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Mast cell이 생성하는 cytokine등을 면역 염색하는 방법에 대해

mast cell이 분비하는 TGF-beta, histamine, histamine, prostaglandin D2, leukotrriene D4, tryptase에 관해 연구하려고 합니다 Biopsy 조직에서 상기의 물질을 mast cell이 합성하고 있는지, 또한 2가지 조직을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할 방법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조직에서(현미경을 통해 보면서, immunohistochemistry등의 방법으로) 1. DNA, RNA의 gene level에서 생성을 확인하는 방법 2. 생성된 protein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상기의 실험 방법이 있는 논문이라도 ...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mast cell
  • immunohistochemistr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여러가지 방법으로 mast cell을 연구해 볼 수 있습니다.. Biopsy 조직이라고 하셨으니 조직을 immunohistochemistry나 immunofluorescence로 염색하거나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사용하시겠군요.. 그 외에도 cell sorting하는 법등이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 key는 세포를 어떻게 구분하느냐 입니다. 예를들어, 조직에서 위에 열거한 여러가지 사이토카인이나 엘러지 반응에 중요한 히스타민을 열색한다 하더라도 이들이 mast cell에서 왔다는것이 일단 증명이 되어져야 하기 때문이죠.. 저는 flow cytometry를 사용하기 때문에 intracellular staining을 선호합니다. 마커만 있다면, 원하는 세포와 원하는 단백질을 동시에 염색을 하여 보여줄 수가 있기 때문이죠.. 또한 sorting (magnetic bead나 cell sorter를 사용하여서) 을 하게되면.. contamination이 없다는 가정하에 여기서 증가하는 mRNA나 단백질은 mast cell에서 왔다고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페이퍼 쓸때 좀 편하죠.. 참고로 mouse mast cell-line도 있습니다. 아래 Dastych et al. 논문 참고하세요.. http://www.ihcworld.com/_protocols/antibody_protocols/mast_cell_tryptase_dakocytomation.htm http://www.stanford.edu/~teruel1/Discussion%20Papers/RBL_Rab3d_RN_annexin.pdf Dastych J, Wyczó kowska J, Metcalfe DD: Characterization of 5-Integrin-Dependent Mast Cell Adhesion following Fc RI Aggregation. Int Arch Allergy Immunol 2001;125:152-159 Dvorak AM. New aspects of mast cell biology. Int Arch Allergy Immunol. 1997 Sep;114(1):1-9. Department of Pathology,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 02215, USA. 이 분이 mast cell의 master인 듯 합니다. 최근까지도 논문이 나와있거던요.. 최근 연락처: Department of Pathology - East Campus,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Boston, MA 02215, USA. advorak@bidmc.harvard.edu >mast cell이 분비하는 >TGF-beta, histamine, histamine, prostaglandin D2, leukotrriene D4, tryptase에 관해 연구하려고 합니다 > >Biopsy 조직에서 상기의 물질을 mast cell이 합성하고 있는지, 또한 2가지 조직을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할 방법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조직에서(현미경을 통해 보면서, immunohistochemistry등의 방법으로) >1. DNA, RNA의 gene level에서 생성을 확인하는 방법 >2. 생성된 protein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 >상기의 실험 방법이 있는 논문이라도 ... >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mast cell을 연구해 볼 수 있습니다.. Biopsy 조직이라고 하셨으니 조직을 immunohistochemistry나 immunofluorescence로 염색하거나 In situ hybridization 방법을 사용하시겠군요.. 그 외에도 cell sorting하는 법등이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 key는 세포를 어떻게 구분하느냐 입니다. 예를들어, 조직에서 위에 열거한 여러가지 사이토카인이나 엘러지 반응에 중요한 히스타민을 열색한다 하더라도 이들이 mast cell에서 왔다는것이 일단 증명이 되어져야 하기 때문이죠.. 저는 flow cytometry를 사용하기 때문에 intracellular staining을 선호합니다. 마커만 있다면, 원하는 세포와 원하는 단백질을 동시에 염색을 하여 보여줄 수가 있기 때문이죠.. 또한 sorting (magnetic bead나 cell sorter를 사용하여서) 을 하게되면.. contamination이 없다는 가정하에 여기서 증가하는 mRNA나 단백질은 mast cell에서 왔다고 할 수가 있기 때문에 페이퍼 쓸때 좀 편하죠.. 참고로 mouse mast cell-line도 있습니다. 아래 Dastych et al. 논문 참고하세요.. http://www.ihcworld.com/_protocols/antibody_protocols/mast_cell_tryptase_dakocytomation.htm http://www.stanford.edu/~teruel1/Discussion%20Papers/RBL_Rab3d_RN_annexin.pdf Dastych J, Wyczó kowska J, Metcalfe DD: Characterization of 5-Integrin-Dependent Mast Cell Adhesion following Fc RI Aggregation. Int Arch Allergy Immunol 2001;125:152-159 Dvorak AM. New aspects of mast cell biology. Int Arch Allergy Immunol. 1997 Sep;114(1):1-9. Department of Pathology,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and Harvard Medical School, Boston, Mass., 02215, USA. 이 분이 mast cell의 master인 듯 합니다. 최근까지도 논문이 나와있거던요.. 최근 연락처: Department of Pathology - East Campus,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Boston, MA 02215, USA. advorak@bidmc.harvard.edu >mast cell이 분비하는 >TGF-beta, histamine, histamine, prostaglandin D2, leukotrriene D4, tryptase에 관해 연구하려고 합니다 > >Biopsy 조직에서 상기의 물질을 mast cell이 합성하고 있는지, 또한 2가지 조직을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할 방법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조직에서(현미경을 통해 보면서, immunohistochemistry등의 방법으로) >1. DNA, RNA의 gene level에서 생성을 확인하는 방법 >2. 생성된 protein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 >상기의 실험 방법이 있는 논문이라도 ... > >부탁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