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lasma 와 serum의 차이???

안녕하세요 논문에서 보면 human plasma, rat serum 이라는 말을 많이 보는데 plasma는 혈장이고 serum은 혈청인데 이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혈장은 혈액에서 혈구부분을 제외한 부분이라고 배운거 같은데 그럼 혈청은 무엇인가요? 고수님들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꾸뻑
  • gusdu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문진성님의 답변

    백과사전내용입니다. 참고하세요. 혈장 혈구를 제외한 혈액의 액체 성분. 그 구성성분은 수분이 91% 정도이고, 나머지는 전해질과 단백질을 주로 한 유기성분이다. 주된 전해질은 나트륨·염소·탄산수소 이온이며, 특히 나트륨은 총 양이온의 약 93%를 차지한다. 전체 음이온의 약 2/3를 염소, 약 2/5를 탄산수소 이온이 차지한다. 혈장의 삼투압은 약 300m Osm(밀리오스몰)로, 그 96%가 전해질에 의한다(m Osm이란 용액 1ℓ 중 삼투압에 활성인 용질 1m ㏖을 함유할 때의 삼투압). 혈장단백질은 혈장 중에 6.5∼8.0%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혈장을 황산암모늄으로 염석(鹽析)하는 경우 반포화상태로 침전하는 것은 글로불린, 포화농도에서 침전하는 것은 알부민이며, 모두 혈장단백질의 주요 성분이다. 이 때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A/G比)는 1.5∼2.2이다. A/G비의 저하는 간(肝)질환 등에서 중요한 지표로 이용된다. 혈장단백질은 또한 전기영동법으로 알부민·-글로불린·-글로불린·-글로불린·-글로불린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각 단백질은 〔표〕 및 〔그림〕처럼 분자량·모양·성질과 상태에 각각 차이가 있다. 혈청 사람이나 척추동물의 혈액이 응고되었을 때 혈병(血餠)과 분리되는 노란빛을 띤 투명한 액체. 개방혈관계를 가진 무척추동물에서는 혈청이나 혈장이 없으며 혈림프가 이에 해당한다. 혈청성분은 물 90%, 각종 염류 및 단백질 7∼8%가 용해되어 있으며 혈장성분 가운데 응고할 때에 석출(析出)된 피브리노겐을 제거한 것과 같으므로 그 성질과 상태도 혈장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엄밀하게 말하면 응고과정에서 변하는 각종 혈액응고인자·섬유소용해계·키닌계·혈소판유래입자 등이 같다고 할 수는 없다. 오늘날에는 혈액의 생리적인 성질과 상태를 거의 바꾸지 않고, 그 응고를 막는 항응고제(抗凝固劑;헤파린 등)가 많이 쓰이기 때문에, 시간을 들여서 혈청을 구하는 일은 면역학적 연구에 거의 한정되어 있다. 혈청의 외관은 병의 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수가 있어 진단에 도움이 된다. 황달지수(黃疸指數)는 혈청의 황갈색 색조를 조사한 것이다. >안녕하세요 >논문에서 보면 human plasma, rat serum 이라는 말을 많이 보는데 >plasma는 혈장이고 serum은 혈청인데 >이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혈장은 혈액에서 혈구부분을 제외한 부분이라고 배운거 같은데 그럼 혈청은 무엇인가요? >고수님들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꾸뻑
    백과사전내용입니다. 참고하세요. 혈장 혈구를 제외한 혈액의 액체 성분. 그 구성성분은 수분이 91% 정도이고, 나머지는 전해질과 단백질을 주로 한 유기성분이다. 주된 전해질은 나트륨·염소·탄산수소 이온이며, 특히 나트륨은 총 양이온의 약 93%를 차지한다. 전체 음이온의 약 2/3를 염소, 약 2/5를 탄산수소 이온이 차지한다. 혈장의 삼투압은 약 300m Osm(밀리오스몰)로, 그 96%가 전해질에 의한다(m Osm이란 용액 1ℓ 중 삼투압에 활성인 용질 1m ㏖을 함유할 때의 삼투압). 혈장단백질은 혈장 중에 6.5∼8.0%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혈장을 황산암모늄으로 염석(鹽析)하는 경우 반포화상태로 침전하는 것은 글로불린, 포화농도에서 침전하는 것은 알부민이며, 모두 혈장단백질의 주요 성분이다. 이 때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A/G比)는 1.5∼2.2이다. A/G비의 저하는 간(肝)질환 등에서 중요한 지표로 이용된다. 혈장단백질은 또한 전기영동법으로 알부민·-글로불린·-글로불린·-글로불린·-글로불린 등으로 구분된다. 이들 각 단백질은 〔표〕 및 〔그림〕처럼 분자량·모양·성질과 상태에 각각 차이가 있다. 혈청 사람이나 척추동물의 혈액이 응고되었을 때 혈병(血餠)과 분리되는 노란빛을 띤 투명한 액체. 개방혈관계를 가진 무척추동물에서는 혈청이나 혈장이 없으며 혈림프가 이에 해당한다. 