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활성탄의 총질소 제거성능에 관하여

수처리 공정에서 활성탄을 거친 처리수를 분석한 결과 유입수 대비 COD는 1/9배, T-N는 1/8배 정도 감소하였는데, 활성탄에 의한 COD, T-N 제거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전문가들의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 actived carbon
  • COD
  • T-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정호님의 답변

    >수처리 공정에서 활성탄을 거친 처리수를 분석한 결과 유입수 대비 > >COD는 1/9배, T-N는 1/8배 정도 감소하였는데, 활성탄에 의한 > >COD, T-N 제거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전문가들의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의 성능은 표면적과 비례한다고 할수 있습니다. 물론 특별하게 처리된 활성탄의 경우 화학/물리처리방식에 따라 그 성능이 더욱 개선되거나 선택도 자체에 변화를 줄수도 있습니다만.. 아무런 처리가 없는 (일반)활성탄의 경우 분자레벨의 유기물과 질소화합물들이 활성탄의 미세공 (micropore) 안으로 확산 (diffusion) 되어 van der Waals 힘으로 표현되는 물리적 표면현상에 의해 세공내에서 잔류하게 됩니다. 사실상 전체적인 현상규명은 아직 명쾌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으며 상당부분 실험적 자료와 수학모델간의 비교등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흡착현상의 메카니즘은 분자확산 -> 세공확산 -> 표면확산 -> adhesion 의 과정으로 대변할수 있다고 받아들이는데 문제는 없고, 그중 세공확산과 표면확산은 함께 또는 바뀐 순서로도 가능할수 있습니다. 뭐.. 직접 눈으로 볼수 있는것이 아니니 정답은 없습니다만요.. 질문의 scope 가 커서 자세한 답변은 “무리“ 입니다. ^^
    >수처리 공정에서 활성탄을 거친 처리수를 분석한 결과 유입수 대비 > >COD는 1/9배, T-N는 1/8배 정도 감소하였는데, 활성탄에 의한 > >COD, T-N 제거 메카니즘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전문가들의 자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일반적으로 활성탄의 성능은 표면적과 비례한다고 할수 있습니다. 물론 특별하게 처리된 활성탄의 경우 화학/물리처리방식에 따라 그 성능이 더욱 개선되거나 선택도 자체에 변화를 줄수도 있습니다만.. 아무런 처리가 없는 (일반)활성탄의 경우 분자레벨의 유기물과 질소화합물들이 활성탄의 미세공 (micropore) 안으로 확산 (diffusion) 되어 van der Waals 힘으로 표현되는 물리적 표면현상에 의해 세공내에서 잔류하게 됩니다. 사실상 전체적인 현상규명은 아직 명쾌하게 알려지지는 않았으며 상당부분 실험적 자료와 수학모델간의 비교등으로 설명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흡착현상의 메카니즘은 분자확산 -> 세공확산 -> 표면확산 -> adhesion 의 과정으로 대변할수 있다고 받아들이는데 문제는 없고, 그중 세공확산과 표면확산은 함께 또는 바뀐 순서로도 가능할수 있습니다. 뭐.. 직접 눈으로 볼수 있는것이 아니니 정답은 없습니다만요.. 질문의 scope 가 커서 자세한 답변은 “무리“ 입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