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생리활성물질의 의미를 자세하게 알 수 있을까요?

생리활성물질의 정의를 똑부러지게 내리기가 어렵네요.. 의미를 알긴 하겠는데 말로 표현을 못하겠거든요.. 정의와 함께 예시를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bioactive substance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생리활성물질의 정의를 똑부러지게 내리기가 어렵네요.. >의미를 알긴 하겠는데 말로 표현을 못하겠거든요.. >정의와 함께 예시를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생리활성 물질이란 생물이 생을 영위함에 있어서 생체의 기능을 증진시키거나 혹은 억제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생체 내에서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물질의 결핍이나 과도한 분비에 의해 비정상적인 병태를 보일때 이를 바로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라 정의 할수 있습니다. 생리활성물질의 창출은 생체의 보다 나은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대단히 중요합니다. 새로운 생리활성의 물질의 창출은 동식물과 같은 천연물로부터 얻거나 미생물 및 동식물 세포주의 대사산물로부터 추출 정제 할수도 있고 화학합성에 의해서도 얻을수 있습니다. 생리활성 물질의 종류는 워낙 많기 때문에 일일이 들기는 힘들고.. 네이버에 나온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이소플라본 이소플라본은 식물체 속에 들어있는 파이토 케미컬이라는 식물성 화합물 중 특히 콩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으로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구조가 비슷하여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 불려진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는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이외에도, 식물 섬유질에서 얻어지는 리그닌 주로 클로버나 알팔파에서 얻어지는 쿠메스탄등이 포함된다. 콩 이소플라본에는 주로 제니스테인 ,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등이 있다. 콩과 발효되지 않은 콩 식품에는 주로 β-glycoside인 배당체 형태가 많으며, 된장 등과 같은 발효 콩제품에는 발효에 의해 가수분해가 일어나 비배당체 형태의 함량이 높다. 또한 우리가 콩제품을 섭취하면 대장에 있는 β-glycosidase에 의해 당이 떨어져 나가 비배당체 형태로 바뀌며, 비배당체 형태가 배당체 형태보다 활성이 더 높다. 이소플라본은 1899년 처음으로 녹황색식물에서부터 제니스테인이 분리되었으며, 1931년 Walz는 콩에서 배당체 형태인 제니스틴, 다이드진을 분리하는데 성공하였다. 현재 미국 농무성에서는 여러 가지 식품의 이소플라본 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홈페이지에서 여러 가지 식품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함량을 알 수 있다(http://ww w.nal.usda.gov/fnic) 2. 프로스타글란딘 장기나 체액 속에 널리 분포하면서 극히 미량으로 생리작용을 한다. PG라고 약칭한다. 1930년 미국의 산부인과 의사인 클츠록이 사람의 정액에 자궁을 수축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후에 그 유효성분이 전립선에서 나온다고 생각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1950년대에 들어 스웨덴의 S.베리스트룀이 양의 정낭선에서 PG를 추출하고 결정화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현재는 화학적 합성도 한다. 생체 내에서는 지방산을 재료로 하여 효소의 작용으로 만들어진다. 종류는 A~H까지의 8족으로 분류되며 작용도 다양하다. E, F족에는 자궁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도 있고, 분만유발 ·인공임신중절에 실용화되고 있다. 