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iRNA 와 dominant negative mutant

지금 분자생물학 책보고공부학는 학부생입니다.. 그런데,,,,공부하다보니...자세한 설명없이 원론적으로 적혀있어서.. 이런것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이론과....실제적 사용예좀 가르쳐 주세요.. 둘다...loss of function에 사용된다는것은 아는데요.. 부탁드립니다.
  • siRNA
  • RNAi
  • donimant negativ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인영님의 답변

    >지금 분자생물학 책보고공부학는 학부생입니다.. > >그런데,,,,공부하다보니...자세한 설명없이 원론적으로 적혀있어서.. > >이런것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 >이론과....실제적 사용예좀 가르쳐 주세요.. > >둘다...loss of function에 사용된다는것은 아는데요.. > >부탁드립니다. 먼저 RNAi를 설명하자면 C. elegance와 Drosophila에서 처음 발견, 발전되었고요..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킬 유전자의 cDNA 일부분(길이는 길어도 상관없음)을 inverted repeat으로 RNA duplex를 형성하도록 expression vector를 만듭니다...이를 microinjection하여 transgenic을 만들면 원하는 유전자의 protein이 안만들어져서 그 유전자의 function을 phenotype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anscribed된 RNA는 double stranded RNA를 형성하고 dicer에 의해 잘게 쪼개져서 원래 mRNA에 hybridization, antisense로 작용한다음 RNA-dependent RNA polymerase에 의해 extension되고 다시 dicer에 의해 잘리는..PCR 같이 amplification되어 결구 원래 mRNA는 거의 잘려 없어지게 되고, 그 유전자의 translation은 block되지요. Mammalian에서는 double stranded RNA가 존재하면 interferon pathway가 induction되기에 그 영향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RNA duplex를 길게 사용하지않고, Dicer에 의해 잘려진 product, 약 21 - 27mer의 siRNA를 바로 사용합니다. oligonucleotide로 합성하여 사용하지요. 주로 cell culture에 transfection하여 사용하고, 지속적인 knockdown을 위해서는 transciption termination의 requirement가 적은 RNA polymerase III의 promoter들을 사용한 expression vector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짧게 사용하기 때문에 RNAi보다 효율이 떨어지므로 처음 siRNA를 잘 design하셔야 합니다. Design하는 program은 siRNA를 합성하여 주는 회사의 web site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Dorminant negative mutation은 2 allele 중 한 allele의 mutation이 나머지 allele의 function을 방해할 때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transcription factor를 예를 들면 DNA binding domain은 intact하지만 다른 TF와 interaction하는 부분이 mutation됐을 때를 생각해봅시다. 똑같은 양이 발현되고, 똑같이 target 유전자의 binding element에 binding되더라도 target gene에 미치는 영향은...발현이 1/4로 줄어들겠죠..(발현양 1/2 X 방해 1/2) 만약 mutant form을 더 발현시킨다면 그 효과는 아예 두 allele이 모두 mutation된 것과 비슷하게 됩니다..더군다나 이 transcription factor가 homo-multimer로 작용한다면 그 효과는 더하겠지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꾸~욱..
    >지금 분자생물학 책보고공부학는 학부생입니다.. > >그런데,,,,공부하다보니...자세한 설명없이 원론적으로 적혀있어서.. > >이런것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 >이론과....실제적 사용예좀 가르쳐 주세요.. > >둘다...loss of function에 사용된다는것은 아는데요.. > >부탁드립니다. 먼저 RNAi를 설명하자면 C. elegance와 Drosophila에서 처음 발견, 발전되었고요..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킬 유전자의 cDNA 일부분(길이는 길어도 상관없음)을 inverted repeat으로 RNA duplex를 형성하도록 expression vector를 만듭니다...이를 microinjection하여 transgenic을 만들면 원하는 유전자의 protein이 안만들어져서 그 유전자의 function을 phenotype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Transcribed된 RNA는 double stranded RNA를 형성하고 dicer에 의해 잘게 쪼개져서 원래 mRNA에 hybridization, antisense로 작용한다음 RNA-dependent RNA polymerase에 의해 extension되고 다시 dicer에 의해 잘리는..PCR 같이 amplification되어 결구 원래 mRNA는 거의 잘려 없어지게 되고, 그 유전자의 translation은 block되지요. Mammalian에서는 double stranded RNA가 존재하면 interferon pathway가 induction되기에 그 영향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RNA duplex를 길게 사용하지않고, Dicer에 의해 잘려진 product, 약 21 - 27mer의 siRNA를 바로 사용합니다. oligonucleotide로 합성하여 사용하지요. 주로 cell culture에 transfection하여 사용하고, 지속적인 knockdown을 위해서는 transciption termination의 requirement가 적은 RNA polymerase III의 promoter들을 사용한 expression vector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짧게 사용하기 때문에 RNAi보다 효율이 떨어지므로 처음 siRNA를 잘 design하셔야 합니다. Design하는 program은 siRNA를 합성하여 주는 회사의 web site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Dorminant negative mutation은 2 allele 중 한 allele의 mutation이 나머지 allele의 function을 방해할 때 일어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transcription factor를 예를 들면 DNA binding domain은 intact하지만 다른 TF와 interaction하는 부분이 mutation됐을 때를 생각해봅시다. 똑같은 양이 발현되고, 똑같이 target 유전자의 binding element에 binding되더라도 target gene에 미치는 영향은...발현이 1/4로 줄어들겠죠..(발현양 1/2 X 방해 1/2) 만약 mutant form을 더 발현시킨다면 그 효과는 아예 두 allele이 모두 mutation된 것과 비슷하게 됩니다..더군다나 이 transcription factor가 homo-multimer로 작용한다면 그 효과는 더하겠지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꾸~욱..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