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10-25
org.kosen.entty.User@2ccca2b8
강호연(3kang3)
- 2
저는 이제 학부 2학년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논문을 하나 읽었습니다.
이지마가 쓴 논문인데 거기에서
탄소 나노 튜브를 라만으로 찍었는데
거기에 나오는 피크의 점들이나
그래프가 broad하게 나온 부분이 왜 그렇게
나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직 초자라서 아는 것도 별로 없고..
라만에 대해서 알려주셨으면 하네요..^^
아참
논문의 제목은 "Structure o fsingle-wall carbonnanotubes purified and cut using polymer"입니다.
참고 해서 설명좀 해 주세요..^^
- raman spectra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2005-10-27- 0
>저는 이제 학부 2학년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논문을 하나 읽었습니다. >이지마가 쓴 논문인데 거기에서 >탄소 나노 튜브를 라만으로 찍었는데 >거기에 나오는 피크의 점들이나 >그래프가 broad하게 나온 부분이 왜 그렇게 >나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직 초자라서 아는 것도 별로 없고.. >라만에 대해서 알려주셨으면 하네요..^^ >아참 >논문의 제목은 “Structure o fsingle-wall carbonnanotubes purified and cut using polymer“입니다. >참고 해서 설명좀 해 주세요..^^ http://cafe.naver.com/chemistrylove.cafe 여기 가시면 라만의 기본 원리를 잘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성균관대 화학과에 CNT에 대해 잘 나온 파워포인트 문서 있습니다..D, G, RBM mode에 대해서 가장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저도 SWCNT 라만 측정해봤는데 그러면서 자료 찾을때 다른것보다 성대것이 가장 좋았습니다..꼭 확인하세요...^^ -
답변
박은성님의 답변
2005-10-27- 0
Peak broadening의 기본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Raman과 IR Spectroscopy는 빛을 조사해서 그 빛을 흡수하는 “분자“의 진동을 측정하는 기계입니다. 일정량의 빛을 주었을 때 분자들이 그 빛을 흡수하고나면 빛의 양이 줄어들겠죠. 조사한 후 남은 빛의 강도 (intensity - Y축)로 분자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것이고, 또 분자마다 resonance 진동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분자의 표준진동값이 있게되고 진동값의 위치 (wavenumber - X축)에 따라 여러종류의 분자의 존재를 알 수 있는것입니다. 물론 Raman과 IR은 X축의 의미가 다르긴 하지만 둘다 진동값의 위치라고 생각해도 됩니다. 그런데 보통 물질 안에 같은 분자가 수없이 많이 존재하는데 각기 분자의 결합이 모두 완전하게 일치하는건 아닙니다. 예를들면 어떤 물질에 물분자가 있을때 모든 물분자의 결합각도가 똑같이 109.47도가 아니라는 얘기죠. 그 이유는 여라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어떤 이유에서든지 결합각도, 결합력, 분자사이거리 등이 “분포“를 하게됩니다. 그 분포의 정도가 많을 수록 그에따른 분자 진동값도 분포를 하게되겠죠. 따라서 Raman이나 IR의 결과를 보면 피크가 sharp하지 않고 broad하게 나오게 됩니다. 즉, peak broadening은 특정 분자가 그 표준값을 나타내는 분자와 비교할때 분자에 변화가 있다는 말이죠. 카본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sp3 결합을 갖는 순질의 다이아몬드의 피크의 위치와 sp2 결합을 갖는 그래파이트 피크의 위치는 다르겠죠. 또 두가지 결합이 섞여있다면 - diamond-like carbon이 좋은 예 입니다 - 다이아몬드 피크에 비해서 broadening이 일어나는것이죠. 나노튜브의 경우는 조금 더 복잡한 이유들이 있는데 예를들면 나노튜브의 직경에 따라 resonance가 다를 수 있고 intrinsic broadening (튜브 자체의 특성 때문에 진동값이 분포되는 경우)도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 나노튜브 한개를 측정했는지 여러개를 같이 측정 했는지에 따라서도 다르겠죠. 논문을 직접 보지 못해서 근본적인 원리만 설명했습니다. 도움되길 바랍니다. >저는 이제 학부 2학년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논문을 하나 읽었습니다. >이지마가 쓴 논문인데 거기에서 >탄소 나노 튜브를 라만으로 찍었는데 >거기에 나오는 피크의 점들이나 >그래프가 broad하게 나온 부분이 왜 그렇게 >나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직 초자라서 아는 것도 별로 없고.. >라만에 대해서 알려주셨으면 하네요..^^ >아참 >논문의 제목은 “Structure o fsingle-wall carbonnanotubes purified and cut using polymer“입니다. >참고 해서 설명좀 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