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17
org.kosen.entty.User@115c3c5f
이현승(jacky20)
- 2
Bacterial cellulose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개발을 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균주를 가지고 목재펄프와 혼합초지하여
인쇄적성이나 기타 물리 화학적인 성질을 개선시킬수 있는..
그러한 방법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목재 펄프와 혼합초지해보려고 하는데.
관계된 자료좀 구할수 있을까요?
부탁드립니다.
- microbial cellulose
- microbial paper
- papermak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2005-10-17- 0
> >Bacterial cellulose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개발을 하고 있는데요. > >이러한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균주를 가지고 목재펄프와 혼합초지하여 > >인쇄적성이나 기타 물리 화학적인 성질을 개선시킬수 있는.. > >그러한 방법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목재 펄프와 혼합초지해보려고 하는데. > >관계된 자료좀 구할수 있을까요? > >부탁드립니다. Bacterial Cellulose를 이용해서 한지를 만드는 특허를 낸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Cellulose로 진통판이나 마스크팩등도 상품화가 된 걸로 알고 있는데.. 자료는 논문 검색을 하시면 나올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금 전문을 가지고 있지는 않네요... html로 된 파일을 올려드립니다. -
답변
정장호님의 답변
2005-10-21- 0
> >Bacterial cellulose를 이용하여 다양한 소재개발을 하고 있는데요. > >이러한 셀룰로오스를 생산하는 균주를 가지고 목재펄프와 혼합초지하여 > >인쇄적성이나 기타 물리 화학적인 성질을 개선시킬수 있는.. > >그러한 방법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 >미생물 셀룰로오스를 목재 펄프와 혼합초지해보려고 하는데. > >관계된 자료좀 구할수 있을까요? > >부탁드립니다. Cellulose란 포도당이 beta-1,4 glysidic linkages (결합)를 가지고 있는 중합체를 말합니다. 식이가 가능한 전분의 경우는 포도당이 alpha-1,4 결합을 하고있고 인체분해 효소에 의하여 분해가 되어 장을 통해 흡수되어 에너지원으로 쓰이게 됩니다. Cellulase란 이런 cellulose를 분해하는 효소를 통칭하여 부릅니다. Cellulase는 다시 그 특성에 따라 exocellulase, endocellulase, beta-glucosidase 그룹으로 나누며 그 그룹안에 몇개의 효소가 속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Tricoderma(학명)라 불리는 곰팡이들이 상업적 cellulase생산하는데 대표적인 생산원입니다. 원하시는 세균 cellulase의 경우는 소의 위에 존재하는 균주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목재펄프의 경우는 아마도 가공이 어느정도 이루어진 경우이기에 cellulose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으리라고 생각이 되지만 그래도 잔여 hemicellulose와 lignin이 어느정도는 남아있으리라고 생각이 되어지네요. 이들을 단당으로 분해하기위해서는 전처리 과정 (대개는 낮은 농도의 산처리)을 거친후 알카리로 중화해서 cellulase 처리를 시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질문하신 분의 경우는 인쇄를 목적으로하는 종이제조가 목적으로 보이기에 전처리과정과 탈색과정을 거치는 과정을 통해서도 그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Cellulase에 관한 정보는 구글과 같은 검색창에서 bacteria cellulase정도를 넣고 검색하시면 많은 자료를 얻으실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더 깊이있는 논문들을 검색하시기를 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