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Vacancy cluster 분해 or 분리 ?

CaF2 구조를 이루는 metal oxide 물질에서, cation vacancy와 anion vacancy들이 cluster를 이루다가, single vacancy 하나가 cluster에서 떨어져 분리된다면, decomposition과 dissociation 중에서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가요? 영어 사전에서는 분해와 분리로 다르게 표현되긴 하는데, 이 경우에는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지 잘 몰라서요. 부탁드립니다.
  • vacancy cluster
  • decomposition
  • dissoci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지세환님의 답변

    이때 다음과 같이 씁니다. (어쩌구 저쩌구) ...... decomposition into simpler and more mobile defects. 지세환 >CaF2 구조를 이루는 metal oxide 물질에서, cation vacancy와 anion vacancy들이 cluster를 이루다가, single vacancy 하나가 cluster에서 떨어져 분리된다면, decomposition과 dissociation 중에서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가요? > >영어 사전에서는 분해와 분리로 다르게 표현되긴 하는데, 이 경우에는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지 잘 몰라서요. > >부탁드립니다.
    이때 다음과 같이 씁니다. (어쩌구 저쩌구) ...... decomposition into simpler and more mobile defects. 지세환 >CaF2 구조를 이루는 metal oxide 물질에서, cation vacancy와 anion vacancy들이 cluster를 이루다가, single vacancy 하나가 cluster에서 떨어져 분리된다면, decomposition과 dissociation 중에서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가요? > >영어 사전에서는 분해와 분리로 다르게 표현되긴 하는데, 이 경우에는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지 잘 몰라서요. >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문진성님의 답변

