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8-10
org.kosen.entty.User@24b96a1f
신동호(frog21c)
- 4
사람의 호흡가스(날숨)를 분석하는 논문을 보고 있습니다.
논문에서는 혈중 glucose 농도와 특정 호흡가스 성분(예를 들어 ethanol, acetone)과의 correlation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혈청에 있는 glucose의 농도와 함께 insulin과 beta-Hydroxybutyrate의 농도를 측정하여 특정 호흡가스 농도와 비교하였습니다.
glucose와 insulin과의 관계는 잘 알겠는데,
beta-Hydroxybutyrate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논문에 beta-Hydroxybutyrate와 acetone의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가 있긴 하지만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이 부분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얼핏 보기에는 beta-Hydroxybutyrate가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 이 물질에 관한 내용을 잘 아시는 분이 계시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 beta-Hydroxybutyrate
- 당뇨병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8-10- 0
Acetone, acetoacetate, and beta-hydroxybutyrate와 같은 ketone body는 우리 생체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fatty acid나 몇몇 아미노산의 대사과정을 통해 간에서 합성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prolonged starvation이나 당뇨병이 있을 때 합성이 증가됩니다. Ketone body는 acid로 혈류로 들어가서 혈액을 산성화시키는데 이를 ketoacidosis라고 말합니다. 당뇨가 생기면 ketone body합성이 증가하여 혈중 ketone body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를 diabetic ketoacidosis라 합니다. 물론 소변에서도 ketone body가 검출되는데 이를 ketouria라 칭합니다. 그러므로 beta-Hydroxybutyrate가 증가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당뇨병이라고 진단할 수는 없지만 하나의 indicator로 볼 수 있습니다. 첨부한 문헌도 참고해 보세요... >사람의 호흡가스(날숨)를 분석하는 논문을 보고 있습니다. >논문에서는 혈중 glucose 농도와 특정 호흡가스 성분(예를 들어 ethanol, acetone)과의 correlation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혈청에 있는 glucose의 농도와 함께 insulin과 beta-Hydroxybutyrate의 농도를 측정하여 특정 호흡가스 농도와 비교하였습니다. > >glucose와 insulin과의 관계는 잘 알겠는데, >beta-Hydroxybutyrate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논문에 beta-Hydroxybutyrate와 acetone의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가 있긴 하지만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이 부분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얼핏 보기에는 beta-Hydroxybutyrate가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 이 물질에 관한 내용을 잘 아시는 분이 계시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 -
답변
신동호님의 답변
2005-08-11- 0
답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beta-Hydroxybutyrate가 어떠한 indicator인지 어느 정도는 파악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 물질이 ketoacidosis와 관련이 있다고 했는데, 이 물질이 혈중 glucose 농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지요.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5-08-11- 0
Acta Vet Scand. 1983;24(4):337-48. Correlation of whole blood concentrations of acetoacetate, beta-hydroxybutyrate, glucose and milk yield in dairy cows as studied under field conditions. Kauppinen K. Reprod Nutr Dev. 1998 Sep-Oct;38(5):509-18. Differences between blood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acetate, beta-hydroxybutyrate, glucose, ammonia and urea: implications for measurement of portal net fluxes in ewes. 위에 논문을 찾아보시면 인체는 아니지만 개략적인 관계를 알 수 있을 듯 합니다. >사람의 호흡가스(날숨)를 분석하는 논문을 보고 있습니다. >논문에서는 혈중 glucose 농도와 특정 호흡가스 성분(예를 들어 ethanol, acetone)과의 correlation을 밝히는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혈청에 있는 glucose의 농도와 함께 insulin과 beta-Hydroxybutyrate의 농도를 측정하여 특정 호흡가스 농도와 비교하였습니다. > >glucose와 insulin과의 관계는 잘 알겠는데, >beta-Hydroxybutyrate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논문에 beta-Hydroxybutyrate와 acetone의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가 있긴 하지만 자세한 설명이 없어서 이 부분의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얼핏 보기에는 beta-Hydroxybutyrate가 당뇨병과 관련이 있는 것 같은데, 이 물질에 관한 내용을 잘 아시는 분이 계시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2005-08-12- 0
깊이 들어가려면 내분비내과 전문의의 의견을 들어봐야할 것 같습니다. 사실 원인과 결과를 구분하기도 힘들고 국내의 당뇨 질환의 경우 외국교과서에 나오는 패턴과는 조금 다른면도 있습니다. 제가 아는 선에서 간단히 설명드리면, diabetes mellitus (DM) 의 가장 큰 특징은 hyperglycemia 입니다. excessive ketone bodies의 혈중 농도가 올라가면서 유발되는 Diabetic ketoacidosis (DKA)는 type 1 DM에서 자주 나타나며 type II의 경우는 일반적은 것은 아니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DKA는 매우 위험한 complication으로 즉시 치료를 안하면 사망에 이르게 됩니다. 물론 ketoacidosis는 alcohol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볼 때 혈당과 혈케도산 농도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당뇨환자의 spectrum이 매우 넓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조금 애매모호한 대답이 되어 버린 것 같아서 죄송합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screening이나 diagnosis에서 analytical sensitivity와 specificity도 중요하지만 실질적으로 고려해야할 부분은 clinical sensitivity와 specificity가 중요합니다. Clinical sensitivity를 고려한다면, 당뇨라고 진단받은 환자 중 얼마나 많이 혈중 케토산의 농도가 어느 cutoff value 이상이 되느냐가 문제이겠죠... 또한 clinical specificity라면 당뇨가 아닌 사람을 아니라고 진단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혈중케토산은 여러가지 상황에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조금 문제가 있을 수는 있겠지요...그렇다면 confirmatory assay를 통해서 또 구별을 해 내야하는데 이러한 자세한 알고리즘은 내분비 내과 전문의와 상의를 하셔야 유용성에 대해서 좀 더 실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있지 않나라는 생각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