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7-26
org.kosen.entty.User@5b5e64c
정옥찬(memsoku)
- 1
맨날 조언만 구하는 듯 하네요..
assay라는 것이 뭔가요?
그리고 그것이 왜 중요할까요?
특히 cell assay의 관점에서 고수님의 견해 및 조언을 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
- assay
- cell
- NMEM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7-30- 0
바이오분야에 한정지어 설명드리겠습니다. assay는 analyte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실험을 통해 효소의 활성, 세포의 수 등을 정량분석하여 수치화시킬 수 있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test의 개념은 정성분석이죠... 두 가지에 대한 예를 들면, HIV 감염을 항체나 항원을 이용하여 면역분석을 할 수 있는데, 첫째 microtiter plate에서 발색반응 등을 통해 spectrophotometric approach로 signal을 수치화시키는 정량분석이면 assay가 되는 것이죠...면역학적 실험기법을 사용하므로 immunoassay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이와 반면에 우리가 약국에서 많이 접하는 strip형태의 임신진단키트의 경우, 색깔의 유무를 눈으로 확인할 뿐 intensity를 정확히 수치화하기 힘듭니다. 그러므로 이를 strip test라고 말합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정의에서 언급했듯이 특정 analyte (이는 biomolecule이 될수도 있고 세포가 될수도 있고 조직이 될 수도 있지만)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세포내의 효소활성을 정량분석할 수 있으면 stress에 따른 효소활성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고 이는 특정 stress에서 효소의 기능 규명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겠죠. 암의 경우 몇몇 발암유전자의 활성이 증가되는데 이를 정량분석할 수 있으면 암을 이해하고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겠죠...또한 위에선 언급했듯이 바이러스나 미생물이 감염되면 생체내에 바이러스 항원이 생체내에 존재하게 되고 이에 대한 항체가 생기게 되는데 이들을 정량 분석할 수 있으면 쉽게 감염증을 진단할 수 있겠죠... 이와같이 기초연구, 임상연구 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cell assay는 cell을 analyte로 정량분석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빈혈 여부를 확인할 때 여러가지 확인과정 중 적혈구의 수를 counting하는데 이 또한 cell assay가 되겠죠... 또한 신약개발 과정에서 cell-based assay를 하면 실제 세포 수준에서 약물 효과를 탐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세포가 apoptosis라는 세포사멸이 일어나면 DNA fragmentation이 일어나는데 세포에 PI라는 DNA에 결합하는 형광물질을 표지한 후 이 형광을 관찰하면 세포수준에서 apoptosis가 일어나는 세포를 정량분석이 가능합니다. 그러므로 assay는 매우 중요한 것입니다... 답변이 제대로 되었는지 모르겠네요... >맨날 조언만 구하는 듯 하네요.. >assay라는 것이 뭔가요? >그리고 그것이 왜 중요할까요? >특히 cell assay의 관점에서 고수님의 견해 및 조언을 부탁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