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몇가지 물성에 관한 질문

몇가지 필름에 대한 물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하기 나열하는 물성들에 대한 간단한 의미와 측정방법, 측정장비 그리고, 측정기관 등이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1. Young's Modulus (GPa) 2. Storage Modulus (MPa) 3. Tensile Strength (MPa) 4. 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ppm/K) 5. Water Absorption (%) 6. Adhesion Strength (N/m, @RT, N/m, 150도씨, 168hr) 7. ACF(이방성 전도성 필름) Peel Strength (N/m) 8. Bending Endurance (Cycles) 9. Dimesional Stability (%) 10. Electrical Insulation 11. Tear Strength JIS규격과 ASTM규격에 의해 측정하는 항목들인 것 같은데, 상세하지는 않아도 대략적인 의미와 측정법을 알고 싶습니다.
  • film
  • propert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몇가지 필름에 대한 물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하기 나열하는 물성들에 대한 간단한 의미와 측정방법, 측정장비 그리고, 측정기관 등이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1. Young's Modulus (GPa) >2. Storage Modulus (MPa) >3. Tensile Strength (MPa) >4. 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ppm/K) >5. Water Absorption (%) >6. Adhesion Strength (N/m, @RT, N/m, 150도씨, 168hr) >7. ACF(이방성 전도성 필름) Peel Strength (N/m) >8. Bending Endurance (Cycles) >9. Dimesional Stability (%) >10. Electrical Insulation >11. Tear Strength > >JIS규격과 ASTM규격에 의해 측정하는 항목들인 것 같은데, >상세하지는 않아도 대략적인 의미와 측정법을 알고 싶습니다. 너무 많은 것을 물어 보셔서... Young's Modulus Young's Modulus (영율)은 응력을 변형으로 나눈값으로 경직된 정도를 표기하는 값, 영율은 종탄성계수(세로탄성계수)라고도 하며, 재료의 인장시험시 얻을 수 있는 “응력-변형률선도“ 상에서 응력과 변형률이 선형비례관계를 갖는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 선형구간에서만 재료역학의 기본식인 후크의 법칙이 적용됩니다. 이때 “응력/변형율=영율“의 식이 성립됩니다. 즉, 영율은 세로축이 응력축이고 가로축이 변형율축인 응력-변형율 선도상에서 직선구간의 기울기와 같습니다. Tesile Strength Tensile strength는 제곱미터(또는 제곱 인치)단위의 시료의 초기 최대 cross-sectional area 최대 load(newton또는pound-force단위)값을 나눔으로써 구해집니다. 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열팽창 계수 용어의 이름에서 뜻이 그대로 나타나는 것처럼 물체에 열을 가하면 대부분 팽창하고 냉각하면 수축하는데 이러한 수축 팽창의 정도를 나타나는 상수입니다. Water Absorption 수분 흡수율 말 그대로 물질이 어느 정도 물을 흡수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여자 생리용품의 경우에 그 흡수도가 매우 높지요. Adhesion Strength 우리말로 밀착강도라고 번역해야 하나요? 아니면 점착력이라고 해석해야 하는지.. 시료가 어느 것에 얼마만큼 잘 붙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일반적으로 점착력은 박리강도(Peel Strength)즉 180도 방향으로 당겨서 벗기는데 함을 나타내며 단위는 시료의 폭, 당, 힘으로 표시 Bending Endurance 굽힘(휨) 내구성? Tear Strength 인열 강도 시험하는 물질이 찢어지는 정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표준 상태에서 종이 쪼각이 ?어지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는데, 이것은 종이가 ?어지는 것을 저항하는 최대치 힘을 나타냅니다. 물어보신 물성학 용어가 한 분야의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물성학 용어로 보이네요..^^ 제가 식품 분야에서 배운것과 다른 분야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에 있어서 약간씩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전부 같습니다. 제가 답해드리지 못한 용어는 식품 물성학(Physical, Functional, Texture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Food)란 책자와 기타 물성학 책자를 보시면 잘 나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몇가지 필름에 대한 물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하기 나열하는 물성들에 대한 간단한 의미와 측정방법, 측정장비 그리고, 측정기관 등이 궁금합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1. Young's Modulus (GPa) >2. Storage Modulus (MPa) >3. Tensile Strength (MPa) >4. 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ppm/K) >5. Water Absorption (%) >6. Adhesion Strength (N/m, @RT, N/m, 150도씨, 168hr) >7. ACF(이방성 전도성 필름) Peel Strength (N/m) >8. Bending Endurance (Cycles) >9. Dimesional Stability (%) >10. Electrical Insulation >11. Tear Strength > >JIS규격과 ASTM규격에 의해 측정하는 항목들인 것 같은데, >상세하지는 않아도 대략적인 의미와 측정법을 알고 싶습니다. 너무 많은 것을 물어 보셔서... Young's Modulus Young's Modulus (영율)은 응력을 변형으로 나눈값으로 경직된 정도를 표기하는 값, 영율은 종탄성계수(세로탄성계수)라고도 하며, 재료의 인장시험시 얻을 수 있는 “응력-변형률선도“ 상에서 응력과 변형률이 선형비례관계를 갖는 영역이 존재하는데 이 선형구간에서만 재료역학의 기본식인 후크의 법칙이 적용됩니다. 이때 “응력/변형율=영율“의 식이 성립됩니다. 즉, 영율은 세로축이 응력축이고 가로축이 변형율축인 응력-변형율 선도상에서 직선구간의 기울기와 같습니다. Tesile Strength Tensile strength는 제곱미터(또는 제곱 인치)단위의 시료의 초기 최대 cross-sectional area 최대 load(newton또는pound-force단위)값을 나눔으로써 구해집니다. 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열팽창 계수 용어의 이름에서 뜻이 그대로 나타나는 것처럼 물체에 열을 가하면 대부분 팽창하고 냉각하면 수축하는데 이러한 수축 팽창의 정도를 나타나는 상수입니다. Water Absorption 수분 흡수율 말 그대로 물질이 어느 정도 물을 흡수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여자 생리용품의 경우에 그 흡수도가 매우 높지요. Adhesion Strength 우리말로 밀착강도라고 번역해야 하나요? 아니면 점착력이라고 해석해야 하는지.. 시료가 어느 것에 얼마만큼 잘 붙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일반적으로 점착력은 박리강도(Peel Strength)즉 180도 방향으로 당겨서 벗기는데 함을 나타내며 단위는 시료의 폭, 당, 힘으로 표시 Bending Endurance 굽힘(휨) 내구성? Tear Strength 인열 강도 시험하는 물질이 찢어지는 정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표준 상태에서 종이 쪼각이 ?어지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하는데, 이것은 종이가 ?어지는 것을 저항하는 최대치 힘을 나타냅니다. 물어보신 물성학 용어가 한 분야의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물성학 용어로 보이네요..^^ 제가 식품 분야에서 배운것과 다른 분야에서 쓰이는 용어의 의미에 있어서 약간씩의 차이는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개념은 전부 같습니다. 제가 답해드리지 못한 용어는 식품 물성학(Physical, Functional, Texture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Food)란 책자와 기타 물성학 책자를 보시면 잘 나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