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7-12
org.kosen.entty.User@6b941a57
황만택(mthwangc)
- 2
저는 자동차 외부후사경(BACK MIRROR)에 장착용 및 후사경일체형인 보조전조등 과 미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한 실용신안을 보유한 사람입니다. 이 아이템을 실제 자동차에 적용해 보고자 현대자동차,삼성자동차 관계자들에게 관련내용을 보냈으나 현대자동차 특허부에서는 자동차가격 상승요인이 되므로 적용할 수 없다하고 삼성자동차에서는 점등시 열로 인하여 후사경이 녹는다는데 현재 고급 대형승용차인 에쿠스,벤츠등의 후사경에 보조 깜박이등이 장착되 있습니다.
제가 보유한 후사경에 장착용,후사경일체형 보조전조등 과 미등에 대한 작동원리와 효과를 설명드리면, 야간에 전조등(HEAD LIGHT)을 킨후 자동차 운행시 좌회전이나 우회전시 해당 방향의 깜박이등을 켜면 동시에 동방향의 보조전조등이 켜지도록 하여 자동차 좌,우의 사각지대를 밝혀 주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야간에 후진시 후진기어를 넣으면 양쪽 후사경에 장착된 보조미등이 점등되므로 자동차 뒷바퀴 좌,우의 미등이 밝혀주지 못하는 곳을 밝게 비추어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안전운전에 도움이 되도록 한 것 입니다.
제가 알고자 하는 것은 상기 기술된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점등으로인 한 열로 후사경을 녹게 하지 않는 전구는 없는가 하는것과 꼭 열이 발생 한다면 녹지 않고 상기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자 하는 것 입니다.
제전공 분야가 아니고 도움을 받을 만한 곳이 없어 했으나 신문에 난 기사를 보고 스크렙 했다가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고견을 바랍니다.
- CAR SIDE MIRROR OF SUBLIGH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한병학님의 답변
2005-07-12- 0
후사경 케이스(커버)가 범용 플라스틱이라 녹는다기보다는 전구열에 의한 변형을 말하는 것일 겁니다. 이를 견디는 내열이 강한 재료를 사용해야 하는데 이러한 내열성이 높은 플라스틱은 가격이 고가입니다. 그리고 발열이 적은 전구를 사용하려면 인버터를 사용해야 함으로 역시 가격상승 요인이 될겁니다. 질문에서 언급하신 차는 주로 (최)고급승용차에 한해서 적용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재료와 전구의 가격상승 요인이 차 가격에 비해서 미비하기 때문에 적용될 수 있었지 않나 생각되어 지는 군요. -
답변
임경수님의 답변
2005-07-12- 0
보조 전조등과 미등의 전구 용량이 얼마나 큰건지 몰라도 후사경이 녹을 정도면 제질의 선택이 잘못되었는것 같고 램프의 용량도 한계가 있는데 여러가지로 질의하신 내용을 확실히 이해되지 않아 답변드리기가 곤란합니다. 좋은 양질의 소재가 다양하지만 제품 단가등 여러가지 조건들이 부적절하고 또 국내에 자동차업계에 진출하기가 바늘구멍보다 더 작어서.... 제품 특성만 신뢰성이 있으면 먼저 해외 수출쪽이 수월할수도.... 이건 제 의견이구요. 저는 참고로 말씀 드리면 램프만 30년이상 제조,R/D를 했습니다. 제메일로 연락 주시면 다소의 협조할만한 기술적인 내용이 있을줄 모르겠습니다만 메일 주시면 성의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lks6575@empal.com lks4643@hanmail.net lks6575@yahoo.com 로 연락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