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아크릴 하드코팅(hard coating) 막두께

아크릴에다 스파터링 방법으로 코팅을 하여 half mirror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가끔식 코팅한 물질이 탈막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원인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과 코팅물질 간의 부착력을 주기 위해 그 사이에 hard-coating층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ard coating물질의 성분과 막두께에 의한 부착력 문제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이 있으시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acrylic
  • hard-coating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고상운님의 답변

    >아크릴에다 스파터링 방법으로 코팅을 하여 half mirror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가끔식 코팅한 물질이 탈막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원인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과 코팅물질 간의 부착력을 주기 위해 그 사이에 hard-coating층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ard coating물질의 성분과 막두께에 의한 부착력 문제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이 있으시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코팅물질이 무엇인지는 설명을 안해주셨는데, 기본적으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u를 코팅하는 경우는 ni을, 은을 코팅하는 경우는 ti를 베이스코팅합니다. 그리고, 코팅두께에 따라서도 부착력이 틀려집니다.
    >아크릴에다 스파터링 방법으로 코팅을 하여 half mirror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가끔식 코팅한 물질이 탈막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원인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과 코팅물질 간의 부착력을 주기 위해 그 사이에 hard-coating층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ard coating물질의 성분과 막두께에 의한 부착력 문제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이 있으시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코팅물질이 무엇인지는 설명을 안해주셨는데, 기본적으로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u를 코팅하는 경우는 ni을, 은을 코팅하는 경우는 ti를 베이스코팅합니다. 그리고, 코팅두께에 따라서도 부착력이 틀려집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재활님의 답변

    >아크릴에다 스파터링 방법으로 코팅을 하여 half mirror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가끔식 코팅한 물질이 탈막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원인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과 코팅물질 간의 부착력을 주기 위해 그 사이에 hard-coating층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ard coating물질의 성분과 막두께에 의한 부착력 문제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이 있으시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이 제가 정확히 답변을 드릴수 없는 부분이네요.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보통 스퍼터링 방식으로 하프미러를 생산하는 업체에선 모제는 거의 전량 일본에서 수입을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일본제품이 모두 좋다는 건 아니구요 일단 원단보관을 잘 하셔야 합니다.(원단이 습기를 먹게되면 스퍼터링 도중에 하드코팅 막이 부분적으로 박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증착층이 박리되는 가장 큰 원인은 작업진공도에 있다고 볼 수 있네요. 작업진공도를 조금 더 낮게 작업을 하시면 될 듯 한데요.(코팅챔버에서 충분한 배기가 필요함) 또 한가지, 진공챔버 속으로 들어가는 구성품(케리어, 쫄대등)이 깨끗해야 합니다. 주기적인 세정이 필요하겠죠. 주기적인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보통 작업할 때처럼 작업하면 아웃게싱이라고 구성품들이 먹고 있던 여러가지 가스를 배출하게 되어서 부분적인 증착 박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아크릴에다 스파터링 방법으로 코팅을 하여 half mirror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가끔식 코팅한 물질이 탈막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어 원인을 찾아보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아크릴과 코팅물질 간의 부착력을 주기 위해 그 사이에 hard-coating층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hard coating물질의 성분과 막두께에 의한 부착력 문제에 대해 알고 계신 분이 있으시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질문이 제가 정확히 답변을 드릴수 없는 부분이네요.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보통 스퍼터링 방식으로 하프미러를 생산하는 업체에선 모제는 거의 전량 일본에서 수입을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일본제품이 모두 좋다는 건 아니구요 일단 원단보관을 잘 하셔야 합니다.(원단이 습기를 먹게되면 스퍼터링 도중에 하드코팅 막이 부분적으로 박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증착층이 박리되는 가장 큰 원인은 작업진공도에 있다고 볼 수 있네요. 작업진공도를 조금 더 낮게 작업을 하시면 될 듯 한데요.(코팅챔버에서 충분한 배기가 필요함) 또 한가지, 진공챔버 속으로 들어가는 구성품(케리어, 쫄대등)이 깨끗해야 합니다. 주기적인 세정이 필요하겠죠. 주기적인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보통 작업할 때처럼 작업하면 아웃게싱이라고 구성품들이 먹고 있던 여러가지 가스를 배출하게 되어서 부분적인 증착 박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