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빛을 500nm 까지 차단가능한 플라스틱첨가제 구할수 있을까요?

PET를 이용하여 조명기구에서 나오는 빛을 500nm까지 차단하려고 합니다. TiO2의 경우는 500nm이상에서 투과율의 저하가 매우심하더군요.
  • PET
  • additive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신동호님의 답변

    PET를 가지고 colored filter를 만드시려고 하는 것 같네요. colored filter는 실생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소재입니다. 자동차 후미등이 대표적인 colored filter입니다. 후미등의 광원은 백열전구이지만, 앞에 빨간색의 filter를 달아 붉은색의 빛만 통과하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지요. 착색제를 고르실때는 착색제가 갖고있는 고유한 흡수 스펙트럼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보통의 업체에서 이런 스펙트럼 데이타를 제공하지는 않기때문에 흡수띠와 보색관계를 이용하셔서 착색제가 내는 색을 보고 판별하셔야 합니다. PET와 같은 고분자 물질에 착색하시려면 유기물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착색제를 판매하는 업체는 상당히 많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에서 “colorant“로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PET를 가지고 colored filter를 만드시려고 하는 것 같네요. colored filter는 실생활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소재입니다. 자동차 후미등이 대표적인 colored filter입니다. 후미등의 광원은 백열전구이지만, 앞에 빨간색의 filter를 달아 붉은색의 빛만 통과하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지요. 착색제를 고르실때는 착색제가 갖고있는 고유한 흡수 스펙트럼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나, 보통의 업체에서 이런 스펙트럼 데이타를 제공하지는 않기때문에 흡수띠와 보색관계를 이용하셔서 착색제가 내는 색을 보고 판별하셔야 합니다. PET와 같은 고분자 물질에 착색하시려면 유기물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착색제를 판매하는 업체는 상당히 많습니다. 인터넷 검색창에서 “colorant“로 검색해 보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