪽에는 기초 지식이 없으니 자세한 답변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IC50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IC50에 대한 것을 알고 싶습니다. > >정의뿐만 아니라 그 값을 구하는 방법 및 수행해야 하는 실험과정 등등..^^ > >이쪽에는 기초 지식이 없으니 자세한 답변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 >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의 정의에 의하면 inhibitory concentration (IC)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that causes a defined inhibition of a given system: IC50 is the median concentration that causes 50% inhibition. 또 다른 정의(Medical definition) The concentration of a compound needed to reduce population growth of organisms, including eukaryotic cells, by 50% in vitro. Though often expressed to denot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it is also used as a benchmark for cytotoxicity to eukaryotic cells in culture. 실험 방법은 아래 사이트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erial Dilution Testing 관련자료도 하나 첨부해 드립니다.
    >IC50에 대한 것을 알고 싶습니다. > >정의뿐만 아니라 그 값을 구하는 방법 및 수행해야 하는 실험과정 등등..^^ > >이쪽에는 기초 지식이 없으니 자세한 답변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 >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의 정의에 의하면 inhibitory concentration (IC) Concentration of a substance that causes a defined inhibition of a given system: IC50 is the median concentration that causes 50% inhibition. 또 다른 정의(Medical definition) The concentration of a compound needed to reduce population growth of organisms, including eukaryotic cells, by 50% in vitro. Though often expressed to denote in vitro antibacterial activity, it is also used as a benchmark for cytotoxicity to eukaryotic cells in culture. 실험 방법은 아래 사이트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Serial Dilution Testing 관련자료도 하나 첨부해 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일반적으로 Dose-response curve란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in vitro system이라면 정확하게 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concentration-response curve가 조금 더 정확한 용어입니다. 그러나 in vivo application으로 들어가면 injection할 때의 농도는 정해지지만 체내에서의 농도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dose-response라는 말을 사용하지요... 그러므로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는 in vitro assay system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또한 potency를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potency는 약물 마다 약물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실험했을 때 동일한 response가 나오는 각각의 약물의 농도점이 어디인가를 비교하는 상대적 개념의 용어입니다. 반면 efficacy는 maximum effect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assay의 대상은 효소활성 분석, 리간드-수용체 결합 분석, 바이러스 증식 분석 등등 그리고 cell-free system이냐 cell-based system이냐로 나룰 수 있기 때문에 분석법이 매우 다양하여 구체적인 실험과정을 언급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보면 위에서 언급했듯이 concentration-response curve를 그린 후에 분석작업을 거쳐 IC50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concentration-response이기 때문에 analyte를 serial dilution을 해서 response를 측정을 하면 x축은 analyte의 농도이고 y축은 측정값으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graph의 패턴은 윗쪽과 아래쪽에 각각 plateau 형태가 그려지고 그 사이에서는 concentration의 증가에 따라 response가 변화를 형태를 띠게 됩니다. 그러면 upper and lower plateau 사이의 50% 되는 반응의 농도가 IC50 값이 됩니다. Manual로 하면 모눈종이와 자를 이용하여 50% 되는 지점을 찾으면 되고, 아니면 prism이나 sigmaplot과 같은 graphic tool을 이용하면 수치만 집어 넣으면 알아서 계산을 해 줍니다. 물론 그전에 assay가 setting이 되어 있어야 하고, 적어도 response의 baseline 등등의 기본적인 assay characteristics는 알고 있어야 겠죠... >IC50에 대한 것을 알고 싶습니다. > >정의뿐만 아니라 그 값을 구하는 방법 및 수행해야 하는 실험과정 등등..^^ > >이쪽에는 기초 지식이 없으니 자세한 답변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 >
    일반적으로 Dose-response curve란 용어를 많이 사용합니다. 그러나 in vitro system이라면 정확하게 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concentration-response curve가 조금 더 정확한 용어입니다. 그러나 in vivo application으로 들어가면 injection할 때의 농도는 정해지지만 체내에서의 농도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dose-response라는 말을 사용하지요... 그러므로 IC50(inhibitory concentration 50)는 in vitro assay system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또한 potency를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potency는 약물 마다 약물의 농도를 달리하면서 실험했을 때 동일한 response가 나오는 각각의 약물의 농도점이 어디인가를 비교하는 상대적 개념의 용어입니다. 반면 efficacy는 maximum effect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assay의 대상은 효소활성 분석, 리간드-수용체 결합 분석, 바이러스 증식 분석 등등 그리고 cell-free system이냐 cell-based system이냐로 나룰 수 있기 때문에 분석법이 매우 다양하여 구체적인 실험과정을 언급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보면 위에서 언급했듯이 concentration-response curve를 그린 후에 분석작업을 거쳐 IC50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concentration-response이기 때문에 analyte를 serial dilution을 해서 response를 측정을 하면 x축은 analyte의 농도이고 y축은 측정값으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 graph의 패턴은 윗쪽과 아래쪽에 각각 plateau 형태가 그려지고 그 사이에서는 concentration의 증가에 따라 response가 변화를 형태를 띠게 됩니다. 그러면 upper and lower plateau 사이의 50% 되는 반응의 농도가 IC50 값이 됩니다. Manual로 하면 모눈종이와 자를 이용하여 50% 되는 지점을 찾으면 되고, 아니면 prism이나 sigmaplot과 같은 graphic tool을 이용하면 수치만 집어 넣으면 알아서 계산을 해 줍니다. 물론 그전에 assay가 setting이 되어 있어야 하고, 적어도 response의 baseline 등등의 기본적인 assay characteristics는 알고 있어야 겠죠... >IC50에 대한 것을 알고 싶습니다. > >정의뿐만 아니라 그 값을 구하는 방법 및 수행해야 하는 실험과정 등등..^^ > >이쪽에는 기초 지식이 없으니 자세한 답변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