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09-16
org.kosen.entty.User@3ce6f321
장승연(pipi29)
- 2
논문을 읽다보면 paired t test가 나오는데, 이것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paired t test에 의한 결과로, P<0.0003 이렇게 나오는데, 여기서 P는 무엇을 의미하고, P의 범위는 있는지, 등을 알고 싶습니다.
paired t test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어 질문을 명확하게 하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 paired t tes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문진성님의 답변
2005-09-16- 0
> >논문을 읽다보면 paired t test가 나오는데, 이것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paired t test에 의한 결과로, P<0.0003 이렇게 나오는데, 여기서 P는 무엇을 의미하고, P의 범위는 있는지, 등을 알고 싶습니다. > >paired t test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어 질문을 명확하게 하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t-test는 두 집단간의 평균값의 차이가 우연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인지(유의한지)를 파악할 때 필요한 통계적 기법으로 paired T-test 는 서로 독립이 아닌 두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고자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분석 방법이고 unpaired T-test 는 서로 독립인 두 집단간의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고자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분석 방법입니다. P는 유의확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답변
우경근님의 답변
2005-09-17- 0
> >논문을 읽다보면 paired t test가 나오는데, 이것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paired t test에 의한 결과로, P<0.0003 이렇게 나오는데, 여기서 P는 무엇을 의미하고, P의 범위는 있는지, 등을 알고 싶습니다. > >paired t test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어 질문을 명확하게 하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일단 6sigma tool에서 나오는 용어입니다. minitap이라는 프로그램인데 data를 입력하고 원하는 조건으로 실행시켜 나오는 결과가 P이며 이 값을 가지고 판정을 합니다. 어떠한 실험을 할때 가설을 설정하는데, 나중에 그 가설이 맞는건지 아닌건지 확인하는걸 검정이라 합니다. 실험이라는게 모든 조건에서 모든 경우의 수만큼 실시되는건 불가능하기에 최소한의 실험으로 최대한의 data를 얻게 되는데, 이때 통계적인 data처리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 중에 하나가 paired t test라는 거죠. 예를들어 두개의 타이어가 있고 각각의 타이어에 대한 마모력 실험을 하고자 하면 두대의 똑같은 차에 장착하고 중에 타이어 마모정도를 확인하면 결론을 얻을 수 있죠. 그런데 문제는 똑같은 차라고 해도 타는 사람의 성격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두 바퀴를 하나의 차에 장착해 실험하면 결과가 타이어에만 영향을 받는다 말할 수 있을겁니다.(example임-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겠죠) 정리하면 1.운전자들의 유의차가 없고 2.차량들이 동일하다고 가정하면 타이어 마모력차이 비교는 2sample-t 1.운전자들의 유의차가 있고 2.차량들을 동일하게 하기 어렵다고 생각되면 운전자와 차량을 같게하고 타이어만 하나의 차에 장착해서 비교할 수 있을때 paired t test라는 tool을 쓰게됩니다.(보통 의학실험에서 사용) 결론적으로 P-value란 조건에 대한 유의차가 있다 또는 없다는 가설을 결론지을때 사용하는 값으로 '있다'고 발생할 확률이 0.0003이란 말로써 (보통 >0.05 이상이면 있다) 위의 실험에선 유의차가 “없다“ 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