그 밖에 종류에 따라 모세혈관 확장작용, 위액분비 억제작용, 기관지 근육의 수축 ·이완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작용이 있다. 3. 프로테아제 단백질분해효소라고도 한다. 동식물의 조직이나 세포, 미생물에 널리 존재한다. 대부분은 분자량 수만인 단순단백질인데, 당이나 금속이온을 수반하는 복합단백질인 경우도 있다. 분해양식에 의하여 엑소펩티다아제(exopeptidase)와 엔도펩티다아제(endopeptidase)로 크게 둘로 나눈다. 엑소펩티다아제는 펩티드사슬의 말단에만 작용하여 아미노산을 차례로 유리시킨다. 로이신아미노펩티다아제나 카르복시펩티다아제가 대표적이다. 엔도펩티다아제는 말단보다는 오히려 내부에 작용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펩티드를 유리시킨다.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등 수많은 예가 있다. 또, 촉매작용하는 필수아미노산 잔기(殘基)나 조건에 의하여 세린효소 ·티올효소 ·금속효소 ·산성효소의 4종으로 분류된다. 프로테아제는 생물에 의하여 불가결한 단백질의 재료인 아미노산을 다른 단백질 분해에 의하여 섭취할 때에 필요하며, 또 단백질 화학에 있어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4. 레시틴 난황 ·콩기름 ·간 ·뇌 등에 다량 존재한다. 어원은 그리스어의 난황에서 유래하였다. 알코올 ·에테르에 용해되며 물과는 에멀션을 만든다. 가수분해하여 콜린 ·인산 ·글리세롤 ·지방산을 생성한다. 지방산은 주로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등이다. 글리세롤의 2개의 히드록시기가 지방산 에스테르가 되어 있고, 다른 1개의 히드록시기가 인산 에스테르가 되어 있다. 콜린도 인산과 에스테르를 만든다. 레시티나아제(포스폴리파아제)라고 하는 가수분해효소의 작용으로 분해된다. 뱀독이나 세균독소에 함유되어 있는 이 효소에는 적혈구를 용혈시키고 세포를 파괴하는 작용이 있다. 그 때문에 레시틴은 세포막 구성의 중요한 성분의 하나이다 5. 아세틸콜린 화학식 CH3COOCH2CH2N(CH3)3OH. 동물에서는 신경조직에 존재하고, 식물에서는 맥각등에 들어 있다. 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되며, 신경의 자극을 근육에 전달하는 화학물질이다. 신경말단으로부터 분비되는 전달물질로는 운동신경과 부교감신경에서는 아세틸콜린이, 교감신경에서는 에피네프린이 알려져 있다. 아세틸콜린이 분비되면 혈압강하 ·심장박동 억제 ·장관 수축 ·골격근 수축 등의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신경말단에서 분비된 아세틸콜린은 자극의 전달이 끝나면 콜린에스테라아제에 의해 콜린과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콜린은 콜린아세티라아제의 작용에 의해 효소적으로 합성되어 다시 아세틸콜린이 된다. 6. 글루카곤 글리카곤 또는 항인슐린, 인슐린 B라고도 한다. 인슐린과는 반대로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1953년 분별침전에 의하여 결정화되었다. N말단 히스티딘에서 시작하여 C말단 트레오닌에서 끝나는 29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는 단일사슬펩티드이다. 분자 내에 S-S결합을 가지지 않는 점에서도 인슐린과는 전혀 다르다. 이 구조는 최근 화학합성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글루카곤 작용의 초기과정은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기와 특이하게 결합하여 아데닐산사이클라아제를 활성화하며, 고리 모양 AMP가 제2메신저가 되어 포스포릴라아제를 활성화하여 글리코겐의 분해를 촉진한다. 7. 글루타미나아제 동식물 ·세균 등에 널리 분포한다. 동물의 신장 및 간에서의 최적 pH는 8.0, 뇌피질 ·망막에서의 최적 pH는 8∼9로 성질이 다르다. 대장균에서 발견되는 효소의 pH는 4.7∼5.1이다. 글루탐산으로 저해되며, 인산염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생체 내에서는 말초조직으로부터 운반되어 온 글루타민에서 암모니아를 생성하고, 체내에 있는 예비 알칼리를 조절하거나(신장) 요소를 합성하는(간) 역할을 한다 8. 바소프레신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항이뇨 호르몬이라고도 한다. 항이뇨작용과 혈압 상승작용이 있다. 혈관(바소)과 수축(프레신)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고리 모양으로 폴리펩티드결합을 이룬다. 