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TT assay 와 trypan blue exclusion assay

cell viability 측정시 두 assay 의 차이점 방법보다는 서로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 MTT
  • trypan blue exclus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cell viability 측정시 두 assay 의 차이점 > >방법보다는 서로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두 assay이 법에 대해 레퍼런스 올립니다.
    >cell viability 측정시 두 assay 의 차이점 > >방법보다는 서로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두 assay이 법에 대해 레퍼런스 올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은 1983년에 발표된 방법입니다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1983. 65, 55-63). 기본적으로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의해 노란빛깔의 MTT의 tetrazolium rings 이 검푸른색의 formazan crystal이 생성되고 이는 cell membrane에 대한 투과성이 매우 낮아 세포가 건강할 경우 세포내에 축적됩니다. 나중에 이 crystal을 녹여서 spectrophotometric analysis를 하면 됩니다. 그러므로, 싱싱한 세포의 수는 생성되는 formazan과 어느정도 비례관계를 같게 됩니다. 최고의 장점은 시약의 가격이 무지 싸다는 것과 protocol이 무지 간단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microtiter plate asssy format으로 high-throughput assay가 가능하다는 거죠... 그러나 단점은 viable cell number와 정확하게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cell-based assay이지만 분석의 대상은 cell 자체가 아니라 효소활성이기 때문입니다. 항암제 cytotoxicity assay로 워낙 많이 사용되어왔지만 이러한 문제점때문에 1990년대 초반에 cancer research에서 MTT에 대해 evaluation을 한 논문이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Trypan blue (sodium ditolyldisazobis-8-amino-1-naphthol-3,6-disulfonate) 분석법은 cell membrane permeability에 의존하는 방법입니다. 싱싱한 세포는 permeability가 유지되기 때문에 dye가 exclusion됩니다. 그러므로 trypan blue exclusion assay라는 말도 많이 사용합니다. staining되거나 되지 않는 세포를 직접 counting하기 때문에 cell-based assay로 분석대상이 세포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히 싱싱한 세포와 맛이 간 세포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ermeability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말 싱싱하고 맛이 갔는가에 대해서는 정확히 말하기 힘든 측면이 있습니다. 최대의 장점은 시약의 가격이 싸고 세포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인 반면 cell counting에 의존하다 보니 대량 샘플을 손쉽게 처리하기 힘든 단점이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cell viability 측정시 두 assay 의 차이점 > >방법보다는 서로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은 1983년에 발표된 방법입니다 (Mosmann T.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1983. 65, 55-63). 기본적으로 mitochondrial dehydrogenase에의해 노란빛깔의 MTT의 tetrazolium rings 이 검푸른색의 formazan crystal이 생성되고 이는 cell membrane에 대한 투과성이 매우 낮아 세포가 건강할 경우 세포내에 축적됩니다. 나중에 이 crystal을 녹여서 spectrophotometric analysis를 하면 됩니다. 그러므로, 싱싱한 세포의 수는 생성되는 formazan과 어느정도 비례관계를 같게 됩니다. 최고의 장점은 시약의 가격이 무지 싸다는 것과 protocol이 무지 간단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microtiter plate asssy format으로 high-throughput assay가 가능하다는 거죠... 그러나 단점은 viable cell number와 정확하게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cell-based assay이지만 분석의 대상은 cell 자체가 아니라 효소활성이기 때문입니다. 항암제 cytotoxicity assay로 워낙 많이 사용되어왔지만 이러한 문제점때문에 1990년대 초반에 cancer research에서 MTT에 대해 evaluation을 한 논문이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Trypan blue (sodium ditolyldisazobis-8-amino-1-naphthol-3,6-disulfonate) 분석법은 cell membrane permeability에 의존하는 방법입니다. 싱싱한 세포는 permeability가 유지되기 때문에 dye가 exclusion됩니다. 그러므로 trypan blue exclusion assay라는 말도 많이 사용합니다. staining되거나 되지 않는 세포를 직접 counting하기 때문에 cell-based assay로 분석대상이 세포이기 때문에 보다 정확히 싱싱한 세포와 맛이 간 세포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permeability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말 싱싱하고 맛이 갔는가에 대해서는 정확히 말하기 힘든 측면이 있습니다. 최대의 장점은 시약의 가격이 싸고 세포를 직접 눈으로 확인하면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인 반면 cell counting에 의존하다 보니 대량 샘플을 손쉽게 처리하기 힘든 단점이 있습니다.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cell viability 측정시 두 assay 의 차이점 > >방법보다는 서로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cell viability 측정시 두 assay 의 차이점 > >방법보다는 서로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Cell Viablity 측정법의 장점을 적어 놓은 material입니다. 참고하세요. 그리고 여기에 가시면..관련 방법들을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http://www.roche-applied-science.com/PROD_INF/MANUALS/CELL_MAN/cell_toc.html 중간쯤에 가시면 Cell Proliferation and Viability라는 chapter가 있습니다.
    >cell viability 측정시 두 assay 의 차이점 > >방법보다는 서로 장단점을 알고 싶습니다. Cell Viablity 측정법의 장점을 적어 놓은 material입니다. 참고하세요. 그리고 여기에 가시면..관련 방법들을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http://www.roche-applied-science.com/PROD_INF/MANUALS/CELL_MAN/cell_toc.html 중간쯤에 가시면 Cell Proliferation and Viability라는 chapter가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