혈청성분은 물 90%, 각종 염류 및 단백질 7∼8%가 용해되어 있으며 혈장성분 가운데 응고할 때에 석출(析出)된 피브리노겐을 제거한 것과 같으므로 그 성질과 상태도 혈장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엄밀하게 말하면 응고과정에서 변하는 각종 혈액응고인자·섬유소용해계·키닌계·혈소판유래입자 등이 같다고 할 수는 없다. 오늘날에는 혈액의 생리적인 성질과 상태를 거의 바꾸지 않고, 그 응고를 막는 항응고제(抗凝固劑;헤파린 등)가 많이 쓰이기 때문에, 시간을 들여서 혈청을 구하는 일은 면역학적 연구에 거의 한정되어 있다. 혈청의 외관은 병의 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수가 있어 진단에 도움이 된다. 황달지수(黃疸指數)는 혈청의 황갈색 색조를 조사한 것이다. >안녕하세요 >논문에서 보면 human plasma, rat serum 이라는 말을 많이 보는데 >plasma는 혈장이고 serum은 혈청인데 >이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혈장은 혈액에서 혈구부분을 제외한 부분이라고 배운거 같은데 그럼 혈청은 무엇인가요? >고수님들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꾸뻑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재휘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논문에서 보면 human plasma, rat serum 이라는 말을 많이 보는데 >plasma는 혈장이고 serum은 혈청인데 >이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혈장은 혈액에서 혈구부분을 제외한 부분이라고 배운거 같은데 그럼 혈청은 무엇인가요? >고수님들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꾸뻑 다음과 같습니다. 혈액은 크게 액체성분과 유형성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중 유형성분에는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됩니다. 혈구란 이 적혈구와 백혈구를 합해서 말합니다. 나머지 액체성분을 혈장이라고 하는데 혈청과의 차이는 섬유소원입니다. 채취한 혈액('전혈' 이라고도 합니다)을 시험관에 넣어 세워두면 혈액이 응고하게 되고 혈구 성분과 함께 무거워 가라앉게 되는데 이 때 위에 뜬 담황색의 액체를 혈청이라고 합니다. 혈액 응고가 일어났기 때문에 혈청에는 응고와 관련된 섬유소원이 없습니다. 한편 혈장은 채취한 혈액에 항응고제를 넣어 응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뒤 방치하거나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말합니다.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혈장에는 섬유소원이 존재합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혈장에서 섬유소원이 빠진 것이 혈청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PHARMUK1
    >안녕하세요 >논문에서 보면 human plasma, rat serum 이라는 말을 많이 보는데 >plasma는 혈장이고 serum은 혈청인데 >이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혈장은 혈액에서 혈구부분을 제외한 부분이라고 배운거 같은데 그럼 혈청은 무엇인가요? >고수님들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꾸뻑 다음과 같습니다. 혈액은 크게 액체성분과 유형성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중 유형성분에는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이 포함됩니다. 혈구란 이 적혈구와 백혈구를 합해서 말합니다. 나머지 액체성분을 혈장이라고 하는데 혈청과의 차이는 섬유소원입니다. 채취한 혈액('전혈' 이라고도 합니다)을 시험관에 넣어 세워두면 혈액이 응고하게 되고 혈구 성분과 함께 무거워 가라앉게 되는데 이 때 위에 뜬 담황색의 액체를 혈청이라고 합니다. 혈액 응고가 일어났기 때문에 혈청에는 응고와 관련된 섬유소원이 없습니다. 한편 혈장은 채취한 혈액에 항응고제를 넣어 응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 뒤 방치하거나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말합니다. 응고가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혈장에는 섬유소원이 존재합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혈장에서 섬유소원이 빠진 것이 혈청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PHARMUK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