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urvival rate 측정시 spreading 말고 다른 방법 없을까요?

Liquid medium에서 Saturation될 때 까지 키운 Yeast에 몇 가지 약물을 처리한 후에 Survival Rate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흡광도를 사용하기에는 dead cell에 의한 데이터 오류가 너무 클것 같구요. agar plate에 spreading 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할 듯 싶지만 샘플 수가 꽤 많네요. 좋은 방법 없을까요?
  • yeast
  • survival assay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 >Liquid medium에서 Saturation될 때 까지 키운 Yeast에 몇 가지 약물을 처리한 후에 Survival Rate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 >흡광도를 사용하기에는 dead cell에 의한 데이터 오류가 너무 클것 같구요. > >agar plate에 spreading 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할 듯 싶지만 샘플 수가 꽤 많네요. > >좋은 방법 없을까요? > > 균체량의 측정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질문하신 분이 말씀하신 방법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한천 평판 배양법 (standard agar Plate count method)이라고 하는데 잘 아시는 것 같으니 이에 대해서는 설명안해도 될것 같네요. 다른 방법으로는 세균수를 직접 세는 방법이 있습니다. 직접현미경법(direct microscopic count method)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직접 현미경으로 세는 방법입니다. 직접 현미경을 통하여 식품중의 미생물 수를 세는 방법으로 Breed에 의해 개발되었고(Breed법), 주로 진균수를 측정할때 사용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세균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Impedance method(Bactometer)라고 해서 Impedance란 전도물질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대한 저항을 말한다. Impedance method는 이 원리를 기초로하여 배지에 접종된 미생물의 대사산 물들로 인한 전기적인 impedance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Conductance는 저항의 역치입니다. 이 원리를 이용한 기기로는 박토미터(Bactometer)가 있습니다. 표준평판배양법의 결과를 이 기기의 감지시 간(Detection time)과 관계시켜 두 방법간의 상관관계가 0.95 이상되게 보정 (calibration)하여 사용합니다. 다른 하나는 ATP method라고 해서 모든 생균에 존재하는 ATP를 추출하여 생물발광성(bioluminescence)에 ATP 가 소모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미생물 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전제 조건으로는 세 포내 ATP 함량이 모든 종류의 미생물에서 동일해야만 품질 평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것이 더 있었던 것 같은데.. 거의 사용을 안해봐서.. 샘플 수가 많더라도 제가 보기에는 정확한 viable cell counting을 하시려면 plating을 해서 colony를 계수하시는 것이 제일 좋을 듯 합니다. 전 하루 저녁에 500개까지 plating 해 본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은 일회용 plate 썼지만 제가 실험할 때에는 유리 plate를 사용해서 쓰고 닦고 말리고 했던 기억이 다시 나네요.. ㅜ.ㅜ
    > >Liquid medium에서 Saturation될 때 까지 키운 Yeast에 몇 가지 약물을 처리한 후에 Survival Rate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 >흡광도를 사용하기에는 dead cell에 의한 데이터 오류가 너무 클것 같구요. > >agar plate에 spreading 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할 듯 싶지만 샘플 수가 꽤 많네요. > >좋은 방법 없을까요? > > 균체량의 측정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질문하신 분이 말씀하신 방법이 가장 일반적입니다. 한천 평판 배양법 (standard agar Plate count method)이라고 하는데 잘 아시는 것 같으니 이에 대해서는 설명안해도 될것 같네요. 다른 방법으로는 세균수를 직접 세는 방법이 있습니다. 직접현미경법(direct microscopic count method)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직접 현미경으로 세는 방법입니다. 직접 현미경을 통하여 식품중의 미생물 수를 세는 방법으로 Breed에 의해 개발되었고(Breed법), 주로 진균수를 측정할때 사용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세균의 활성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에는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Impedance method(Bactometer)라고 해서 Impedance란 전도물질에 흐르는 교류전류에 대한 저항을 말한다. Impedance method는 이 원리를 기초로하여 배지에 접종된 미생물의 대사산 물들로 인한 전기적인 impedance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Conductance는 저항의 역치입니다. 이 원리를 이용한 기기로는 박토미터(Bactometer)가 있습니다. 표준평판배양법의 결과를 이 기기의 감지시 간(Detection time)과 관계시켜 두 방법간의 상관관계가 0.95 이상되게 보정 (calibration)하여 사용합니다. 다른 하나는 ATP method라고 해서 모든 생균에 존재하는 ATP를 추출하여 생물발광성(bioluminescence)에 ATP 가 소모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미생물 수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전제 조건으로는 세 포내 ATP 함량이 모든 종류의 미생물에서 동일해야만 품질 평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것이 더 있었던 것 같은데.. 거의 사용을 안해봐서.. 샘플 수가 많더라도 제가 보기에는 정확한 viable cell counting을 하시려면 plating을 해서 colony를 계수하시는 것이 제일 좋을 듯 합니다. 전 하루 저녁에 500개까지 plating 해 본 기억이 있습니다. 지금은 일회용 plate 썼지만 제가 실험할 때에는 유리 plate를 사용해서 쓰고 닦고 말리고 했던 기억이 다시 나네요.. ㅜ.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임종환님의 답변

