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혈장/혈청 질문에 이어...

질문을 이어서 올리는 법을 몰라서 그냥 다시 올립니다. 그럼 피를 뽑아서 원심분리에 한번 돌린후 상등액만 취했다면 그건 plasma 인가요? 답변 바랍니다.
  • gusdu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이재휘님의 답변

    >질문을 이어서 올리는 법을 몰라서 그냥 다시 올립니다. > >그럼 피를 뽑아서 원심분리에 한번 돌린후 상등액만 취했다면 그건 plasma 인가요? > >답변 바랍니다. 혈액을 채취할 때 헤파린등 항응고제로 처리하였는지의 여부가 중요합니다. 혈액에 헤파린처리를 하였다면 이 혈액은 응고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심분리를 하면 혈구성분은 가라앉고 혈장(plasma)을 얻을 수 있지요. 그러나 만일 헤파린으로 처리하지 않았다면 채혈 즉시 원심분리를 하였다고 하여도 원심분리만으로는 섬유소원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상징액을 취해도 (질문자께서 언급하신 'plasma') 상징액의 일부는 곧 응고하게 됩니다. 이 응고된 상징액을 다시 원심분리하여 응고된 혈액성분을 제거하게 되면 혈청(serum)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액 중의 약물농도를 측절하기 위해서는 혈액을 채취한 후 헤파린 처리를 하여 혈액응고를 방지한 후 이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장(plasma)을 얻습니다. 이 혈장을 분석시점까지 냉동보관 한 후 분석일에 이 혈장 시료를 해동시켜 혈장에 함유된 약물농도를 측정하게 됩니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혈장으로부터 약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HPLC등으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PHARMUK1
    >질문을 이어서 올리는 법을 몰라서 그냥 다시 올립니다. > >그럼 피를 뽑아서 원심분리에 한번 돌린후 상등액만 취했다면 그건 plasma 인가요? > >답변 바랍니다. 혈액을 채취할 때 헤파린등 항응고제로 처리하였는지의 여부가 중요합니다. 혈액에 헤파린처리를 하였다면 이 혈액은 응고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원심분리를 하면 혈구성분은 가라앉고 혈장(plasma)을 얻을 수 있지요. 그러나 만일 헤파린으로 처리하지 않았다면 채혈 즉시 원심분리를 하였다고 하여도 원심분리만으로는 섬유소원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상징액을 취해도 (질문자께서 언급하신 'plasma') 상징액의 일부는 곧 응고하게 됩니다. 이 응고된 상징액을 다시 원심분리하여 응고된 혈액성분을 제거하게 되면 혈청(serum)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혈액 중의 약물농도를 측절하기 위해서는 혈액을 채취한 후 헤파린 처리를 하여 혈액응고를 방지한 후 이 혈액을 원심분리하여 혈장(plasma)을 얻습니다. 이 혈장을 분석시점까지 냉동보관 한 후 분석일에 이 혈장 시료를 해동시켜 혈장에 함유된 약물농도를 측정하게 됩니다. 이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혈장으로부터 약물을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HPLC등으로 분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기를.. PHARMUK1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