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OLED 소자 증착시 문제점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OLED 소자를 만들고 나서 여러 특성들을 실험시 예전에는 약 10V정도에서 가장 밝은 빛이 났었으나 요즘은 빛이 나지 않고 타버리거나 아예 아무 반응도 없습니다.. 그리고 기타 실패 사례가 있으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ole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기범님의 답변

    > >OLED 소자를 만들고 나서 여러 특성들을 실험시 예전에는 약 10V정도에서 가장 밝은 빛이 났었으나 요즘은 빛이 나지 않고 타버리거나 아예 아무 반응도 없습니다.. > >그리고 기타 실패 사례가 있으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 유기재료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빛이 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비발광) I-V 특성은 문제가 있기전과 차이가 없나요? 아마 그렇지 않을꺼라 생각됩니다. 가장 큰 문제의 가능성으로 2가지가 예상됩니다. 첫번째. 발광/수송재료의 특성변화가 의심됩니다. 소스안에 들어 있는 재료를 회수하셔서 PL과 흡수를 찍어보시기 바랍니다. 두번째.유기막 두께가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Quartz Thickness monitor를 사용하여 증착중의 depo. rate를 관찰하면서 실험하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그 monitor의 parameter (z-ratio, dessity등)이 혹시 바뀌지 않았는지요. 장시간 사용에 따른 센서의 교환주기가 넘은 것은 아니신지요. 또 혹시 챔버내에서 센서의 위치가 틀어질 가능성은 없으신지요. 이러한 가능성들을 확인하신 위에 실리콘위이퍼나 베어글라스 위에다가 성막하셔서 막두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OLED 소자를 만들고 나서 여러 특성들을 실험시 예전에는 약 10V정도에서 가장 밝은 빛이 났었으나 요즘은 빛이 나지 않고 타버리거나 아예 아무 반응도 없습니다.. > >그리고 기타 실패 사례가 있으면 알려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고수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 유기재료의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빛이 나지 않는다고 하셨는데 (비발광) I-V 특성은 문제가 있기전과 차이가 없나요? 아마 그렇지 않을꺼라 생각됩니다. 가장 큰 문제의 가능성으로 2가지가 예상됩니다. 첫번째. 발광/수송재료의 특성변화가 의심됩니다. 소스안에 들어 있는 재료를 회수하셔서 PL과 흡수를 찍어보시기 바랍니다. 두번째.유기막 두께가 달라졌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Quartz Thickness monitor를 사용하여 증착중의 depo. rate를 관찰하면서 실험하고 계시리라 생각됩니다. 그 monitor의 parameter (z-ratio, dessity등)이 혹시 바뀌지 않았는지요. 장시간 사용에 따른 센서의 교환주기가 넘은 것은 아니신지요. 또 혹시 챔버내에서 센서의 위치가 틀어질 가능성은 없으신지요. 이러한 가능성들을 확인하신 위에 실리콘위이퍼나 베어글라스 위에다가 성막하셔서 막두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