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발생학에서의 용어질문입니다~ Gli gene과 protein의 역할이 뭔가요?

척추동물의 사지 발생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많은 자료를 얻지 못해서 헤매고 있습니다. 많은 용어를 잘 모르겠는데.. 아시는 분은 한가지라도 답해주시면 감사합니다~ *Gli2/ Gli3/ Gli1(Gli proteins & gene): *Shh-soaked beads: *zinc finger-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family ci/ Gli *Gli1-CreERT2 mice *Cre recombinase(CreERT2)/CreERT/Cre *Tamoxifen(TM) *R26R mice *Gli1-lac Z *Gli 3 repressor(Gli 3R) *Handplate *N-Shh *Gli1-negative cell
  • limb
  • sonic hedgehog
  • Gli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인영님의 답변

    *Gli2/ Gli3/ Gli1(Gli proteins & gene): Drosophila의 Ci는 하나의 gene이지만 vertebrate에서는 Gli1, Gli2, Gli3로 최소한 3개의 ortholog를 가지고 있습니다. Shh signal -> receptor Patched에 binding -> Smoothened를 release -> Gli activation -> Target gene induction..이런 식으로 가는 Shh signaling pathway의 구성원입니다. 각각의 Gli gene들은 tissue specific하면서 복잡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Gli1은 모든 basal cell carcinoma에서 overexpression되고 있습니다. GLI2는 사람에서 holoprosencephaly에서 mutation되었다고 보고되었고, GLI3는 Greig cephalopolysyndactyly, Pallister-Hall sysndrome에서 mutation이 발견되었네요.. Gli1은 hedgehog target gene들의 activator로 Gli2와 Gli3는 activator와 repressor form 모두를 가지지만 Gli1은 proteolytic cleavage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Shh가 Gli1과 Gli2를 induction시키고, Gli2는 Gli1을, Fgf2는 Gli2와 Gli3를 induction시킨다고 알려졌네요..밑에 Ci 설명에서 보충하겠습니다. 참고로 paper (Am J Med Genet. 2004 Feb;124A(4):439-40)를 보시면 Gli 뿐만 아니라hedgehog signaling 전체에 대해서 공부하실 수 있을 겁니다. *Shh-soaked beads: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implantation 시 ligand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bead에 붙여서 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zinc finger-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family ci/ Gli Drosophila의 segment polarity gene인 Cubitus interruptus (ci)으로, vertebrate에서의 ortholog는 Gli로서 5개의 zinc finger를 가지고 있습니다. Amino-terminal부터 Suppression of Fused-binding domain, Zinc Finger DNA-binding domain, Nuclear Localization Signal, cleavage site, Nuclear Export Signal, Protein Kinase A phosphorylation site, Costal 2-binding domain, CREB-binding protein 등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hh ligand가 없을 때에 truncated form이 transcriptional repressor로 작용하고, ligand가 있을 때에는 full length로서 transcriptional activator로 작용합니다. Target gene들로는 Wingless (Wnt), Decapentaplegic (BMP), Patched 등이 있고요. *Gli1-CreERT2 mice : Gli1 promoter에 inducible Cre recombinase를 단 것으로 생각되네요..Gli1이 발현되는 곳에 Cre recombinase가 발현되고, 또 그 발현되는 조직들에서 어떤 유전자를 conditional knockout시킬려고 만든 transgenic mice로 사료됩니다만.. *Cre recombinase(CreERT2)/CreERT/Cre: Cre recombinase는 두 개의 loxP site 사이를 recombination시켜 deletion 등을 시키는 효소입니다. 주로 conditional knockout mice를 만들 때 Cre transgenic mice를 만들어 KO를 원하는 mice와 mating시키죠.. CreERT2는 Cre recombinase를 tamoxifen에 의해 inducible하게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Tamoxifen(TM) : estrogen activity를 inhibition하는 것으로 유방암 치료제로 쓰인다네요…자세한 것은 여길 참조하세요.. http://cis.nci.nih.gov/fact/7_16.htm *R26R mice: ROSA26 locus에 conditional LacZ reporter cassette가 targeting된 mice입니다. Cre가 expression되면 loxP site의 recombination되고, LacZ가 발현이 되어서, 결국 LacZ staining으로 확인이 됩니다. Paper를 참고하세요..Nature Genetics 21, 70 - 71 (1999) *Gli1-lac Z : Gli1 promoter에 reporter로 lacZ를 붙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Gli1이 어느 조직 어느 부분에서 발현되는 지를 beta-gal staining으로 분석하여 알 수 있을 것입니다. *Gli 3 repressor(Gli 3R) : Gli3는 proteolytic cleavage에 의해 두 개로 쪼개지는 데 short form이 repressor로 작용합니다. 이 것을 Gli3R이라고 하고, vertebrate limb development에서 Shh signaling이 없는 곳에서 많이 생성된다고 합니다. *Handplate : 용어 상으로는 손바닥이라고 생각되는 군요..mouse 발생 과정에서 forelimb 부분이고 나중에 손가락이 생기는 부분입니다. *N-Shh : Shh의 N-terminal signaling domain 부분. C-terminal catalytic domain에 의해 autocleavage가 일어남. N-terminal의 carboxyl-terminal에 cholesterol moiety가 붙고, amino-terminal에는 palmitoylation이 일어난 다음 multimer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Gli1-negative cell : Gli1이 발현되지 않는 cell이겠죠..하하.. 질문이 너무 많아서 답변하는 것도 힘드네요..헥헥..^^ 도움이 되셨기를…
