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에 접착테이프 부착시 미세기포 제거법은?

투명하고 평탄도가 좋은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에 투명접착테이프를 붙일 때 판과 테이프사이에 미세 기포의 영향에 대한 질문입니다. 테이프 접착시에 눈에 보이는 수준의 기포는 trap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눈에 보이지 않는 크기의 기포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확인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1. 접착시 눈에 보이지 않는 기포는 어느정도 크기까지이며 기포가 존재시에 기포간에 뭉쳐서 큰 기포가 될 수 있는지? 2. 미세기포가 생긴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생기는지? 3. 미세기포를 없애는 방법은 없는지? (접착방법 or 테이프 재료측면) 전문가분들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 접착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 > 투명하고 평탄도가 좋은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에 투명접착테이프를 > 붙일 때 판과 테이프사이에 미세 기포의 영향에 대한 질문입니다. > > 테이프 접착시에 눈에 보이는 수준의 기포는 trap되지 않도록 하고 > 있으나 눈에 보이지 않는 크기의 기포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확인해야 > 하는 상황입니다. > > 1. 접착시 눈에 보이지 않는 기포는 어느정도 크기까지이며 눈에 보이지 않는 수준은 30~40미크론 정도가 아닐까싶네요. > 기포가 존재시에 기포간에 뭉쳐서 큰 기포가 될 수 있는지? 기포가 존재하면 점점 커지는 것은 당연하겟지요 > 2. 미세기포가 생긴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생기는지? 가장 큰 원인은 설비의 정도와 라미네이팅 방법이라고 하겟지요.... > > 3. 미세기포를 없애는 방법은 없는지? (접착방법 or 테이프 재료측면) 설비 측면이 강하므로 검사를 강화해야 하지 않을까요? 보통 표면검사를 통해 10~20미크론까지도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표면검사에 사용하는 조명이 핵심포인트이요. 표면검사를 하고 마킹을 하고 라미네이팅 후에 절단하는 방벙이외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거 같군요. > > > 전문가분들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 > 투명하고 평탄도가 좋은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에 투명접착테이프를 > 붙일 때 판과 테이프사이에 미세 기포의 영향에 대한 질문입니다. > > 테이프 접착시에 눈에 보이는 수준의 기포는 trap되지 않도록 하고 > 있으나 눈에 보이지 않는 크기의 기포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확인해야 > 하는 상황입니다. > > 1. 접착시 눈에 보이지 않는 기포는 어느정도 크기까지이며 눈에 보이지 않는 수준은 30~40미크론 정도가 아닐까싶네요. > 기포가 존재시에 기포간에 뭉쳐서 큰 기포가 될 수 있는지? 기포가 존재하면 점점 커지는 것은 당연하겟지요 > 2. 미세기포가 생긴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생기는지? 가장 큰 원인은 설비의 정도와 라미네이팅 방법이라고 하겟지요.... > > 3. 미세기포를 없애는 방법은 없는지? (접착방법 or 테이프 재료측면) 설비 측면이 강하므로 검사를 강화해야 하지 않을까요? 보통 표면검사를 통해 10~20미크론까지도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물론 표면검사에 사용하는 조명이 핵심포인트이요. 표면검사를 하고 마킹을 하고 라미네이팅 후에 절단하는 방벙이외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거 같군요. > > > 전문가분들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최현우님의 답변