포유류에서 광범위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장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하는 물질로 작용한다.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는 작용이 있으므로 저혈압 치료에 이용된다. 구조는 8종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데, 시스틴 2개가 S-S결합을 하여 고리를 형성하며 옥시토신과 유사하다. 8번째의 아미노산이 아르기닌인 것은 사람을 비롯해서 소 ·말 ·양 ·낙타 ·개 ·고양이 ·토끼 ·쥐 등 많은 동물에서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아르기닌바소프레신이라 하고, 돼지나 하마는 그 자리에 아르기닌 대신 리신이 있는데, 이것을 리신바소프레신이라 한다. 이들 2개는 모두 화학적으로 합성된다. 9. 세크레틴 1902년 W.M.베일리스와 E.H.스탈링에 의해 추출되어 처음으로 호르몬이라고 불린 물질이며, 그 후 세크레틴과 같은 작용을 하는 물질을 호르몬이라고 하게 되었다. 분자량 약 5,000인 염기성 폴리펩티드이다. 위의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면 위액으로 인하여 십이지장 속은 산성이 되고, 그 자극으로 십이지장 점막으로부터 세크레틴이 분비된다. 세크레틴은 혈액 속으로 흡수되어 이자에 운반되면 이자액의 분비를 촉진한다. 이자액에 의하여 십이지장 속이 알칼리성으로 되면 위의 유문이 닫쳐 위 내용물이 한꺼번에 내려오지 않게 되고, 장내의 소화가 끝나면 다시 유문이 열려서 위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옮겨가게 되면 다시 세크레틴이 분비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십이지장에서의 소화기능이 조절되고 유지된다. 10. 우레아제 요소분해효소라고도 한다. 미생물(세균 ·효모 ·사상균) ·고등식물 ·하등동물 ·고등동물의 위점액과 적혈구에 널리 분포한다. 식물에서는 콩류에 많이 존재하며, 작두콩에는 건조중량의 0.1 % 정도 함유되어 있다. 1926년 J.B.섬너가 작두콩에서 추출한 최초의 결정효소이다. 무색의 팔면체 결정으로 분자량 48만 3000, 등전점 pH 5.0, 최적 pH 8.0이다. 활성기로서 -SH기를 가지며, 수은 ·은 ·구리 등의 중금속이온과 산화제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고, 황화수소 ·시안산염 ·글루타티온 등으로 회복된다. 세균은 이 효소에 의하여 질소원으로서 암모니아를 얻고 위점막에서는 염산을 중화하여 위세포를 보호한다. 이 효소가 식물에서는 요소의 축적을 방지하고, 아미노 화합물의 합성에 관여한다 11. 성장호르몬 대뇌 밑에 위치한 콩알만한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을 말한다. 단백질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체내에서 뼈, 연골 등의 성장뿐만 아니라 지방 분해와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기능으로는 청소년기 및 성장기에는 뼈의 길이 성장과 근육의 증가 등 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을 주로 한다. 25세 이상 성인이 된 후에는 수축성 근육 섬유보다는 결체조직(인대), 콜라겐(교원질) 등을 증가시키고 근력의 증가와 함께 지방 분해를 촉진시킨다. 또한 척추의 골밀도를 높여서 골다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골절의 위험을 줄여준다.필요한 경우로는 첫째 만성적인 전신 질환, 즉 선천성 심장병ㆍ만성폐질환ㆍ만성신장질환ㆍ만성소모성질환 등으로 인한 왜소증 치료에 사용된다. 두번째는 성장 호르몬 결핍증이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등의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인한 왜소증 치료에 사용된다. 세번째로는 선천적 염색체 질환인 터너증후군 치료에 사용된다. 그 밖에도 골 형성의 이상에 의한 왜소증이나 자궁 내 성장 발육 지연에 의한 선천성 왜소증 등에 사용된다. 