    Yeast를 몇가지 약물을 처리한 liquid medium에서 키우면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되지 않을 까요??? 무처리 control과 비교하여 흡광도를 비교하면서..... 약물처리농도, Yeast 접종량등을 변화시키면서 시험하시면, 그럭저럭 여러개의 그래프 및 테이블은 건질 수 있을 듯 합니다.
    Yeast를 몇가지 약물을 처리한 liquid medium에서 키우면서 흡광도를 측정하면 되지 않을 까요??? 무처리 control과 비교하여 흡광도를 비교하면서..... 약물처리농도, Yeast 접종량등을 변화시키면서 시험하시면, 그럭저럭 여러개의 그래프 및 테이블은 건질 수 있을 듯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Agar plate에 spreading을 하는 방법도 쉽지만은 않습니다. Yeast strain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자기들 끼리 붙거나 뭉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험결과의 variation이 심할 수도 있습니다. Molecular Probes (Invitrogen)에서 몇가지의 Kit가 나온 것 같은데 한번 첨부파일을 참고해 보세요... > >Liquid medium에서 Saturation될 때 까지 키운 Yeast에 몇 가지 약물을 처리한 후에 Survival Rate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 >흡광도를 사용하기에는 dead cell에 의한 데이터 오류가 너무 클것 같구요. > >agar plate에 spreading 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할 듯 싶지만 샘플 수가 꽤 많네요. > >좋은 방법 없을까요? > >
    Agar plate에 spreading을 하는 방법도 쉽지만은 않습니다. Yeast strain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자기들 끼리 붙거나 뭉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험결과의 variation이 심할 수도 있습니다. Molecular Probes (Invitrogen)에서 몇가지의 Kit가 나온 것 같은데 한번 첨부파일을 참고해 보세요... > >Liquid medium에서 Saturation될 때 까지 키운 Yeast에 몇 가지 약물을 처리한 후에 Survival Rate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 >흡광도를 사용하기에는 dead cell에 의한 데이터 오류가 너무 클것 같구요. > >agar plate에 spreading 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할 듯 싶지만 샘플 수가 꽤 많네요. > >좋은 방법 없을까요?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박성철님의 답변

    > >Liquid medium에서 Saturation될 때 까지 키운 Yeast에 몇 가지 약물을 처리한 후에 Survival Rate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 >흡광도를 사용하기에는 dead cell에 의한 데이터 오류가 너무 클것 같구요. > >agar plate에 spreading 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할 듯 싶지만 샘플 수가 꽤 많네요. > >좋은 방법 없을까요? > > 주로 저희들은 yeast의 경우에는 위의 답변처럼 spreading방법, 흡광도 측정방법과 직접적으로 hemocytometer로 cell을 세는 방법을 써고 있읍니다. 흡광도 측정방법에도 MTT assay방법도 유용하게 씁니다. 밑의 논문 antifungal assay방법을 참조하세요
    > >Liquid medium에서 Saturation될 때 까지 키운 Yeast에 몇 가지 약물을 처리한 후에 Survival Rate를 측정하려고 합니다. > >흡광도를 사용하기에는 dead cell에 의한 데이터 오류가 너무 클것 같구요. > >agar plate에 spreading 하는 방법이 가장 정확할 듯 싶지만 샘플 수가 꽤 많네요. > >좋은 방법 없을까요? > > 주로 저희들은 yeast의 경우에는 위의 답변처럼 spreading방법, 흡광도 측정방법과 직접적으로 hemocytometer로 cell을 세는 방법을 써고 있읍니다. 흡광도 측정방법에도 MTT assay방법도 유용하게 씁니다. 밑의 논문 antifungal assay방법을 참조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