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7-21
org.kosen.entty.User@6e7d4d29
조주웅(afkll)
- 3
플라즈마 관련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PDP 구조내 MgO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플라즈마와 반응시 MgO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도 문의드립니다.
제 생각으로는 MgO 표면개질의 변화를 SEM 밖에는 없을 것 같은데,
혹시 화학적으로 아니면, 광학적 측정이 있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PDP 내 Mg0 관련 자료 및 , 이와 관련된 연구센터, 연구실의 추천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MgO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한병학님의 답변
2005-07-21- 0
>플라즈마 관련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 >PDP 구조내 MgO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플라즈마와 반응시 MgO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도 문의드립니다. >제 생각으로는 MgO 표면개질의 변화를 SEM 밖에는 없을 것 같은데, >혹시 화학적으로 아니면, 광학적 측정이 있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PDP 내 Mg0 관련 자료 및 , 이와 관련된 연구센터, 연구실의 추천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 > > > '전자정보센터(http://www.eic.re.kr)'라는 site가 있습니다. 회원가입은 무료이고 산업동향분석에서 '디스플레이'에 관련된 자료들이 많이 있습니다. 도움이 되실 겁니다.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5-07-22- 0
>플라즈마 관련 회사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 >PDP 구조내 MgO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플라즈마와 반응시 MgO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도 문의드립니다. >제 생각으로는 MgO 표면개질의 변화를 SEM 밖에는 없을 것 같은데, >혹시 화학적으로 아니면, 광학적 측정이 있을 것이라 사료됩니다. >PDP 내 Mg0 관련 자료 및 , 이와 관련된 연구센터, 연구실의 추천을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산화 마그네슘은, 투명 유전체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방전과정에서 음극으로 작용하여 방전상태를 유지하거나 방전전류를 제어하는 기능도 가짐. 이에 요구되는 특성으로는 높은 투과성,내스퍼터링성,낮은 방전전압, 구동전압에 대한 안정성 등이 있슴. 산화 마그네슘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전자선 증착,스퍼터링,이온 플레이팅,인쇄등이 적용됨. 이중 전자선 증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패널의 대형화,저가격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형성기술이 필요함. 표면개질의 경우 광학적으로 측정 가능하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데 glass 상에 산화마그네슘이 코팅되어 있다면 빛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반사율을 측정하여 측정한다는 기억이 있습니다. > > > -
답변
김철홍님의 답변
2006-12-30- 0
기본적으로 TOF-SIMS나 AFM을 사용하여 분석을 합니다. AFM에는 EFM이나 UHV-AFM을 이용하여 전기적 특성도 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