    > >CaF2 구조를 이루는 metal oxide 물질에서, cation vacancy와 anion vacancy들이 cluster를 이루다가, single vacancy 하나가 cluster에서 떨어져 분리된다면, decomposition과 dissociation 중에서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가요? > >영어 사전에서는 분해와 분리로 다르게 표현되긴 하는데, 이 경우에는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지 잘 몰라서요. > >부탁드립니다. 백과사전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설명되는데요 참고하세요. 분해(decomposition) 1개의 화합물이 성분을 나타내는 홑원소물질이나 가장 간단한 화합물로 나뉘는 것. 화합·합성과는 반대되는 과정, 즉 AB → A+B와 같은 경우이다. 보통 분해에는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그 에너지원에 따라서 열분해·광분해·전기분해·방사선분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염화은 AgCl은 은(Ag)과 염소(Cl)로 광분해된다. 화학반응을 동반하는 것으로는 산화분해·환원분해·가수분해·가암모니아분해(ammonolysis)가 있고, 그 밖에 용매와의 결합생성에 의해 성분이온으로 나뉘는 가용매분해(solvolysis)가 있다. 생체내에서도 산소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 분해반응이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는 이들 반응을 <분해>라고 생각하지 않고 소화·발효·부패 등의 생화학반응(대사)의 하나로 보고 있다. 그러나 생화학 반응의 본체는 앞에서 말한 산화·환원·가수분해반응의 복잡한 조합으로 되어 있다. 공해처리 등에 이용되는 혐기성 분해가 결국 메탄가스 생성발효라는 것으로도 분해를 잘 이해할 수 있다. 토탄의 생성도 환원분해반응의 결과이다. 해리(dissociation) 분자 또는 결정의 분해방식 가운데 하나. 분자가 보다 작거나 또는 보다 간단한 분자나 원자단·이온·원자로 분해하는 경우, 또는 결정이 기체분자를 방출하거나 용액이 되어 이온으로 분해하는 것을 해리라 한다. 본래의 분자나 결정과 분해생성물 사이에 평형관계가 성립하거나 가역적인 경우를 말한다. 특히 이온으로 해리할 때는 이온화라 하고, 열에 의한 경우는 열해리라고 한다. 요오드화수소(HI)를 일정한 농도로 유지하면 다음과 같은 해리평형이 성립한다. 2HI H+I 이때 요오드화수소 몰이 반응해 몰이 해리했다고 하면, 이때의 평형상수 는, =/4- 이다. 이것을 해리상수라 하고, /를 해리도라고 한다. 탄산칼슘의 열해리는 다음과 같다. CaCO CaO+CO 이때 탄산칼슘과 산화칼슘은 고체상태이지만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기체상태이고, 기체의 압력은 반응 온도에 의해 일정한 값을 취한다. 이 압력을 해리압력이라 한다. 이때의 해리압력은 897℃에서 1atm이 된다. 염화나트륨을 물에 녹이면 Na과 Cl로 이온화한다. 그러나 결정 자체도 Na과 Cl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태가 변했을 뿐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런 강한 전해질(電解質)인 경우는 전기분해(전해)가 완전하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이나 암모니아 같은 약한 전해질은 전기분해가 완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해평형이 성립한다. 이때의 전해상수를 산해리상수·염기해리상수라고 한다.
    > >CaF2 구조를 이루는 metal oxide 물질에서, cation vacancy와 anion vacancy들이 cluster를 이루다가, single vacancy 하나가 cluster에서 떨어져 분리된다면, decomposition과 dissociation 중에서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가요? > >영어 사전에서는 분해와 분리로 다르게 표현되긴 하는데, 이 경우에는 어떤 표현이 더 정확한 것인지 잘 몰라서요. > >부탁드립니다. 백과사전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설명되는데요 참고하세요. 분해(decomposition) 1개의 화합물이 성분을 나타내는 홑원소물질이나 가장 간단한 화합물로 나뉘는 것. 화합·합성과는 반대되는 과정, 즉 AB → A+B와 같은 경우이다. 보통 분해에는 외부로부터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하는데, 그 에너지원에 따라서 열분해·광분해·전기분해·방사선분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염화은 AgCl은 은(Ag)과 염소(Cl)로 광분해된다. 화학반응을 동반하는 것으로는 산화분해·환원분해·가수분해·가암모니아분해(ammonolysis)가 있고, 그 밖에 용매와의 결합생성에 의해 성분이온으로 나뉘는 가용매분해(solvolysis)가 있다. 생체내에서도 산소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 분해반응이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는 이들 반응을 <분해>라고 생각하지 않고 소화·발효·부패 등의 생화학반응(대사)의 하나로 보고 있다. 그러나 생화학 반응의 본체는 앞에서 말한 산화·환원·가수분해반응의 복잡한 조합으로 되어 있다. 공해처리 등에 이용되는 혐기성 분해가 결국 메탄가스 생성발효라는 것으로도 분해를 잘 이해할 수 있다. 토탄의 생성도 환원분해반응의 결과이다. 해리(dissociation) 분자 또는 결정의 분해방식 가운데 하나. 분자가 보다 작거나 또는 보다 간단한 분자나 원자단·이온·원자로 분해하는 경우, 또는 결정이 기체분자를 방출하거나 용액이 되어 이온으로 분해하는 것을 해리라 한다. 본래의 분자나 결정과 분해생성물 사이에 평형관계가 성립하거나 가역적인 경우를 말한다. 특히 이온으로 해리할 때는 이온화라 하고, 열에 의한 경우는 열해리라고 한다. 요오드화수소(HI)를 일정한 농도로 유지하면 다음과 같은 해리평형이 성립한다. 2HI H+I 이때 요오드화수소 몰이 반응해 몰이 해리했다고 하면, 이때의 평형상수 는, =/4- 이다. 이것을 해리상수라 하고, /를 해리도라고 한다. 탄산칼슘의 열해리는 다음과 같다. CaCO CaO+CO 이때 탄산칼슘과 산화칼슘은 고체상태이지만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기체상태이고, 기체의 압력은 반응 온도에 의해 일정한 값을 취한다. 이 압력을 해리압력이라 한다. 이때의 해리압력은 897℃에서 1atm이 된다. 염화나트륨을 물에 녹이면 Na과 Cl로 이온화한다. 그러나 결정 자체도 Na과 Cl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태가 변했을 뿐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런 강한 전해질(電解質)인 경우는 전기분해(전해)가 완전하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이나 암모니아 같은 약한 전해질은 전기분해가 완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해평형이 성립한다. 이때의 전해상수를 산해리상수·염기해리상수라고 한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