성장호르몬은 55세까지도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데 운동이나 영양, 스트레스, 수면 등의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직접 투여하기보다는 운동을 생활화하거나 식생활의 조절, 충분한 수면을 통하여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위적으로 투여하는 다량의 성장호르몬은 당뇨병이나 근육병, 미세 혈관 장애, 조기 사망과도 관계가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12.소마토스타틴 성장호르몬 억제방출인자라고도 한다. 1973년 미국의 기르만이 양의 시상하부에서 추출했다. 성장호르몬뿐만 아니라 이자에서 분비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위의 가스트린, 소장의 세크레틴 등의 분비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이 명백해짐에 따라 이자 ·위 ·십이지장 ·공장 등에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여러 가지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성장호르몬의 분비과잉이 원인이 되는 거단증, 인슐린과 관계가 깊은 당뇨병 등의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77년 미국의 H.W.보이어 등이 화학적으로 합성한 소마토스타틴 유전자를, 유전자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대장균의 플라스미드에 짜 넣어 대장균의 체내에서 소마토스타틴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13.갑상선호르몬 몇 종의 호르몬 물질이 밝혀져 있으며, 그 중 중요한 것에는 요오드아미노산인 티록신과 3, 5, 3'-트리요오드티로닌이 있다. 이 물질들은 갑상선 내에서 티로글로불린이라고 하는 분자량 67만 정도의 거대한 단백질 분자로 존재하며, 혈액 중에 방출될 때 가수분해되어 생긴다. 생리작용으로는 세포 내의 이화작용을 촉진하고, 총대사량을 증가하여 체온을 높이며, 뇌의 흥분성을 강화한다. 또, 단백질 동화를 돕고 간에 있는 글리코겐의 분해를 촉진시키며, 지방질대사에도 관여한다 14. 트로빈 혈장 속에서는 프로트롬빈으로 존재하며 출혈시에 혈소판이 파괴되어 트롬보플라스틴이 혈장 중에 나오면 혈액의 칼슘이온의 존재하에 활성화되어 트롬빈이 된다. 혈액 응고의 본질인 혈액 속의 가용성 피브리노겐을 가수분해하여 불용성인 피브린으로 변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피브리노겐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매우 높고 피브리노겐의 4개의 펩티드 결합을 자르는데, 그 곳은 아르기닌과 글리신 잔기 사이이다. 최적 pH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부근이다. 주성분은 단백질로 최소분자량은 8,000이며 중합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다.
    >생리활성물질의 정의를 똑부러지게 내리기가 어렵네요.. >의미를 알긴 하겠는데 말로 표현을 못하겠거든요.. >정의와 함께 예시를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생리활성 물질이란 생물이 생을 영위함에 있어서 생체의 기능을 증진시키거나 혹은 억제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생체 내에서 기능 조절에 관여하는 물질의 결핍이나 과도한 분비에 의해 비정상적인 병태를 보일때 이를 바로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라 정의 할수 있습니다. 생리활성물질의 창출은 생체의 보다 나은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대단히 중요합니다. 새로운 생리활성의 물질의 창출은 동식물과 같은 천연물로부터 얻거나 미생물 및 동식물 세포주의 대사산물로부터 추출 정제 할수도 있고 화학합성에 의해서도 얻을수 있습니다. 생리활성 물질의 종류는 워낙 많기 때문에 일일이 들기는 힘들고.. 네이버에 나온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이소플라본 이소플라본은 식물체 속에 들어있는 파이토 케미컬이라는 식물성 화합물 중 특히 콩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으로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구조가 비슷하여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고 불려진다.