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9-06
org.kosen.entty.User@5fe4c6a1
김성우(sungwookim)
- 1
고상법의 분말합성중에 Flux(Li2CO3)양을 증가시키면
리튬이 휘발하여 용기(알루미나)와 반응할 수 있다는데..
형광분말의 특성변화없이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열처리시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재질과 리튬카보네이트의 반응성을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관련 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FLUX
- PHOSPHOR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최기혁님의 답변
2005-09-08- 0
Flux양을 증가시키면, 고상반응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입경이 너무 커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휘발되는 양이 늘어나서 알루미나 용기를 손상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최적 flux양은 실험적으로 구하는 것이 가장 좋은데, 제품의 조성 균일성을 우선할 것인지, 입도분포를 우선할것인지에 따라 달라지겠지요. 또한 한가지 화합물만을 사용하지 않고 이성분 또는 삼성분계의 flux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hase diagram을 참조해서 melting point나 product의 phase를 사전에 estimation하는 것도 가능하겠지요. 실험상 한가지 주의할 점은, 알루미나 용기의 바닥이 좁고 키가 너무 크면 flux가 melting되어 아래쪽에 모인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입도분포는 더욱 넓어집니다. 형광체에서 입도분포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널리 알려져 있으니 다시 설명드릴 필요가 없겠지요. 오래된 지식이긴 합니다만,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고상법의 분말합성중에 Flux(Li2CO3)양을 증가시키면 > >리튬이 휘발하여 용기(알루미나)와 반응할 수 있다는데.. > >형광분말의 특성변화없이 이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열처리시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재질과 리튬카보네이트의 반응성을 >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관련 자료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