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8-03
org.kosen.entty.User@76ee7d77
하종재(sboonger)
- 4
너무 단순한 것을 이렇게 귀한 자리에 여쭙니다.
COD 측정값과 BOD 측정값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의미상으로도 상관관계가 없을 것으로 생각은 합니다만,
혹시나 하는 생각에 전문가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 COD
- BO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문철환님의 답변
2005-08-03- 0
> 너무 단순한 것을 이렇게 귀한 자리에 여쭙니다. >COD 측정값과 BOD 측정값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의미상으로도 상관관계가 없을 것으로 생각은 합니다만, >혹시나 하는 생각에 전문가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BOD는 미생물에 의해서 유기물이 분해될 때의 산소요구량이고, COD는 화학적으로유기물이 분해될 때 요구되는 산소량입니다. 모든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은 아니지만,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대부분의 유기물은 COD에 의해서도 분해될 수 있도고 보시면 됩니다.따라서 BOD와 COD는 어느정도(약 BOD/COD=0.6)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는 BOD값이 COD보다 큰 경우도 있는 걸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
답변
남궁규철님의 답변
2005-08-04- 0
> 너무 단순한 것을 이렇게 귀한 자리에 여쭙니다. >COD 측정값과 BOD 측정값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의미상으로도 상관관계가 없을 것으로 생각은 합니다만, >혹시나 하는 생각에 전문가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BOD는 (생물학적으로)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할 때 필요로 하는 산소량으로 정의가 되는데 이 경우 유기탄소만이 아니라 유기질소의 분해에도 산소가 소모되지요.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것은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BOD 측정값은 조건에 따라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COD는 (화학적으로) 산화제를 이용해서 유기물을 분해할 때 필요로 하는 산소량으로 정의가 되는데 이 경우 측정 대상이 되는 시료속에 포함된 유기물 뿐만 아니라 무기물의 산화반응에 의해서도 COD 값이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측정 시료의 조성이 측정 COD값에 큰 변수가 됩니다. 특정 시료의 값에 대해선 BOD 값과 COD값의 상관성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겠지요. 하지만, 그 상관성을 일반화해서 말하기는 어렵다고 생각이 듭니다.(BOD와 TOC간의 상관성을 실제 환경에서 활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
답변
오성택님의 답변
2005-08-07- 0
> 너무 단순한 것을 이렇게 귀한 자리에 여쭙니다. >COD 측정값과 BOD 측정값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의미상으로도 상관관계가 없을 것으로 생각은 합니다만, >혹시나 하는 생각에 전문가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 먼저 BOD/COD 실험는 그 자체만으로 귀중한 자료입니다. 일반적으로 생활 하수의 2차처리 시스템에 유입하기전, 원수가 미국에서는 BOD와 COD는 어느정도(약 BOD/COD=0.6)정도의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하였습니다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and Reuse (2nd Ed).McGraw-Hill Education.). 그러나, BOD는 미생물에 의해서 유기물이 분해될 때의 산소요구량이고, COD는 화학적으로 유기물이 분해될 때 요구되는 산소량이기 때문에, 계절마다, 도시 산업의 변화, 또는 식생활에 변천사에 따라서 한국은 미국 교과서와는 판이하게 BOD/COD 값 추이가 달라집니다. 그러므로 BOD/COD 실험은 그 자체만으로도 귀중한 자료이고, 하-페수처리시설및 하천-호소관리의 설계및 판단 자료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더우기 생물학적 처리와 화학적 처리에 대한 계절마다 시대변천에 따라 설계, 비교, 판단, 자료로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질문하신분이 위의 사항을 목적으로 연구 (공부) 하고 있으시다면 아주 귀중한 자료이겠지요. 다른면으로는 하-폐수처리에 대한 새로운 단위조작을 연구(공부)하시는 분이라면, trilucky님이 답변 주신것과 같은 의견입니다. “BOD/TOC 간의 상관성을 실제 환경에서 활용하는 것이 더 유용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
답변
강성욱님의 답변
2005-08-18- 0
> 너무 단순한 것을 이렇게 귀한 자리에 여쭙니다. >COD 측정값과 BOD 측정값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고 싶습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의미상으로도 상관관계가 없을 것으로 생각은 합니다만, >혹시나 하는 생각에 전문가님들의 고견을 듣고자 합니다. COD는 말 그대로 물속의 유기물 성분, 즉 C(탄소)가 산소와 만나서 CO2 로 산화되어 분해되는 데 필요한 산소의 양으로, 물 속에 탄소가 많으면 산소 소비량이 높게 나타납니다. 이는 BOD 의 유기물 성분에 좌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기물 성분에 C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유기물 중에는 미생물이 분해할 수 있는 성분과, 분해하지 못하는 성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유기물 중에서 미생물이 분해할 수 있는 부분은 BOD로 측정이 가능하지만, 분해하지 못하는 유기물 성분에 대해서는 BOD로서는 한계가 있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COD 는 미생물이 분해하지 못하는, 또는 분해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까지 포함해서 필요한 산소량이 나타나므로 일반적으로 BOD 보다는 높은 값으로 나타납니다. BOD와 COD 중에서 수중 생물의 생존이 영향을 주는 유기물의 오염 정도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에 대한 예를 들어 설명을 하면... 물 속에 유입된 유기물 전체의 양을 정확하게 반영하는 것은 COD일 것입니다. 그러나 유기물 오염으로 수중 생물이 피해를 당하는 것은 유기물 자체가 많아서가 아니라, 그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이 대량 번식하고 그에 따라 미생물이 산소를 고갈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생물이 분해할 수 없는 유기물은 물 속의 산소를 고갈시키는 원인이 되지 못하므로 유기물 오염이 수중 생물의 생존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판단하는 데 더 정확한 참고 자료가 되는 것은 COD가 아니라 BOD입니다. 즉, 하천의 유기물은 산화제가 아니라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는지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