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는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이외에도, 식물 섬유질에서 얻어지는 리그닌 주로 클로버나 알팔파에서 얻어지는 쿠메스탄등이 포함된다. 콩 이소플라본에는 주로 제니스테인 , 다이드제인, 글리시테인 등이 있다. 콩과 발효되지 않은 콩 식품에는 주로 β-glycoside인 배당체 형태가 많으며, 된장 등과 같은 발효 콩제품에는 발효에 의해 가수분해가 일어나 비배당체 형태의 함량이 높다. 또한 우리가 콩제품을 섭취하면 대장에 있는 β-glycosidase에 의해 당이 떨어져 나가 비배당체 형태로 바뀌며, 비배당체 형태가 배당체 형태보다 활성이 더 높다. 이소플라본은 1899년 처음으로 녹황색식물에서부터 제니스테인이 분리되었으며, 1931년 Walz는 콩에서 배당체 형태인 제니스틴, 다이드진을 분리하는데 성공하였다. 현재 미국 농무성에서는 여러 가지 식품의 이소플라본 함량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홈페이지에서 여러 가지 식품에 함유된 이소플라본 함량을 알 수 있다(http://ww w.nal.usda.gov/fnic) 2. 프로스타글란딘 장기나 체액 속에 널리 분포하면서 극히 미량으로 생리작용을 한다. PG라고 약칭한다. 1930년 미국의 산부인과 의사인 클츠록이 사람의 정액에 자궁을 수축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보고하였다. 후에 그 유효성분이 전립선에서 나온다고 생각하여 프로스타글란딘이라고 이름을 붙였다. 1950년대에 들어 스웨덴의 S.베리스트룀이 양의 정낭선에서 PG를 추출하고 결정화하는 데 성공하였으며, 현재는 화학적 합성도 한다. 생체 내에서는 지방산을 재료로 하여 효소의 작용으로 만들어진다. 종류는 A~H까지의 8족으로 분류되며 작용도 다양하다. E, F족에는 자궁을 수축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도 있고, 분만유발 ·인공임신중절에 실용화되고 있다. 그 밖에 종류에 따라 모세혈관 확장작용, 위액분비 억제작용, 기관지 근육의 수축 ·이완작용 등 다양한 생리적 작용이 있다. 3. 프로테아제 단백질분해효소라고도 한다. 동식물의 조직이나 세포, 미생물에 널리 존재한다. 대부분은 분자량 수만인 단순단백질인데, 당이나 금속이온을 수반하는 복합단백질인 경우도 있다. 분해양식에 의하여 엑소펩티다아제(exopeptidase)와 엔도펩티다아제(endopeptidase)로 크게 둘로 나눈다. 엑소펩티다아제는 펩티드사슬의 말단에만 작용하여 아미노산을 차례로 유리시킨다. 로이신아미노펩티다아제나 카르복시펩티다아제가 대표적이다. 엔도펩티다아제는 말단보다는 오히려 내부에 작용하여 여러 가지 크기의 펩티드를 유리시킨다. 펩신 ·트립신 ·키모트립신 등 수많은 예가 있다. 또, 촉매작용하는 필수아미노산 잔기(殘基)나 조건에 의하여 세린효소 ·티올효소 ·금속효소 ·산성효소의 4종으로 분류된다. 프로테아제는 생물에 의하여 불가결한 단백질의 재료인 아미노산을 다른 단백질 분해에 의하여 섭취할 때에 필요하며, 또 단백질 화학에 있어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배열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 4. 레시틴 난황 ·콩기름 ·간 ·뇌 등에 다량 존재한다. 어원은 그리스어의 난황에서 유래하였다. 알코올 ·에테르에 용해되며 물과는 에멀션을 만든다. 가수분해하여 콜린 ·인산 ·글리세롤 ·지방산을 생성한다. 지방산은 주로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올레산 ·리놀레산 등이다. 글리세롤의 2개의 히드록시기가 지방산 에스테르가 되어 있고, 다른 1개의 히드록시기가 인산 에스테르가 되어 있다. 콜린도 인산과 에스테르를 만든다. 레시티나아제(포스폴리파아제)라고 하는 가수분해효소의 작용으로 분해된다. 뱀독이나 세균독소에 함유되어 있는 이 효소에는 적혈구를 용혈시키고 세포를 파괴하는 작용이 있다. 그 때문에 레시틴은 세포막 구성의 중요한 성분의 하나이다 5. 아세틸콜린 화학식 CH3COOCH2CH2N(CH3)3OH. 동물에서는 신경조직에 존재하고, 식물에서는 맥각등에 들어 있다. 신경의 말단에서 분비되며, 신경의 자극을 근육에 전달하는 화학물질이다. 신경말단으로부터 분비되는 전달물질로는 운동신경과 부교감신경에서는 아세틸콜린이, 교감신경에서는 에피네프린이 알려져 있다. 