    *Gli2/ Gli3/ Gli1(Gli proteins & gene): Drosophila의 Ci는 하나의 gene이지만 vertebrate에서는 Gli1, Gli2, Gli3로 최소한 3개의 ortholog를 가지고 있습니다. Shh signal -> receptor Patched에 binding -> Smoothened를 release -> Gli activation -> Target gene induction..이런 식으로 가는 Shh signaling pathway의 구성원입니다. 각각의 Gli gene들은 tissue specific하면서 복잡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Gli1은 모든 basal cell carcinoma에서 overexpression되고 있습니다. GLI2는 사람에서 holoprosencephaly에서 mutation되었다고 보고되었고, GLI3는 Greig cephalopolysyndactyly, Pallister-Hall sysndrome에서 mutation이 발견되었네요.. Gli1은 hedgehog target gene들의 activator로 Gli2와 Gli3는 activator와 repressor form 모두를 가지지만 Gli1은 proteolytic cleavage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Shh가 Gli1과 Gli2를 induction시키고, Gli2는 Gli1을, Fgf2는 Gli2와 Gli3를 induction시킨다고 알려졌네요..밑에 Ci 설명에서 보충하겠습니다. 참고로 paper (Am J Med Genet. 2004 Feb;124A(4):439-40)를 보시면 Gli 뿐만 아니라hedgehog signaling 전체에 대해서 공부하실 수 있을 겁니다. *Shh-soaked beads: 자세히는 모르겠지만 implantation 시 ligand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 bead에 붙여서 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zinc finger-containing transcription factor family ci/ Gli Drosophila의 segment polarity gene인 Cubitus interruptus (ci)으로, vertebrate에서의 ortholog는 Gli로서 5개의 zinc finger를 가지고 있습니다. Amino-terminal부터 Suppression of Fused-binding domain, Zinc Finger DNA-binding domain, Nuclear Localization Signal, cleavage site, Nuclear Export Signal, Protein Kinase A phosphorylation site, Costal 2-binding domain, CREB-binding protein 등의 순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hh ligand가 없을 때에 truncated form이 transcriptional repressor로 작용하고, ligand가 있을 때에는 full length로서 transcriptional activator로 작용합니다. Target gene들로는 Wingless (Wnt), Decapentaplegic (BMP), Patched 등이 있고요. *Gli1-CreERT2 mice : Gli1 promoter에 inducible Cre recombinase를 단 것으로 생각되네요..Gli1이 발현되는 곳에 Cre recombinase가 발현되고, 또 그 발현되는 조직들에서 어떤 유전자를 conditional knockout시킬려고 만든 transgenic mice로 사료됩니다만.. *Cre recombinase(CreERT2)/CreERT/Cre: Cre recombinase는 두 개의 loxP site 사이를 recombination시켜 deletion 등을 시키는 효소입니다. 주로 conditional knockout mice를 만들 때 Cre transgenic mice를 만들어 KO를 원하는 mice와 mating시키죠.. CreERT2는 Cre recombinase를 tamoxifen에 의해 inducible하게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Tamoxifen(TM) : estrogen activity를 inhibition하는 것으로 유방암 치료제로 쓰인다네요…자세한 것은 여길 참조하세요.. http://cis.nci.nih.gov/fact/7_16.htm *R26R mice: ROSA26 locus에 conditional LacZ reporter cassette가 targeting된 mice입니다. Cre가 expression되면 loxP site의 recombination되고, LacZ가 발현이 되어서, 결국 LacZ staining으로 확인이 됩니다. Paper를 참고하세요..Nature Genetics 21, 70 - 71 (1999) *Gli1-lac Z : Gli1 promoter에 reporter로 lacZ를 붙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Gli1이 어느 조직 어느 부분에서 발현되는 지를 beta-gal staining으로 분석하여 알 수 있을 것입니다. *Gli 3 repressor(Gli 3R) : Gli3는 proteolytic cleavage에 의해 두 개로 쪼개지는 데 short form이 repressor로 작용합니다. 이 것을 Gli3R이라고 하고, vertebrate limb development에서 Shh signaling이 없는 곳에서 많이 생성된다고 합니다. *Handplate : 용어 상으로는 손바닥이라고 생각되는 군요..mouse 발생 과정에서 forelimb 부분이고 나중에 손가락이 생기는 부분입니다. *N-Shh : Shh의 N-terminal signaling domain 부분. C-terminal catalytic domain에 의해 autocleavage가 일어남. N-terminal의 carboxyl-terminal에 cholesterol moiety가 붙고, amino-terminal에는 palmitoylation이 일어난 다음 multimer로 작용한다고 합니다.. *Gli1-negative cell : Gli1이 발현되지 않는 cell이겠죠..하하.. 질문이 너무 많아서 답변하는 것도 힘드네요..헥헥..^^ 도움이 되셨기를…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