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세포의 biodistribution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실험 디자인에서 protocol에 관해 약간의 문제가 있어서 질문을 드려봅니다. 대강의 실험의 내용은 human CD4+,CD8+ T cell을 mouse에 i.v로 넣어준 후 사람의 세포가 mouse의 어느 장기에 분포하는지를 알아보려는 실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어느 장기에 존재하는지, biodistribution 을 알아보기위해서 현재 생각은 mouse에 일정량의 cell을 주사한다음 일정시간 후에 각 장기별로 갈아서 human CD4나 CD8의 antibody로 FACS로 검사를 해보는 것과 PHK fluorescent cell linker kit같은 형광dye를 붙여서 mouse에 human cell을 주사한다음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하려 합니다. 이런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나 혹시 이런 실험에서 자주(논문에 잘 쓰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PET, MRI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던데.. 또 어떠한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지도 궁금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biodistribution
  • cell therap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최용두님의 답변

    세포의 biodistribution을 정량적으로 하고 싶으시면 radioisotope가 표지된물질을 세포에 labeling시킨후 감마선 촬영이나 PET를 사용하여, 이미징을 하시고 각장기를 떼어내어 감마선 카운팅을 하셔야됩니다. 형광분석이나 MRI는 정량분석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 >실험 디자인에서 protocol에 관해 약간의 문제가 있어서 질문을 드려봅니다. > >대강의 실험의 내용은 > >human CD4+,CD8+ T cell을 mouse에 i.v로 넣어준 후 사람의 세포가 mouse의 어느 장기에 분포하는지를 알아보려는 실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어느 장기에 존재하는지, biodistribution 을 알아보기위해서 > >현재 생각은 > >mouse에 일정량의 cell을 주사한다음 일정시간 후에 각 장기별로 갈아서 >human CD4나 CD8의 antibody로 FACS로 검사를 해보는 것과 > >PHK fluorescent cell linker kit같은 형광dye를 붙여서 mouse에 human cell을 주사한다음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하려 합니다. > >이런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나 혹시 이런 실험에서 자주(논문에 잘 쓰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 >PET, MRI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던데.. > >또 어떠한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지도 궁금합니다. >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
    세포의 biodistribution을 정량적으로 하고 싶으시면 radioisotope가 표지된물질을 세포에 labeling시킨후 감마선 촬영이나 PET를 사용하여, 이미징을 하시고 각장기를 떼어내어 감마선 카운팅을 하셔야됩니다. 형광분석이나 MRI는 정량분석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 >실험 디자인에서 protocol에 관해 약간의 문제가 있어서 질문을 드려봅니다. > >대강의 실험의 내용은 > >human CD4+,CD8+ T cell을 mouse에 i.v로 넣어준 후 사람의 세포가 mouse의 어느 장기에 분포하는지를 알아보려는 실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어느 장기에 존재하는지, biodistribution 을 알아보기위해서 > >현재 생각은 > >mouse에 일정량의 cell을 주사한다음 일정시간 후에 각 장기별로 갈아서 >human CD4나 CD8의 antibody로 FACS로 검사를 해보는 것과 > >PHK fluorescent cell linker kit같은 형광dye를 붙여서 mouse에 human cell을 주사한다음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하려 합니다. > >이런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나 혹시 이런 실험에서 자주(논문에 잘 쓰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 >PET, MRI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던데.. > >또 어떠한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지도 궁금합니다. >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우선 쥐의 선택부터가 중요합니다.. 면역관련 실험을 하시니 당연히 쥐의 선택은 잘 되어있으리라 생각합니다.. SCID 또는 RAG-/- 또는 RAG-/-, gamma-receptor -/- 등을 용도에 맞게 이용해야 하며, 이때 NK 세포의 역할도 주의하여 고려하여야 합니다. 다음은 timing이 중요합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부터는 human T cell이 proliferation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로 stimulation 시켜주지 않더라도). 만약 증식을 보고싶다면 요즈음 가장 많이 사용하는 CFSE labeling을 하시면 됩니다. 그냥 분포도만 볼려고 한다면 시간별로 blood, liver, spleen, lung, lymph node (쉽지 않습니다), MLN (mesenteric lymhp node), GALT, BALT 과 같은 면역 관련 organ (primary and secondary)을 적출하여 그 분포를 측정하시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cell sorter가 발달하여 원하는 세포를 따로 분리를 할 수가 있으므로 이 방법 또한 고려 해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요즈음 많이 사용되고 있는 CFSE+형광 분석법을 권장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실험 디자인에서 protocol에 관해 약간의 문제가 있어서 질문을 드려봅니다. > >대강의 실험의 내용은 > >human CD4+,CD8+ T cell을 mouse에 i.v로 넣어준 후 사람의 세포가 mouse의 어느 장기에 분포하는지를 알아보려는 실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어느 장기에 존재하는지, biodistribution 을 알아보기위해서 > >현재 생각은 > >mouse에 일정량의 cell을 주사한다음 일정시간 후에 각 장기별로 갈아서 >human CD4나 CD8의 antibody로 FACS로 검사를 해보는 것과 > >PHK fluorescent cell linker kit같은 형광dye를 붙여서 mouse에 human cell을 주사한다음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하려 합니다. > >이런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나 혹시 이런 실험에서 자주(논문에 잘 쓰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 >PET, MRI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던데.. > >또 어떠한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지도 궁금합니다. >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
    우선 쥐의 선택부터가 중요합니다.. 면역관련 실험을 하시니 당연히 쥐의 선택은 잘 되어있으리라 생각합니다.. SCID 또는 RAG-/- 또는 RAG-/-, gamma-receptor -/- 등을 용도에 맞게 이용해야 하며, 이때 NK 세포의 역할도 주의하여 고려하여야 합니다. 다음은 timing이 중요합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부터는 human T cell이 proliferation 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따로 stimulation 시켜주지 않더라도). 만약 증식을 보고싶다면 요즈음 가장 많이 사용하는 CFSE labeling을 하시면 됩니다. 그냥 분포도만 볼려고 한다면 시간별로 blood, liver, spleen, lung, lymph node (쉽지 않습니다), MLN (mesenteric lymhp node), GALT, BALT 과 같은 면역 관련 organ (primary and secondary)을 적출하여 그 분포를 측정하시는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 될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cell sorter가 발달하여 원하는 세포를 따로 분리를 할 수가 있으므로 이 방법 또한 고려 해 볼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요즈음 많이 사용되고 있는 CFSE+형광 분석법을 권장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실험 디자인에서 protocol에 관해 약간의 문제가 있어서 질문을 드려봅니다. > >대강의 실험의 내용은 > >human CD4+,CD8+ T cell을 mouse에 i.v로 넣어준 후 사람의 세포가 mouse의 어느 장기에 분포하는지를 알아보려는 실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어느 장기에 존재하는지, biodistribution 을 알아보기위해서 > >현재 생각은 > >mouse에 일정량의 cell을 주사한다음 일정시간 후에 각 장기별로 갈아서 >human CD4나 CD8의 antibody로 FACS로 검사를 해보는 것과 > >PHK fluorescent cell linker kit같은 형광dye를 붙여서 mouse에 human cell을 주사한다음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하려 합니다. > >이런 방법 말고 다른 방법이나 혹시 이런 실험에서 자주(논문에 잘 쓰이는) 방법이 있을까요? > >PET, MRI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던데.. > >또 어떠한 방법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지도 궁금합니다. >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