아세틸콜린이 분비되면 혈압강하 ·심장박동 억제 ·장관 수축 ·골격근 수축 등의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신경말단에서 분비된 아세틸콜린은 자극의 전달이 끝나면 콜린에스테라아제에 의해 콜린과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콜린은 콜린아세티라아제의 작용에 의해 효소적으로 합성되어 다시 아세틸콜린이 된다. 6. 글루카곤 글리카곤 또는 항인슐린, 인슐린 B라고도 한다. 인슐린과는 반대로 혈당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1953년 분별침전에 의하여 결정화되었다. N말단 히스티딘에서 시작하여 C말단 트레오닌에서 끝나는 29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는 단일사슬펩티드이다. 분자 내에 S-S결합을 가지지 않는 점에서도 인슐린과는 전혀 다르다. 이 구조는 최근 화학합성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글루카곤 작용의 초기과정은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기와 특이하게 결합하여 아데닐산사이클라아제를 활성화하며, 고리 모양 AMP가 제2메신저가 되어 포스포릴라아제를 활성화하여 글리코겐의 분해를 촉진한다. 7. 글루타미나아제 동식물 ·세균 등에 널리 분포한다. 동물의 신장 및 간에서의 최적 pH는 8.0, 뇌피질 ·망막에서의 최적 pH는 8∼9로 성질이 다르다. 대장균에서 발견되는 효소의 pH는 4.7∼5.1이다. 글루탐산으로 저해되며, 인산염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생체 내에서는 말초조직으로부터 운반되어 온 글루타민에서 암모니아를 생성하고, 체내에 있는 예비 알칼리를 조절하거나(신장) 요소를 합성하는(간) 역할을 한다 8. 바소프레신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항이뇨 호르몬이라고도 한다. 항이뇨작용과 혈압 상승작용이 있다. 혈관(바소)과 수축(프레신)이라는 뜻에서 유래하였다. 고리 모양으로 폴리펩티드결합을 이룬다. 포유류에서 광범위하게 볼 수 있는 것으로 신장에서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하는 물질로 작용한다.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을 높이는 작용이 있으므로 저혈압 치료에 이용된다. 구조는 8종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데, 시스틴 2개가 S-S결합을 하여 고리를 형성하며 옥시토신과 유사하다. 8번째의 아미노산이 아르기닌인 것은 사람을 비롯해서 소 ·말 ·양 ·낙타 ·개 ·고양이 ·토끼 ·쥐 등 많은 동물에서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아르기닌바소프레신이라 하고, 돼지나 하마는 그 자리에 아르기닌 대신 리신이 있는데, 이것을 리신바소프레신이라 한다. 이들 2개는 모두 화학적으로 합성된다. 9. 세크레틴 1902년 W.M.베일리스와 E.H.스탈링에 의해 추출되어 처음으로 호르몬이라고 불린 물질이며, 그 후 세크레틴과 같은 작용을 하는 물질을 호르몬이라고 하게 되었다. 분자량 약 5,000인 염기성 폴리펩티드이다. 위의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들어가면 위액으로 인하여 십이지장 속은 산성이 되고, 그 자극으로 십이지장 점막으로부터 세크레틴이 분비된다. 세크레틴은 혈액 속으로 흡수되어 이자에 운반되면 이자액의 분비를 촉진한다. 이자액에 의하여 십이지장 속이 알칼리성으로 되면 위의 유문이 닫쳐 위 내용물이 한꺼번에 내려오지 않게 되고, 장내의 소화가 끝나면 다시 유문이 열려서 위 내용물이 십이지장으로 옮겨가게 되면 다시 세크레틴이 분비된다. 이와 같은 메커니즘으로 십이지장에서의 소화기능이 조절되고 유지된다. 10. 우레아제 요소분해효소라고도 한다. 미생물(세균 ·효모 ·사상균) ·고등식물 ·하등동물 ·고등동물의 위점액과 적혈구에 널리 분포한다. 식물에서는 콩류에 많이 존재하며, 작두콩에는 건조중량의 0.1 % 정도 함유되어 있다. 1926년 J.B.섬너가 작두콩에서 추출한 최초의 결정효소이다. 무색의 팔면체 결정으로 분자량 48만 3000, 등전점 pH 5.0, 최적 pH 8.0이다. 활성기로서 -SH기를 가지며, 수은 ·은 ·구리 등의 중금속이온과 산화제에 의해 효소활성이 저해되고, 황화수소 ·시안산염 ·글루타티온 등으로 회복된다. 세균은 이 효소에 의하여 질소원으로서 암모니아를 얻고 위점막에서는 염산을 중화하여 위세포를 보호한다. 이 효소가 식물에서는 요소의 축적을 방지하고, 아미노 화합물의 합성에 관여한다 11. 성장호르몬 대뇌 밑에 위치한 콩알만한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을 말한다. 