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robiotics(생균제)에 관해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알고 싶은데.. 자료 올려주세요
  • probiotic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정규님의 답변

    >자세히 알고 싶은데.. 자료 올려주세요 KOSEN 분석을 통해 최근 2건의 프로바이오틱 관련 자료가 분석되었습니다. 시장 자료. 현재 동향등이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문서의 암호는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KOSEN 분석물입니다)
    >자세히 알고 싶은데.. 자료 올려주세요 KOSEN 분석을 통해 최근 2건의 프로바이오틱 관련 자료가 분석되었습니다. 시장 자료. 현재 동향등이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문서의 암호는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KOSEN 분석물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황권택님의 답변

    >자세히 알고 싶은데.. 자료 올려주세요 임번삼선생님이 분석하신 자룝니다. 그리고 Pro, Prebiotics의 정의와 종류를 간단하게..... 「장내 환경 개선 식품」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쓰고 있는 용어로 probiotics, prebiotics, biogienics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래 항생물질 등의 antibiotics에 대한 개념인 probiotics는 장내 미생물의 밸런스 개선에 의해 숙주인 인간·동물에게 유익하게 작용하는 소재인 유산균·비피더스균을 가리킴니다. 구체적인 균체의 종류로는 인간 유래의 유산균 L.acidphilus NCFM, L.rhamnosus GG, L.reuteri1063, L.plantarum 229v, L.caseiYIT(Shirota), L.johnsonii LJ-1 등이 있고 비피더스균인 B.breve, B.longum BB 536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유산구균(乳酸球菌)인 E.feculis 등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Prebiotics는 장 내에서 유용균을 증식시키는 인자 즉 유당(乳糖) 유래의 galacto올리고당, lactulose, 자당 유래의 fructo 올리고당, lactosucrose, xylo올리고당, 대두 올리고당, raffinose 등의 난소화성 올리고당류를 들 수 있습니다. 1995년 처음 이 같은 prebiotics의 개념이 정립된 이래 probiotics와 prebiotics를 합친 synbiotics라는 개념도 생겨나게 ?求求? Biogienics는 생리활성 펩타이드, 식물 플라보노이드 등 식이(食餌)성분에 면역강화물질 BRM(Biological Response modifier)이 함유된 물질을 말합니다. 여기에서는 probiotics의 작용 또는 probiotics·prebiotics의 상승작용을 도와 장내 플로라를 개선해 직접·간접적으로 숙주의 건강 개선에 눈에 띄는 작용을 하는 물질이라고 정의합니다. 또 분변취(糞便臭)의 억제효과에서부터 항산화 작용, 면역부활에 따른 발암 예방까지 다양한 기능을 하는 물질들로 식물성 폴리페놀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자세히 알고 싶은데.. 자료 올려주세요 임번삼선생님이 분석하신 자룝니다. 그리고 Pro, Prebiotics의 정의와 종류를 간단하게..... 「장내 환경 개선 식품」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쓰고 있는 용어로 probiotics, prebiotics, biogienics 등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원래 항생물질 등의 antibiotics에 대한 개념인 probiotics는 장내 미생물의 밸런스 개선에 의해 숙주인 인간·동물에게 유익하게 작용하는 소재인 유산균·비피더스균을 가리킴니다. 구체적인 균체의 종류로는 인간 유래의 유산균 L.acidphilus NCFM, L.rhamnosus GG, L.reuteri1063, L.plantarum 229v, L.caseiYIT(Shirota), L.johnsonii LJ-1 등이 있고 비피더스균인 B.breve, B.longum BB 536 등을 들 수 있다. 이 밖에 유산구균(乳酸球菌)인 E.feculis 등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Prebiotics는 장 내에서 유용균을 증식시키는 인자 즉 유당(乳糖) 유래의 galacto올리고당, lactulose, 자당 유래의 fructo 올리고당, lactosucrose, xylo올리고당, 대두 올리고당, raffinose 등의 난소화성 올리고당류를 들 수 있습니다. 1995년 처음 이 같은 prebiotics의 개념이 정립된 이래 probiotics와 prebiotics를 합친 synbiotics라는 개념도 생겨나게 ?求求? Biogienics는 생리활성 펩타이드, 식물 플라보노이드 등 식이(食餌)성분에 면역강화물질 BRM(Biological Response modifier)이 함유된 물질을 말합니다. 여기에서는 probiotics의 작용 또는 probiotics·prebiotics의 상승작용을 도와 장내 플로라를 개선해 직접·간접적으로 숙주의 건강 개선에 눈에 띄는 작용을 하는 물질이라고 정의합니다. 또 분변취(糞便臭)의 억제효과에서부터 항산화 작용, 면역부활에 따른 발암 예방까지 다양한 기능을 하는 물질들로 식물성 폴리페놀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