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12
org.kosen.entty.User@61dab5ae
황화연(requin)
- 1
In the laboratory woodlice were cultured individually
in a climate chamber at an average temperature
of 16 C, each in a polystyrene pot of 5 cm
diameter with a perforated lid and a bottom of
moistened plaster of Paris.
=====================================================
논문명
Bioavailability of contaminants estimated from
uptake rates into soil invertebrates
N.M. van Straalen*, M.H. Donker, M.G. Vijver, C.A.M. van Gestel
Vrije Universiteit, Institute of Ecological Science, Department of Animal Ecology, De Boelelaan 1085,
1081 HV Amsterdam, The Netherlands
Received 7 September 2004; accepted 28 January 2005
토양무척추동물 주제로 논문을 보고 있습니다.(공벌레 등)
벌레들을 키우는 상자 바닥에 왜 소석고를 까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찾아보니 많이들 깔더라구요)
배설물 확인을 위한 것인지, 소석고만의 좋은 특징이 있는지...
아시는 분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sopod
- plaster of pari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인영님의 답변
2005-10-14- 0
>In the laboratory woodlice were cultured individually >in a climate chamber at an average temperature >of 16 C, each in a polystyrene pot of 5 cm >diameter with a perforated lid and a bottom of >moistened plaster of Paris. >===================================================== >논문명 >Bioavailability of contaminants estimated from >uptake rates into soil invertebrates > >N.M. van Straalen*, M.H. Donker, M.G. Vijver, C.A.M. van Gestel >Vrije Universiteit, Institute of Ecological Science, Department of Animal Ecology, De Boelelaan 1085, >1081 HV Amsterdam, The Netherlands >Received 7 September 2004; accepted 28 January 2005 > >토양무척추동물 주제로 논문을 보고 있습니다.(공벌레 등) >벌레들을 키우는 상자 바닥에 왜 소석고를 까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찾아보니 많이들 깔더라구요) >배설물 확인을 위한 것인지, 소석고만의 좋은 특징이 있는지... >아시는 분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옛날에 초파리 키우던 때가 생각나는 군요. 초파리에게 어떤 drug을 먹일 때 물론 media에 섞을 수도 있겠지만.. 두꺼운 종이 filter에 적셔서 줬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액화된 media에 빠져죽는 게 많아서 정확한 data를 얻기가 힘들더군요.. 마찬가지로..석고의 특성 상 물을 많이 함유할 수 있어서 먹이를 주기가 편할 것입니다. 토양생물의 경우도 moistured environment가 필요하므로 석고를 이용하여 습한 환경도 만들어주고 먹이도 줄 수 있겠지요..물만을 따로 주면 역시 빠져 죽을 염려도 있고.. 더군다나 님의 논문은 zinc accumulation을 보기 때문에 농도에 따라 solution으로 준비에서 석고에 적셔주면 되겠군요.. 그냥 경험 상 추론하였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