단백질을 재료로 하여 만들어졌으며 체내에서 뼈, 연골 등의 성장뿐만 아니라 지방 분해와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기능으로는 청소년기 및 성장기에는 뼈의 길이 성장과 근육의 증가 등 성장을 촉진하는 작용을 주로 한다. 25세 이상 성인이 된 후에는 수축성 근육 섬유보다는 결체조직(인대), 콜라겐(교원질) 등을 증가시키고 근력의 증가와 함께 지방 분해를 촉진시킨다. 또한 척추의 골밀도를 높여서 골다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골절의 위험을 줄여준다.필요한 경우로는 첫째 만성적인 전신 질환, 즉 선천성 심장병ㆍ만성폐질환ㆍ만성신장질환ㆍ만성소모성질환 등으로 인한 왜소증 치료에 사용된다. 두번째는 성장 호르몬 결핍증이나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당뇨병 등의 호르몬 분비 이상으로 인한 왜소증 치료에 사용된다. 세번째로는 선천적 염색체 질환인 터너증후군 치료에 사용된다. 그 밖에도 골 형성의 이상에 의한 왜소증이나 자궁 내 성장 발육 지연에 의한 선천성 왜소증 등에 사용된다. 성장호르몬은 55세까지도 우리 몸에서 생성되는데 운동이나 영양, 스트레스, 수면 등의 환경적인 조건에 따라서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직접 투여하기보다는 운동을 생활화하거나 식생활의 조절, 충분한 수면을 통하여 우리 몸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인위적으로 투여하는 다량의 성장호르몬은 당뇨병이나 근육병, 미세 혈관 장애, 조기 사망과도 관계가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12.소마토스타틴 성장호르몬 억제방출인자라고도 한다. 1973년 미국의 기르만이 양의 시상하부에서 추출했다. 성장호르몬뿐만 아니라 이자에서 분비되는 인슐린과 글루카곤, 위의 가스트린, 소장의 세크레틴 등의 분비도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이 명백해짐에 따라 이자 ·위 ·십이지장 ·공장 등에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여러 가지 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성장호르몬의 분비과잉이 원인이 되는 거단증, 인슐린과 관계가 깊은 당뇨병 등의 치료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77년 미국의 H.W.보이어 등이 화학적으로 합성한 소마토스타틴 유전자를, 유전자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대장균의 플라스미드에 짜 넣어 대장균의 체내에서 소마토스타틴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13.갑상선호르몬 몇 종의 호르몬 물질이 밝혀져 있으며, 그 중 중요한 것에는 요오드아미노산인 티록신과 3, 5, 3'-트리요오드티로닌이 있다. 이 물질들은 갑상선 내에서 티로글로불린이라고 하는 분자량 67만 정도의 거대한 단백질 분자로 존재하며, 혈액 중에 방출될 때 가수분해되어 생긴다. 생리작용으로는 세포 내의 이화작용을 촉진하고, 총대사량을 증가하여 체온을 높이며, 뇌의 흥분성을 강화한다. 또, 단백질 동화를 돕고 간에 있는 글리코겐의 분해를 촉진시키며, 지방질대사에도 관여한다 14. 트로빈 혈장 속에서는 프로트롬빈으로 존재하며 출혈시에 혈소판이 파괴되어 트롬보플라스틴이 혈장 중에 나오면 혈액의 칼슘이온의 존재하에 활성화되어 트롬빈이 된다. 혈액 응고의 본질인 혈액 속의 가용성 피브리노겐을 가수분해하여 불용성인 피브린으로 변화시키는 반응을 촉매한다. 피브리노겐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매우 높고 피브리노겐의 4개의 펩티드 결합을 자르는데, 그 곳은 아르기닌과 글리신 잔기 사이이다. 최적 pH는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 부근이다. 주성분은 단백질로 최소분자량은 8,000이며 중합하기 쉬운 성질을 가진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한훈님의 답변

    >인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시키는 물질이죠. 호르몬 같은 경우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라디올은 남성과 여성 호르몬인데 2차 성징을 조절하는 호르몬이고 프로게스테론은 여성의 생식주기를 조절합니다.
