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7-29
org.kosen.entty.User@34ec15a9
정용태(franken3)
- 3
안녕하십니까?
얼마전에 분자량 측정 기관을 문의 했던 사람입니다.
제가 가진 샘플이
수용성의 300kDa~9,000kDa정도의 polysacharide입니다.
GPC로 측정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보통 GPC가 THF에 녹여서 측정을 하던데.. 수용성 물질이 THF에 않녹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water에 녹여서 GPC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그리고 한국 고분자 연구소에서 water를 이용하여 GPC로 분자량을 측정할수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를 제외하고 다른 곳이 있을까 싶어서요 고분자연구소에서 수수료가 좀 비싸더라고요.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수용성 polysaccharide의 분자량을 측정할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 molecular weigh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1-15- 2
>안녕하십니까?>얼마전에 분자량 측정 기관을 문의 했던 사람입니다.>제가 가진 샘플이 >수용성의 300kDa~9,000kDa정도의 polysacharide입니다.>GPC로 측정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보통 GPC가 THF에 녹여서 측정을 하던데.. 수용성 물질이 THF에 않녹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그래서 water에 녹여서 GPC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그리고 한국 고분자 연구소에서 water를 이용하여 GPC로 분자량을 측정할수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를 제외하고 다른 곳이 있을까 싶어서요 고분자연구소에서 수수료가 좀 비싸더라고요.>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수용성 polysaccharide의 분자량을 측정할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한국화학연구원 => http://www.krict.re.kr/equip/equ_a00.php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http://www.kbsi.re.kr/ 서울대 농업과학공동기기센터(NICEM) => http://nicem.snu.ac.kr/ 서울대 기초과학 공동기기원 => http://kiki.snu.ac.kr 참고바랍니다. -
답변
김중재님의 답변
2005-07-30- 0
google.com 에서 “고분자 분자량 측정기관“ 으로 검색을 해 보았습니다. 아래의 사이트 이외에 많은 사이트 들이 소개가 되더군요. 한 번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식회사 랩프론티어 http://www.labfrontier.com 한국고분자시험연구소(주) http://www.koptri.re.kr/ 전북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http://curf.chonbuk.ac.kr http://curf.chonbuk.ac.kr/asp/new_view_used.asp (주)바이오리더스 http://www.bioleaders.co.kr/sub2/sub2.html?DB=gamma 전남대학교 정밀화학소재개발지원센터 http://altair.chonnam.ac.kr http://altair.chonnam.ac.kr/~cdfc/machine.php 영남대학교 중소기업협력단 http://smbc.yu.ac.kr/info5/user_view.php?&page=4&e_code=1244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2005-08-11- 0
>안녕하십니까? >얼마전에 분자량 측정 기관을 문의 했던 사람입니다. >제가 가진 샘플이 >수용성의 300kDa~9,000kDa정도의 polysacharide입니다. >GPC로 측정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보통 GPC가 THF에 녹여서 측정을 하던데.. 수용성 물질이 THF에 않녹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water에 녹여서 GPC를 사용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그리고 한국 고분자 연구소에서 water를 이용하여 GPC로 분자량을 측정할수 있다고 하는데요 여기를 제외하고 다른 곳이 있을까 싶어서요 고분자연구소에서 수수료가 좀 비싸더라고요. >그리고 다른 방법으로 수용성 polysaccharide의 분자량을 측정할수 있는곳이 있을까요? >www.suntic.net/major/major-01.html 참조하세요. 순천대학교에서 가능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