    > 1. 접착시 눈에 보이지 않는 기포는 어느정도 크기까지이며 기포의 크기는 대략 수 마이크로 사이즈가 될 것입니다. 보통 수십마이크로 까지는 사람의 시력으로 볼 수도 있으니까요. > 기포가 존재시에 기포간에 뭉쳐서 큰 기포가 될 수 있는지? 기포가 존재할때 테이프의 중앙에서부터 끝쪽으로 문질러보면 기포들이 뭉치면서 커지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당연히 뭉쳐지면 커지겠지요.. > 2. 미세기포가 생긴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생기는지? 미세기포의 발생은 첫째 부착면이 고르지 않기때문입니다. 아무리 잘 정돈된 유리라 할 지라도 미세하게 보면 마치 달 표면처럼 울퉁불퉁합니다. 이는 마치 그랜드케넌의 계곡과 같지요. 이러한 틈사이에 모두 공기가 있으므로 미세기포을 없애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한 테이프의 접착면도 아무리 고르게 접착제가 발라졌다고 해도 그 두께가 일정하지는 않으므로 미세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기란 쉽지 않겠지요. > 3. 미세기포를 없애는 방법은 없는지? (접착방법 or 테이프 재료측면) 일단 기존의 접착방법보다 제가 이용한 방법은 접착전 알콜이나 아세톤으로 접착표면을 잘 세척한후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조금 따뜻하게 합니다. 이러면 유기용액들이 모두 날아가면서 기판도 따뜻하게 하기때문에 여러가지 좋습니다. 따뜻한 기판에 접착테이프를 붙이고 다시 그 위에 따뜻한 바람을 불어주면, 접착제가 표면에 녹아 들어가 최소한의 미세기포만 남게됩니다. 그 이상은 아무래도 안되더라구요..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 > 전문가분들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 1. 접착시 눈에 보이지 않는 기포는 어느정도 크기까지이며 기포의 크기는 대략 수 마이크로 사이즈가 될 것입니다. 보통 수십마이크로 까지는 사람의 시력으로 볼 수도 있으니까요. > 기포가 존재시에 기포간에 뭉쳐서 큰 기포가 될 수 있는지? 기포가 존재할때 테이프의 중앙에서부터 끝쪽으로 문질러보면 기포들이 뭉치면서 커지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당연히 뭉쳐지면 커지겠지요.. > 2. 미세기포가 생긴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생기는지? 미세기포의 발생은 첫째 부착면이 고르지 않기때문입니다. 아무리 잘 정돈된 유리라 할 지라도 미세하게 보면 마치 달 표면처럼 울퉁불퉁합니다. 이는 마치 그랜드케넌의 계곡과 같지요. 이러한 틈사이에 모두 공기가 있으므로 미세기포을 없애기는 쉽지 않습니다. 또한 테이프의 접착면도 아무리 고르게 접착제가 발라졌다고 해도 그 두께가 일정하지는 않으므로 미세기포의 발생을 억제하기란 쉽지 않겠지요. > 3. 미세기포를 없애는 방법은 없는지? (접착방법 or 테이프 재료측면) 일단 기존의 접착방법보다 제가 이용한 방법은 접착전 알콜이나 아세톤으로 접착표면을 잘 세척한후 드라이기를 이용하여 조금 따뜻하게 합니다. 이러면 유기용액들이 모두 날아가면서 기판도 따뜻하게 하기때문에 여러가지 좋습니다. 따뜻한 기판에 접착테이프를 붙이고 다시 그 위에 따뜻한 바람을 불어주면, 접착제가 표면에 녹아 들어가 최소한의 미세기포만 남게됩니다. 그 이상은 아무래도 안되더라구요.. 이상입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 > 전문가분들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용운님의 답변

    > > 투명하고 평탄도가 좋은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에 투명접착테이프를 > 붙일 때 판과 테이프사이에 미세 기포의 영향에 대한 질문입니다. > > 테이프 접착시에 눈에 보이는 수준의 기포는 trap되지 않도록 하고 > 있으나 눈에 보이지 않는 크기의 기포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확인해야 > 하는 상황입니다. > > 1. 접착시 눈에 보이지 않는 기포는 어느정도 크기까지이며 > 기포가 존재시에 기포간에 뭉쳐서 큰 기포가 될 수 있는지? > > 2. 미세기포가 생긴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생기는지? > > 3. 미세기포를 없애는 방법은 없는지? (접착방법 or 테이프 재료측면) > > > 전문가분들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1. 점착제제조 시 경화제량을 줄이면 기포가 마노이 잡히고 공정중 진공탈포로 기포를 제거하여야 합니다. 2.이미 출고 된 제품을 기포없이 사용하려면 하꺼번에 접착하시지마시고 좌이서 우로 우에서 좌로 접착면을 눌리주면서 서서히 접착하면 기포가 억제됩니다.
    > > 투명하고 평탄도가 좋은 유리판이나 플라스틱판에 투명접착테이프를 > 붙일 때 판과 테이프사이에 미세 기포의 영향에 대한 질문입니다. > > 테이프 접착시에 눈에 보이는 수준의 기포는 trap되지 않도록 하고 > 있으나 눈에 보이지 않는 크기의 기포가 문제를 일으키는지 확인해야 > 하는 상황입니다. > > 1. 접착시 눈에 보이지 않는 기포는 어느정도 크기까지이며 > 기포가 존재시에 기포간에 뭉쳐서 큰 기포가 될 수 있는지? > > 2. 미세기포가 생긴다면 어떠한 원인으로 생기는지? > > 3. 미세기포를 없애는 방법은 없는지? (접착방법 or 테이프 재료측면) > > > 전문가분들의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1. 점착제제조 시 경화제량을 줄이면 기포가 마노이 잡히고 공정중 진공탈포로 기포를 제거하여야 합니다. 2.이미 출고 된 제품을 기포없이 사용하려면 하꺼번에 접착하시지마시고 좌이서 우로 우에서 좌로 접착면을 눌리주면서 서서히 접착하면 기포가 억제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