    >인체의 생리작용을 활성화 시키는 물질이죠. 호르몬 같은 경우 테스토스테론과 에스트라디올은 남성과 여성 호르몬인데 2차 성징을 조절하는 호르몬이고 프로게스테론은 여성의 생식주기를 조절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호진님의 답변

    생체 내에서 생리 활성을 관여하는 예로 인슐린이나 성장 호르몬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런 물질들은 펩타이드로 이루어져 있지요. 여성 호르몬도 펩타이드로 되어 있습니다.. 생체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을 생리 활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펩티도미메틱을 이용한 단백질 구조 모방체 연구, 첨단기술보고서를 보시면 생리활성이 있는 물질을 과학자들이 어떻게 흉내내고 있는지 아실 수 있을 겁니다.
    생체 내에서 생리 활성을 관여하는 예로 인슐린이나 성장 호르몬을 들 수 있습니다. 이런 물질들은 펩타이드로 이루어져 있지요. 여성 호르몬도 펩타이드로 되어 있습니다.. 생체 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을 생리 활성이 있다고 말합니다. 펩티도미메틱을 이용한 단백질 구조 모방체 연구, 첨단기술보고서를 보시면 생리활성이 있는 물질을 과학자들이 어떻게 흉내내고 있는지 아실 수 있을 겁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윤철희님의 답변

    아실려고하는 의도가 단순호기심인지, 아님 과학적 근거를 찾으시는건지 잘 모르겠지만, 건강한 신체기능을 유지하고 활동하도록 도와주는 모든 물질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들은 대사능력이 뛰어나고 많은 생리활성물질들을 생산하는데 이들은 인간에게 득이 되기도 하고 해가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미생물에서 많이 연구되어오던것이 최근들어 그 폭이 넓어지면서 식물 (한약제 포함)이나 해양생물에서도 이러한 생리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들어 사용되는 생리활성물질 이라는 말은 천연물 (합성이나 화학물질이 아닌) 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몇 사이트에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견해 및 예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http://www.rrdi.go.kr/2000_work/Kor/Morgue/9931.htm http://www.dailian.co.kr/area/news/n_view.html?t_name=kw_news&listpage=c_list.html&kind=menu1_code&keys=1009&idx=1416&id=2250 http://www.soyzen.com/rd/rd05_01.html http://www.seowon.com/board/f_b_subjectSpace_detail.asp?boardId=222 >생리활성물질의 정의를 똑부러지게 내리기가 어렵네요.. >의미를 알긴 하겠는데 말로 표현을 못하겠거든요.. >정의와 함께 예시를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실려고하는 의도가 단순호기심인지, 아님 과학적 근거를 찾으시는건지 잘 모르겠지만, 건강한 신체기능을 유지하고 활동하도록 도와주는 모든 물질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미생물들은 대사능력이 뛰어나고 많은 생리활성물질들을 생산하는데 이들은 인간에게 득이 되기도 하고 해가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미생물에서 많이 연구되어오던것이 최근들어 그 폭이 넓어지면서 식물 (한약제 포함)이나 해양생물에서도 이러한 생리물질을 찾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들어 사용되는 생리활성물질 이라는 말은 천연물 (합성이나 화학물질이 아닌) 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몇 사이트에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에 대한 견해 및 예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http://www.rrdi.go.kr/2000_work/Kor/Morgue/9931.htm http://www.dailian.co.kr/area/news/n_view.html?t_name=kw_news&listpage=c_list.html&kind=menu1_code&keys=1009&idx=1416&id=2250 http://www.soyzen.com/rd/rd05_01.html http://www.seowon.com/board/f_b_subjectSpace_detail.asp?boardId=222 >생리활성물질의 정의를 똑부러지게 내리기가 어렵네요.. >의미를 알긴 하겠는데 말로 표현을 못하겠거든요.. >정의와 함께 예시를 보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